• 제목/요약/키워드: De dict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De re context and some semantic traits of 'rago')

  • 민찬홍
    • 논리연구
    • /
    • 제16권1호
    • /
    • pp.61-85
    • /
    • 2013
  • 대언 믿음과 대물 믿음의 구별을 소개하고, 믿음 문맥과 양상 문맥에서 대언(de dicto)/대물(de re) 애매성이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양상 구문의 경우 한국어는 영어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부정문에서도 대언/대물 구문의 애매성이 나타나는 바,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는 대물 부정문에 해당하는 통사 구조를 허용한다. 대물 구문은 지시적으로 투명한 구문이요 따라서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는 구문이며, 대언 구문은 지시적으로 불투명한 구문이요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지 않는 구문이다. 그런데, 인용 동사, 언어행위동사, 인지태도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한국어의 인용 어미 '라고'는 특이하게도 영어와 평행하게 대언/대물 애매성을 갖는 문장 뿐 아니라 애매성 없는 대물 구문을 구성하는 문장도 제공한다. 또한, '라고' 구문은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공약에 있어서도 중립적이다. 한국어에서는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공약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음/임' 또는 '라는 것'이라는 어미를 사용한다. 이런 점 때문에 '앎이 진리를 전제한다'는 서구 인식론의 원칙은 인식 문장을 한국어 어미 '라고'를 사용하는 문장으로 표현하려고 할 때에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 PDF

Opacity and Presupposition Inheritance in Belief Contexts

  • Kim, Kyoung-Ae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3권2호
    • /
    • pp.67-83
    • /
    • 1999
  •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n account for the problems of intensional opacity of referring expressions and the presupposition inheritance in the belief contexts from the discourse perspective. I discuss Jaszczolt's discourse model based on DRT to account for the belief reports. Jaszczolt analyzes referring expressions in terms of the three readings(de re, de $dicto_1$ and de $dicto_2$) and attempts to re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DRS's via different anchoring modes; external anchoring, formal anchoring and nonanchoring. I propose an extended model to account for the presupposition inheritance in the belief contexts and attempt to analyze the data in Korean based on this model. The differences in the PI and in the representations of DRS's which are induced by the different complement types, ${\ldots}ko(mitta)\;and\;{\ldots}kesul(mitta)$,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