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light Environment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SDN을 위한 샘플링 기반 네트워크 플러딩 공격 탐지/방어 시스템 (Sampling based Network Flooding Attack Detection/Prevention System for SDN)

  • 이윤기;김승욱;부 둑 티엡;김경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4호
    • /
    • pp.24-32
    • /
    • 2015
  • 최근 SDN은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를 점진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 변화와 함께, 네트워크 보안시스템을 SDN 환경 상에서 구축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OpenFlow Switch의 포트를 통과하는 패킷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네트워크 플러딩 공격 등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다수의 스위치를 중앙집중형 컨트롤러에서 관리하는 SDN의 특성상 지속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찰은 상당한 오버헤드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속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찰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면서도 네트워크 플러딩 공격을 효과적으로 탐지 및 방어 할 수 있는, 샘플링 기반 네트워크 플러딩 공격 탐지 및 방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어진 샘플링 조건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샘플링 패킷들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플러딩 공격을 탐지하며, 탐지된 공격을 OpenFlow Switch의 플로우 엔트리관리를 통해 능동적으로 차단하다. 네트워크 트래픽 샘플링을 위해 sFlow agent를 활용하고, 샘플링된 패킷 정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분석하여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오픈소스 기반 IDS인 snort을 사용하였다. 탐지된 공격의 자동화된 방어 기작의 구현을 위해 OpenDaylight SDN 컨트롤러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OVS (Open Virtual Switch)를 활용한 로컬 테스트베드 상에서 그 동작을 검증하였고, 다양한 샘플링 조건에 따른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 및 오버헤드를 분석하였다.

만경강에 서식하는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와 점줄종개 Cobitis lutheri의 서식환경과 섭식생태 (Habitat Environment and Feeding Habitat of Iksookimia koreensis and Cobitis lutheri (Pisces: Cobitidae)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 고명훈;박종영;김수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3-261
    • /
    • 2009
  • 만경강에 서식하는 참종개와 점줄종개의 서식환경과 섭식생태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조사하였다. 참종개와 점줄종개는 중 상류지역에 혼서하고 있었으나 미소서식지에서 참종개는 유속이 비교적 빠르고 수심 30~60 cm의 돌이 쌓인 곳에서, 점줄종개는 유속이 느리고 수심이 30~100 cm의 모래지역에서 서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두 종은 모두 주행성 어류로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기로, 11월부터 2월까지는 월동기로 나타났으며, 월동기간동안 참종개는 자갈과 돌이 쌓인 곳에, 점줄종개는 모래가 쌓인 곳에 파고 들어가 은신하였다. 참종개는 깔다구류와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으며, 점줄종개는 깔다구류와 요각류, 물벼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섭식률은 두 종 모두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으나 겨울동안은 섭식하지 않았다.

저궤도 위성에서 별센서의 가시성을 위한 Yaw Motion에 따른 열적 영향 고찰 (An Investigation in the Thermal Effect on a Low Earth Orbit Satellite under Yaw Motion for the Visibility of a Star Sensor)

  • 김희경;이장준;현범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709-716
    • /
    • 2009
  • 위성 궤도 자세는 위성 열설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서, 궤도 운용 자세에 대한 열적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yaw motion의 운영 자세에 따른 우주 열환경의 변화와 열설계의 열적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위성은 고정형의 태양 전지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 구간 동안에 태양지향(sun-pointing)자세를 유지하고, 위성에 장착되는 별센서인 별추적기의 가시 방향이 심층 우주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위성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을 하는 yaw motion을 하도록 운용된다. 이것은 위성이 정밀한 자세 제어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별추적기가 별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성 열설계 측면에서는 이러한 운용을 위한 자세 변화에 따른 열적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연구에서는 위성의 열모델에 이러한 궤도 운용 자세를 반영한 후의 궤도 열해석을 통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남한 지역의 지면 오존 농도 특성과 식생에 대한 임계값 적용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Distributions and the Ozone Critical Levels to Vegetation in the South Korea)

  • 구해정;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0-320
    • /
    • 2008
  • Concentration of tropospheric ozone ($O_3$) was investigated for the South Korea. And then the critical ozone levels, expressed as AOT40 (Accumulated exposure over a threshold of 40 ppb) to vegetation have been used in this region within the UNEC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CLRTAP). Hourly ozone concentration data from 1996 to 2001 at 26 air monitoring stations was used to estimate the exceedance of the critical levels. It was calculated for daylight hours for each station, and mapped using surface interpolation over the South Korea. The critical levels of ozone have shown the highly exceeded value in the Gyeonggi region, southern coastal region and central inland of the South Korea. It was some different from the typical ozone distribution which represented highly in the western inland and coastal regions. The area exceeding the critical level for crops was founded to be more than 40% of the whole South Korean territory. While that for trees was to be about 17% of the South Korea. The critical ozone critical level was based upon data from experiments on specific species, and thus may not be fully representative for all types of vegetation. Nevertheless, the critical level and its exceedance of the ozone concentration would be one of the useful tools for international agreements on abatement strategies to prevent ecosystem damage.

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 Environment in Korean Nursing Homes

  • Kim, Dae-Nyun;Yoon, Young-Sun;Moon, Jae-Ho;Byun, Hea-Ryung;Chung, Mi-Ryum;Hong, Mi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2호
    • /
    • pp.29-4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 environment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Korea. Field case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ed checklist and measurements, from Oct. 28th to Dec. 2nd, 200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gnitive efficiency, privacy, safety, supportiveness and amenity. Based o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nationwid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we choose 43 facilities in which Seoul and six megalopolis areas that had answered our questionnaire in 2006. We then narrowed the list to 14 facilities, balanced them in terms of regional population.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consisted of eight categories: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edrooms (including number of residents per room, using a bed or floor mat, the size and shape of the chamber, space for wheelchair turning, signage), door of bedroom (including door, doorknob, door sill/level difference), windows in the bedroom(including type of window, window sill height, window treatment, window safety device/shape, view/daylight), furniture (including personal furniture and lock), finishes (material, character and color of wall, floor, ceiling), lighting (including types of lighting, night lighting, switch), bathroom in the bedroom (including signage, door size/type, doorknob shape, height of the washbowl, size of toilet bowl, handrail, finishes), and other facilities (including outlet and handrails).

전남지역 갈색날개매미충 발생현황과 친환경 방제 (Survey the Occurrences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System of Ricania shanthungensis in Jeonnam Province)

  • 최덕수;마경철;김효정;이진희;오상아;김선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9-452
    • /
    • 2018
  • 본 시험은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hungensis) 발생현황을 조사하고 친환경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2016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다. 광주, 전남 도내 갈색날개매미충은 15시군 61읍면의 1,344 ha에 발생하였다. 정점지역 4개소 조사 결과 난괴나 약충밀도는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낮아지고 부화율은 감소하고 첫 부화시기나 성충 출현, 산란 시작시기는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알기생봉인 검정알벌류(Telenomus sp.)는 대부분의 지역에 발생하고 있으며, 기생률은 순천이 46.1%로 가장 높았고, 무안 40.6, 곡성 29.2, 구례 25.8, 광주 17 순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알 방제를 위한 살포적기는 3월 상순이었다. 살포자재와 희석배수는 친환경재배는 기계유유제 10배액,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액을 살포하면 95%가 부화하지 못했다. 기계유유제, 고삼+미생물추출물제, 피마자유제의 유기농업자재가 약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고, 성충에는 고삼+미생물추출물제, 님추출물제, 기계유유제가 좋았다. 디노테퓨란수화제 등 4종의 화학농약은 모두 약충과 성충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이 가장 선호하는 주광색 등과 행동습성을 이용하여 성충 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 구성은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루에 700마리정도 포획되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이용해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 생활환과 친환경 방제체계를 확립하였다.

실내조명환경의 시각적 쾌적성 확보 및 조명부하 저감을 위한 채광제어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ylight Control Method for Securing Visual Comfort and Reducing Lighting Loads on Interior Lighting Environment)

  • 한상필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100-105
    • /
    • 2012
  • In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the impression of the compound lighting based on the AC-Model at the full-size room, the impressions of various compound lighting were complet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uniform lightings through the comparison method (a paired comparison) by Semantic Differential scaling. Also,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supplementary lighting type increasing the lights at the side of the window and the blind-control lighting type,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mpound lighting type. In results, pared comparison of the compound lighting and the uniform lighting, indicates that the impression of the compound lighting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the uniform lighting when there are same ratios of the light from the window.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C-Model might be applied to various conditions. And we also introduce the method for daylighting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glare and to improve visual impressions as the supplementary type and blind-control type on the compound lighting. And it was found that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compound lighting room was lower than that of the uniform lighting room when as same lighting ratio of the compound lighting and the uniform lighting from the window was provided or there was the lighting distribution simulated to same light ratio from the window. Since the method of the ACModel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is model could be applied to different window configurations, lighting layout and types of a room.

교실의 주광 조명환경과 철판의 눈부심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ylight Illumination Environment of a Classroom and a Glare Phenomenon on the Blackboard)

  • 임윤빈;장우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2-48
    • /
    • 1996
  • 계절별로 태양의 위치와 강렬한 광선에 의한 칠판의 눈부심 현상은 교실내 조도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복도쪽과 창쪽의 앞줄 학생에게는 많은 시각 장애를 주어 판서를 읽을 수 없는 상태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흐린날과 비오는날은 교실 조도가 매우 낮아 수업을 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태에 이르고 있다. 학교에서는 자리배치를 획일적으로 키순으로 정하고 있는데 거리에 따른 시력인지도가 차이가 나서 뒷자리 학생은 시책이 1.0인데도 불구하고 1.0이하로 시력이 저하되고 창쪽과 복도쪽의 앞줄 학생은 눈부심 현상에 따른 판서의 인지도(시력)가 매우 낮아 학습효과가 반감되고 학습의욕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교 건물의 구조 변경과 칠판의 위치변경 및 재질향상을 시키며 칠판에 대한 국부적인 조명시설을 해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자리를 획일적으로 키순으로 배치할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바꿔 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실제 건축물 적용에 따른 실내주광조도 평가 (Indoor Illuminance Evaluation on a Mirror Sunlighting System Applied to the Apartments under Real Sky Condition)

  • 정주희;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137-145
    • /
    • 2010
  • Active sunlighting systems have been applied to deliver sunlight into the indoor space where natural light is insufficient, mainly because of the congested high-rise buildings in urban areas. Among various active sunlighting systems, a mirror sunlighting system which is simple structure and economically reasonable has been widely used in different types of spaces such as underground, north facing place and atrium.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rror sunlighting systems, which were consisted of the first mirror of $3.5m{\times}2.5m$, the eight sets of the second mirrors of $1.0m{\times}1.25m$ and a sun tracker. Ten sets of the systems were installed for 40 apartment living rooms, the configuration of $3.5m(W){\times}4.0m(D){\times}2.5m(H)$ where sunlighting were not possible due to high retaining wall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living rooms. The 45 HOBO data logger sensors for the indoor illuminance were equipped and 2 Li-cor photometers for outdoor illuminance. Both indoor and outdoor horizontal illuminances were monitored every second from 9am to 3pm on 17 January 2010 under clear sky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door illuminance of installed mirror sunlighting system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utdoor illuminance and increased the indoor illuminance level by 4.2 times on the whole floor space, by 8 times on the sun patch space of 6m2 and even by 2 times on the no sun patch space. In addition, the luminous conditions of the living room under real sky conditions met the KS recommendation for difficult task (600-1000-1500 lux) such as sewing and reading on whole floor space and sun patch space. It was proved that the benefits of mirror sunlighting systems included an effective technology for penetrating daylight into indoors where sunlighting was not possible and improving occupants' satisfaction and health, and contributing to energy saving in apartments during daytime.

내측 블라인드의 하절기 일사열 차폐 성능 비교 (Comparing Solar Heat Shading Performances of Internal Blinds in the Summer)

  • 박은미;최동호;박민용;이경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75-83
    • /
    • 2014
  • Heat loss through windows and doors occupies 20 to 45% of the total heat loss in building. It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otal heat loss in building. In order to suppress the amount of heat flow through the windows and doors were considered actions such as reinforcement of insulation performance of window, adoption of low-e glass, and installation of solar heat shading de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lar heat shading performances of 3 types of internal blinds in the summer. In order to verify the solar heat shading performances of the blinds, a roll blind, blind A(Venetian blind) and blind B(Daylight guiding venetian blind)were installed in the four rooms with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blind B, blind A, roll blind showed an excellent performance in that order. Its because the blind B is made of aluminum materials coated with special paints on surface. It doesn't converted to long wave by short wave light. and it is reflected to short wave to out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