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ucus carota L. leaf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당근잎 추출 성분의 세포독성과 Quinone Reductase 유도효과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Effects 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uman Cancer Cells)

  • 심선미;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6-91
    • /
    • 2001
  •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arious food components on human cancer cell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recise effect and mechanisms of anticarcinogens in food materials on cancer cells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aucus carota L. leaf (DCL) extracts on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aucus carota L. leaf, the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DCLMEA) at 500 $\mu\textrm{g}$/mL was shown to be most effective on MCF-7 cell lines. The four partition layers which are DCLM, DCLMH, DCLMB and DCLMH were less effecitve in inducing cytotoxicity than DCLMEA was. We also determined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by adding DCL extracts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CL extracts, DCLMH and DCLM were tested to be most effective with results such as 4.9 and 4.73 with a control value of 1.0.

  • PDF

작은뾰족민달팽이의 기주 선호성 및 기주에 따른 발육과 수명 (Host Preference of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and Its Development and Longevity on Host Plants)

  • 김현주;배순도;윤영남;최병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3-37
    • /
    • 2012
  •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M$\ddot{u}$ller)의 채소류에 대한 기주선호성 및 식이기주에 따른 작은뾰족민달팽이의 발육기간과 수명을 조사하였다. 작은뾰족민달팽이의 기주선호성은 배추($Brassica$ $campestris$ L.)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오이($Cucumis$ $sativus$ L.)이었으며, 당근($Daucus$ $carota$ L.),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및 비트($Beta$ $vulgaris$ var. Ruba) 간에는 유의성이 없이 낮았다. 산란수는 오이에서 109.6개로 가장 많았으며, 잎들깨에서 10개로 가장 적었다. 부화율도 오이에서 92.4%로 가장 높았으며, 잎들깨에서 62.5%로 가장 낮았다. 알기간은 12~13일로 기주식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체기간 및 성체수명은 각각 75~111일 및 66~187일 이었다. 그리하여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에서 성체수명까지의 총 수명은 오이에서 273일로 가장 길었고, 잎들깨에서 190일로 가장 짧았다.

Gray Mold on Car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Park, Kyeong-Hun;Ryu, Kyoung-Yul;Yun, Hye-Jeong;Yun, Jeong-Chul;Kim, Byeong-Seok;Jeong, Kyu-Sik;Kwon, Young-Seok;Cha, Byeong-Jin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4-368
    • /
    • 2011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was found on a carrot seedling in a greenhouse and a field at Daegwallryeong, Gangwon Province in 2007-2009.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blight, or chlorotic halo on leaves and petioles of the carrots. Fungal conidia were globose to subglobose or ellipsoid, hyaline or pale brown, nonseptate, one celled, $7.2-18.2{\times}4.5-11\;{\mu}m$ ($12.1{\times}8.3\;{\mu}m$) in size, and were formed on botryose heads. B. cinerea colonies were hyaline on PDA, and then turned gray and later changed dark gray or brown when spores appeared. The fungal growth stopped at $35^{\circ}C$, temperature range for proper growth was $15-25^{\circ}C$ on MEA and PDA. Carrots inoculated with $1{\times}10^5$ ml conidial suspension were incubated in a moist chamber at $25{\pm}1^{\circ}C$ for pathogenicity testing.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water-soaked rot on carrot roots and irregular, pale brown or dark brown, water-soaked rot on leaves. Symptoms were similar to the original symptoms under natural conditions.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sliced roots, and whole roots after inoculation. As a resul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arrot gray mold caused by B. cinerea in Korea.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lant Resource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김대익;이성현;허은영;조수묵;박홍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7-4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의 기초자료로서 식물 추출물에서 AChE 저해와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AChE 효소의 저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whole plant) 추출물에서는 당근, 땃딸기와 고추나물에서 20%-30% ACh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식물 부위별(stem, leaf, fruit, root) 추출물의 AChE저 해 활성을 살펴본 결과, 줄기 부위 추출물에서는 은행나무(Gingko biloba)가 32.1%, 잎 부위 추출물에서는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a var. poukhanense)이 33.9%, 열매 부위 추출물에서는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en)이 18.2%의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식물 전초에서는 땃딸기(Fragaria yezoensis)에서 90.4%의 라디칼 제거 효과로 L-ascorbic acid와 거의 유사한 항산화력이 나타나났다. 식물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살펴본 결과, 줄기와 뿌리 부위 추출물의 은행나무, 잎 추출물에서 털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가 약 90%의 라디칼 제거 효과를 보였으며, 열매 부위 추출물의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약 95%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식물 전초 추출물의 땃딸기와 고추나물, 식물 부위별 추출물에서는 줄기 부위의 은행나무와 잎 부위의 산철쭉이 AChE 효소 저해와 항산화력 활성이 높으므로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채소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ies of Various Vegetable Extracts against Five Agricultural Insect Pests and Four Stored-Product Insect Pests)

  • 이상길;박지두;송철;조광연;이상계;김무기;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25
    • /
    • 2001
  • 46종 채소류의 에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채소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종의 농업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연근 및 파래는 복숭아혹진딧물, 옥수수 및 옥수수 잎은 벼멸구, 수박씨 및 파래는 배추좀나방, 연근, 옥수수 및 옥수수 잎은 담배거세미나방, 수박씨, 당근, 해바라기 잎과 꽃, 상추 및 생강은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2,5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는 연근 및 파래는 복숭아혹진딧물, 옥수수는 벼멸구, 수박씨 및 파래는 배추좀나방, 연근 및 옥수수는 담배거세미나방, 수박씨, 해바라기 꽃 및 상추는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수박씨 및 호박씨는 쌀바구미, 수박씨, 해바라기씨 및 생강은 화랑곡나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팥바구미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채소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채소류 추출물들은 공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화랑곡나방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풍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