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ing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26초

Tree-ring Dating of The Palsangjeon Wooden Pagoda at The Beopjusa Temple in Boeun, South Korea

  • Jeong, Hyun-Min;Kim, Yojung;Kim, Ji-Young;Seo,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515-525
    • /
    • 2016
  • The Palsangjeon Pagoda is a five-story wooden building in the Beopjusa Temple area in the Songnisan national park in Chungcheongbuk-do, Korea.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it was constructed in either AD 1605 or AD 1626. To specify the construction year more precisely, we took 41 wood samples for tree-ring analysis during repair actions in 2013; 28 from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12 from oak (Quercus spp.), and 1 from fir (Abies spp.). The tree-ring boundaries became clearly visible by smoothing their cross-sectional surface and the tree-ring widths were measured under a stereo microscope. All tree-ring ser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establish mean chronologies, which we then compared with local master chronologies established using tree rings collected from wooden elements of the Daeungjeon Hall which is the main building in the Beopjusa Temple area.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red pines were felled in AD 1624 and in AD 1851.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the oaks were also felled in AD 1624 based on cross-dating with the red pine chronology. We concluded that the Palsangjeon Wooden Pagoda was constructed in AD 1626, as mentioned in the historical record (Daeungdaekwangmyeongjeonbulsangki, 1630) and the letters on a purlin on the $4^{th}$ story, using oak and red pine felled in AD 1624 and repaired later on using red pine felled in AD 1851.

농촌마을 담장의 역사적 변천과정 탐색 (Historical Dating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 임종현;최수명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2013
  • In the traditional subsistence farming era in Korea, most of small farmer's housing plots in the rural villages had their boundary barriers of which materials being the natural ones provided from nearby places. However, during the rapid industrialization period from 1960s, a traditional type of boundary barriers in the rural villages had been replaced mostly by low-cost factory-made ones, which means absolute loss of their amenity values as a linear part of villagescape. In spite of many study efforts on boundary barriers of traditional rural houses, detailed historical dating on them after 1960s have not tried up to now, which provoked to try this study. Through the direct and in-depth interviews to rural villagers sampled from 21 case villages, it was found that original boundary barriers structure in most of farm houses was made of natural materials like stone, soil, trees and bamboo, but, replaced by cement block structures mostly during Saemaeul Project period. However, although being relatively minority, traditional ones have been preserved up to now mainly in remote mountainous and seashore villages, but was in very low condition. In the overall view,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boundary barriers of farm houses had been left without public or private improvement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ir amenity values, more research works should be carried out on positive reassessment of the traditional ones harmonized with multifunctionalities for modern village life.

적외선 여기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조간대 퇴적층의 연대추정 (Infrared Stimulated Luminescence (IRSL) Dating of 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최만식;한정희;최정헌;정창식;홍덕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1호
    • /
    • pp.1-7
    • /
    • 2002
  • 장석을 적외선으로 조사하여 측정된 루미네센스를 이용하여 서해안 지역에 최근 퇴적된 갯벌 퇴적층의 연대를 산출하였다. 연대를 결정하기 전 조사된 표층시료의 시험에서 시료채취 장소의 환경은 루미네센스 연대 측정법을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연대는 퇴적층에 따라 비교적 순차적으로 나타났으며, 각 층에서 산출된 연대의 중심연대를 기준으로 볼 때 시료 채취장소의 퇴적율은 100년 동안 약 50cm정도를 보였다. 또한, 사용된 시료의 열적전환에 의한 회귀현상에 대한 연구가 기술되었다. 광 여기 루미네센스 연대 측정법은 앞으로 갯벌의 퇴적환경을 연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도2호선 목부재의 수종과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for the Wooden Board from Daebudo Shipwreck No.2 Using Wiggle Matching)

  • 남태광;윤용희;김응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9-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 발굴된 대부도2호선의 목부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과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통해 사용된 목재의 재질과 고선박이 난파된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수종분석을 통해 선체부재로 사용된 목재는 모두 소나무속의 경송류로 식별되었으며, 기타 선체부재와 나무못은 경송류, 밤나무속, 참나무속 상수리나무아속 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오리나무속의 사용을 확인하였다. 동반 출토된 목제빗과 참빗은 단풍나무속과 대나무아과로 확인되었고, 밧줄은 칡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선수재와 받침목 그리고 씨앗류(감씨)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위글매치 분석을 통해 대부도2호선은 AD 1151~1224년 사이에 난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고선박은 12~13세기 초중반에 난파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출토된 도자기의 편년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우라늄계열(系列) 비평충(非平衝) 연대측정법(年代測定法)과 한반도(韓半島) 남해(南海) 상백도(上白島) 현생(現生) 퇴적층(堆積層)의 연대측정(年代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ries Disequilibrium Da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Recent Sediment Dating from Sangback-do, Southern Sea of Korean Peninsula)

  • 제원목;이철;박긍식;주승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3호
    • /
    • pp.239-246
    • /
    • 1985
  • Uranium-thorium separation technique from shallow sediment and ${\alpha}$-source electrodeposition technique are established in the present work, and uranium series disequilibrium dating method is applied to the quaternary piston core from Sangback-do, South Sea of Korean Peninsula. The age of the piston core (depth 200~300cm) sampled from Latitude $34^{\circ}06^{\prime}37^{{\prime}{\prime}}$, Longitude $127^{\circ}37^{\prime}37^{{\prime}{\prime}}$ was determined as ranging from $9.0{\pm}2.2$ to $22.9{\pm}3.3$ Ky B.P, i.e., Later Pleistocene, older than Holocene which was stratigraphically known in the previous study. The sedimentation rate in the area is regular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edimentation layer. Except a few split sections of the piston core the sedimentation rates are avarage 7.2cm/1,000 years. Where sedimentation layer is deeper, then sedimentation rate tend to be slower. It must be pointed in age calculation that initial $^{230}Th/^{234}U$ radioactivity ratio is much influenced when detrital material was introduced in the sample. The $^{230}Th/^{234}U$ activity ratio measured in the present work is 0.06 at $^{232}Th=0$, and this value shows higher analytical errors because of the low· radioactivity of $^{230}Th$ in the samples.

  • PDF

OSL 연대측정을 통한 제주 고산리 유적의 형성과 점유시기 결정 (Evaluation of the formation and occupation of Gosan-ri archaeological site in Jeju Island using OSL dating)

  • 김명진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69-276
    • /
    • 2016
  • 고산리 유적은 우리나라 최초 토기로 알려진 고산리식 토기가 출토된 초기 신석기시대 유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산리 유적의 형성 및 점유에 대한 절대연대 편년을 위하여 유적 내 표준 퇴적층에서 채취된 시료를 대상으로 OSL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각 퇴적층의 고고선량은 $220^{\circ}C$ 열전처리 온도의 단일시료재현법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유적의 퇴적환경을 고려하여 maximum age model을 적용하여 결정하였다. 산출된 고고선량을 연간선량율로 나누어 고산리 유적 퇴적층의 OSL 연대를 결정하였다. 각 퇴적층의 OSL 연대와 14C 연대를 종합한 결과, 고산리 유적은 신석기인들에 의해 기원전 9천년 이후에 형성된 이후 고산리식 토기를 포함하는 신석기시대 초기 유적에서부터 다양한 시기의 다양한 유구가 존재해 오다가 기원전 4천년 중반에 폐기되어 현재에 이르렀다고 추론된다.

5년 간격 연륜의 위글매치를 이용한 정수사 법당 목부재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Radiocarbon Dating of a Wooden Board from Jeongsusa Temple Using Wiggle Matching of Quinquennial Tree-Ring Samples)

  • 남태광;박중헌;홍완;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
    • /
    • 2012
  • 연륜연대로 부여된 강화 정수사 법당 목부재(풍판)의 연대를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41년(AD 1250-1290) 연륜구간에서 1250년부터 5년 간격으로 9개 연륜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하였다. 개별 연륜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의 95.4% 신뢰구간은 113.3년(평균)에 달하였는데, 위글매치 후에는 20년으로 줄어들었다. 각 연륜의 방사성탄소연대 신뢰구간이 연륜연대값을 포함하여 연대의 정확성이 입증되었다. 이 결과는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이 우리나라 목재문화재의 연대측정에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영덕 서부 지품화산암층의 SHRIMP U-Pb 연대측정과 화산과정 (SHRIMP U-Pb Dating and Volcanic History of the Jipum Volcanics, Western Yeongdeok, Korea)

  • 황상구
    • 암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1-352
    • /
    • 2017
  • 영덕 서부에서 산출되는 지품화산암층은 하부로부터 유문암질 화성쇄설암, 층회암, 안산암질 유리쇄설암, 유문암 용암, 응회질 역암, 안산암 용암 순으로 구성되는 층서단위이다. 유문암질 화성쇄설암은 SHRIMP U-Pb 연대측정에 의해 $68.5{\pm}1.6Ma$로 측정되었다. 이 층서단위는 이 무렵에 대부분 유문암질 화산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국부적이지만 다른 화구로부터 안산암질 화산작용에 의해 추가되었다. 유문암질 화산작용은 먼저 수증기마그마성 폭발작용으로 인해 화성쇄설층을 형성시켰고, 나중에 유문암질 화산작용이 재개되어 기존 화구로부터 용암 분류작용으로 유문암질 용암돔을 형성하였다. 1차 및 2차 유문암질 화산작용 사이에 화산 말단부의 낮은 저지는 침수되어 층회암층이 퇴적되었고 연이어 다른 화구에서 안산암질 화산작용이 일어나 흘러나온 용암이 호수물과의 접촉에 의해 급냉파쇄작용으로 유리쇄설암을 형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시 안산암질 용암이 재차 흘러들어와 지품화산을 얇은 안산암 용암층으로 덮었다.

위글매치를 이용한 백제 풍납토성 화재주거지 출토 탄화목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Wiggle Matched Radiocarbon Dates of Charcoal in a Fired Dwelling Excavated at the Pungnaptoseong Earthen Wall, Baekje)

  • 송지애;손병화;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1-416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백제 풍납토성 화재주거지(라-8호)에서 출토된 탄화목의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하여 풍납토성의 축조연대를 규명하는 것이다. 탄화목에서 10년 간격으로 채취된 6개의 연륜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를 위글 매치한 결과, 최외각 연륜의 ${\pm}2{\sigma}$ 연대(95.4% 신뢰구간)가 A.D. 190~280년으로 산출되어 이 주거지가 3세기 초중반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대는 주거지형태와 토기양식으로 추론된 고고학적 편년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위글 매치를 이용한 서천 봉선리 유적 출토 목곽고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Wiggle Matched Radiocarbon Dates of Wooden Warehouses Excavated at the Bongseon-ri Site in Seocheon, Korea)

  • 이광희;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7
    • /
    • 2018
  • 서천 봉선리 유적에서 출토된 목곽고의 제작 연대는 출토된 토층 및 토축부의 축조방법으로 5세기 전후로 추정되었다. 정확한 연대를 확인하고자 목곽부재 3점에 대해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실시하였다. 목곽부재 1(BSMG 01)의 최외각 연륜은 95.4% 신뢰구간에서 AD 431~551년, 목곽부재 2(BSMG 06)는 AD 460~570년으로 확인되었고 목곽부재 3(BSMG 12)은 AD 240~430년 또는 AD 490~510년으로 산출되었다. 목부재 3점의 공통 연대는 AD 490~510년으로 고고학적으로 추정된 연대와 일치하였으며,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정확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