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tandard Format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6초

SEDRIS STF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Data Conversion using SEDRIS STF)

  • 이광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01-110
    • /
    • 2004
  • 멀티미디어 분야에서는 오늘날의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데이터 공유 필요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는 환경 데이터 표현 및 교환 메카니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데이터 표현 및 엑세스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EDRIS의 STF(SEDRIS Transmittal Format)는 이러한 목적을 가능케하는 표준으로써, 환경 데이터 사용자 및 생성자에게 명료하게 정의된 교환 명세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SEDRIS의 표준 교환 포맷을 이용하여 상용 포맷(3DX MAX)을 정보 내용의 의미 손실없이 교환 포맷으로, 교환 포맷을 상용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개발하였다.

  • PDF

한국지진표준 format 제안 및 기본자료처리용 프로그램 (Korea Standard Earthquake Data Format and Analyst Program for Basic Data Processing)

  • 지현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36-43
    • /
    • 2000
  • Many formats are used for recording and processing in the research of earthquake seismology and earthquake engineering. It is very difficult to program the Reading and writing algorithm for data processing because fill format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suggested new file format of Korea Standard earthquake data (KSED) two types of ASCII and binary that are read and written easily. The Program package of basic data processing (Analyst) which has function of basic filtering spectrum analysis event gathering phase picking and location is developed In addition this program supports file transformation from another format(Mini SEED OMD K2) to KSED format.

  • PDF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공유 시스템 (Microarray Data Sharing System)

  • 윤지희;홍동완;이종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31
    • /
    • 2009
  • 최근,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데이터의 품질과 재생산성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하고 있어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공유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개되어 있는 국내, 외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실험 방식, 플랫폼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항목과 포맷을 가지므로 데이터의 실제적 접근 및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플랫폼, 데이터 포맷, 정규화 기법, 분석 방식 등이 서로 다른 기존의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 공유, 통합할 수 있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공유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 서비스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된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통합하며, 각 사이트의 사용자는 UDDI를 통하여 검색한 데이터를 표준 MGED 기반의 공통 데이터 구조로 자동 변환하여 다운 받을 수 있다. 정의된 공통 데이터 구조는 IDF,ADF,SDRF,EDF로 구성되어 다양한 구조의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합할 수 있는 템플릿 역할을 수행하며, MAGE-ML, MAGE-TAB, XML Schema 문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자동 데이터 제출기, 파일 관리자 등은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유통포맷 표준 개발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ed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magery Transmission Format Standard)

  • 임성호;박완용;조재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1
    • /
    • 2010
  • 디지털 영상이 여러 종류의 다양한 정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면서 효율적인 영상정보 활용을 위한 영상유통포맷 표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영상유통포맷 표준의 목적은 영상과 관련 자료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일반적인 포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영상정보를 위해 요구되는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으며, 군의 정보 분야에 필수적인 영상주기 및 메타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영상유통포맷 표준의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의 NITF(National Imagery Transmission Format)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대표적인 군과 민(民)의 영상유통포맷 표준들의 현황을 조사하여 각각의 표준들이 갖고 있는 규격과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영상유통포맷이 가져야 할 조건을 정리하였다. 또한 영상 자료의 고해상도, 대용량화에 따라 필연적인 영상압축 기술과 관련한 현대의 영상포맷 발전 추세에 부응하여 영상유통포맷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A STUDY OF DATA PACKETING FOR K3 X-BAND CHANNEL

  • Lee, Jong-Tae;Lee, Sang-Gyu;Lee, Sang-Taek;Yong, Sang-S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73-76
    • /
    • 2007
  • For the space communication between a satellite and a ground station, spacecraft performs data packeting and data coding. Using standard format certainly has an advantage but depending on the hardware implementation sometimes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is hard to accomplish. This paper studies the suitable way to transfer image data and ancillary data to the ground station in the format of CCSDS recommendation.

  • PDF

Maya 데이터와 SEDRIS STF 데이타간의 자동변환기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Converter of Maya Data And SEDRIS STF Data)

  • 허용도;이광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1-150
    • /
    • 2004
  •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이미 모델링되어 있는 환경 데이터를 재사용하고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환경데이터의 공유 필요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는 환경 데이터 표현 및 교환 메카니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SEDRIS의 STF(SEDRIS Transmittal Format)는 이러한 목적을 가능케 하는 표준으로써, 환경 데이터 사용자 및 생성자에게 명료하게 정의된 교환 명세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SEDRIS의 표준 교환 포맷을 이용하여 상용 포맷(Maya)을 정보 내용의 의미 손실 없이 교환 포맷으로, 교환 포맷을 상용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자동변환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GIS-T 의 DB현황과 구축방향 (GIS-T Database for Korea : A Recomendation)

  • 김용진;김창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59-17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교통부문 지리정보체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포맷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용현황을 고찰하고 외국의 GIS-T구축사례를 고찰하여 필요정보의 항목과 구조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유럽의 교통부문의 GIS데이타베이스 표준인 GDF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여서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교통부문 GIS데이터베이스 표준포맷을 제안하였다. 표준적인 GIS데이터베이스의 포맷의 구축에 따르는 기대효과는 첫번째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함으로써 각 기관과 업계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던 기본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두번째로 한 과업의 결과물이 다른 과업의 데이터로 활용됨으로써 교통부문의 과업들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세번째로 GIS를 이용한 새로운 응용부분들을 개발함으로써 과거에는 너무나 방대한 자료의 양때문에 불가능했던 분석들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GIS와 CALS/EC 시스템의 자료 교환 포맷 연구 (Study of the Data Exchange Format of GIS and CALS/EC System)

  • 이상길;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51-163
    • /
    • 2004
  • 연구는 KOSDIC(Korea Standard of Drawing Information in Construction)과 GIS데이터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도면 교환 포맷 표준개발에 관한 것으로 CAD도면을 매개로 한 KOSDIC과 GIS데이터의 연계 방안에 관한 것이다 제1차 NGIS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수치지도가 CAD데이터로 구축되었고, 개발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자체를 중심으로 GIS사업이 활발히 추진되면서, UIS, LIS, EIS, AM/FM 등 각종 분야와 지리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이 연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여러분야에 걸쳐 활발히 구축되고 있으며, 여러 시스템들과의 연계에서 데이터 교환의 표준화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GIS의 수치지도는 CAD도면의 지형도로 만들어져 있어 GIS포맷으로 변환(DWG→DXF→SHP)하여 공간자료로 활용될때 변환과정에서 오류나 문제점이 많이 발생하여 변환 성공률이 높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객체기반으로 생성되는 CAD도면의 사상들은 Point와 Line feature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Point, Line, Polygon feature를 요소로 하는 GIS시스템에서 Polygon feature의 변환이 불가능하여 데이터의 통합과 표준화에 가장 큰 장애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D도면을 GIS포맷으로 변환시킬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KOSDIC과 GIS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연계방안 뿐만 아니라 여러 데이터간의 표준화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Framework for Internet of Things (IoT) Data Management

  • Kim, Kyung-Ch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59-166
    • /
    • 2019
  • The collection and manipul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ata is increasing at a fast pace and its importance is recognized in every sector of our society.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IoT data, the vast and varied IoT data needs to be reliable and meaningfu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oT framework to realize this need. The IoT framework is based on a four layer IoT architecture onto which context aware computing technology is applied. If the collected IoT data is unreliable it cannot be used for its intended purpose and the whole service using the data must be abandoned. In this paper, we include techniques to remove uncertainty in the early stage of IoT data capture and collection resulting in reliable data. Since the data coming out of the various IoT devices have different formats, it is important to convert them into a standard format before further processing, We propose the RDF format to be the standard format for all IoT data. In addition, it is not feasible to process all captured Iot data from the sensor devices. In order to decide which data to process and understand, we propose to use contexts and reasoning based on these contexts. For reasoning, we propose to use standard AI and statistical techniques. We also propose an experiment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n IoT application to realize the IoT framework.

CASE 자료 형식으로부터 CDIF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자동 생성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Program Generator for Transforming CASE Data Format into CDIF Format)

  • 배상현;남영광;신규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840-3847
    • /
    • 2000
  • 미국의 전자산업협회(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서는 1991년부터 CASE 도구간의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CDIF (CASE Data Interchange Format) 이라는 표준 형식을 제정해 오고 있다.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CDIF 형식으로 변환만 해주면 다른 CASE 도구에서 이를 자신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 CASE 도구 공급자는 CDIF 형식으로 변환 혹은 CDIF 형식을 자신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CASE 도구 공급자가 각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을 지정하여 주면 CDIF 형식을 지원하는 변환기의 소스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생성기를 개발하였다. 이 자동 생성기는 CASE 도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저장형식, 저장형식에 대한 메타정보, CDIF 메타정보를 입력받아서 CDIF 문장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 생성기는 정보저장소에 관계없이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JDBC 및 Oracle과 Sun O/S 환경하에서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