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Reconstruction

검색결과 1,468건 처리시간 0.026초

위전절제시 단순공장간치술의 임상적 의의 (Jejunal Interposition after Total Gastrectomy)

  • 배진선;노승무;정현용;이병석;조준식;신경숙;송규상;이태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4호
    • /
    • pp.210-214
    • /
    • 200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a jejunal interposition, by comparing it with a conventional Roux-en-Y gastrojejunostomy, after a to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or 28 patients (20 men and 8 women) with a gastric adenocarcinoma, who underwent an isoperistaltic simple jejunal interposition, weight, hemoglobin, hematocrit, serum protein and albumin, and cholesterol levels were checked before the operation and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Also, endoscopy was performed to confirm reflux esophagiti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993 and July 199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oux-en-Y procedure. Results: The body weights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had returned to $86.0\%$ and $87.6\%$ of the recent original body weight in the jejunal interposition (JI) group and to $90.8\%,\;87.0\%$, respectively in the Roux-en-Y (RY) group. The levels of hemoglobin (g/dl) were 13.3, 12.5, and 11.9 in the JI group, and 13.8, 12.6, and 12.1 in the RY group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and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respectively. The total serum protein (g/dl) levels were 7.1, 7.2, and 7.5 in the JI group and 7.1, 7.0, and 7.2 in the RY gropu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and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respectively. The serum albumin (g/dl) levels were 4.2, 4.1, and 4.2 in the JI group and 4.2, 4.2, and 4.2 in the RY group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and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respectively. The total serum cholesterol (mg/dl) levels were 186.5, 174, and 164 in the JI group and 213.7, 171.1, and 141.0 in the RY group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and at 1 year and 2 years after the surgery, respectively. The endoscopic finding showed that reflux esophagitis occurred in $7.1\%$ of the patients in the JI group and in $3.5\%$ in the RY group. Conclusion: We think that from the view point of quality of life, a jejunal interposition, as well as a Roux-en-Y procedure, is a useful reconstruction methods for a total gastrectomy.

  • PDF

상부 위암에서 유문보존 근위부 위아전절제술과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위전절제술의 비교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vs. Tot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for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s)

  • 노승무;정현용;이병석;조준식;신경숙;송규상;이태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3호
    • /
    • pp.145-150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by comparing it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 22 patients (12 men and 10 women) who underwent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several clin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993 and December 199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 patients (17 men and 8 women) who underwent an isoperistaltic simple jejunal interposition.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220 minutes)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jejunal interposition group (243 minutes) (P<0.05).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body weight ratio (postoperative body weight/preoparative body weight) in patients who had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jejunal interposition procedure had better outcomes in anastomotic site stricture,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number of removed lymph nodes (P<0.05). Conclusions: We think that from the viewpoint of quality of life,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as well as a jejunal interposition, is a useful reconstruction method for early adenocarcinomas of the proximal stomach. However, stricture of the esophagogastrostomy sit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is a common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 PDF

농촌노인부부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Couples in the Rural Area)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127-15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부부들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를 '젠더관계'에 주목하여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들과 개별적으로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ddot{u}}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에 Dausien의 여성주의적 생애사 분석방법을 절충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삶에는 '진행곡선'을 이루는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가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진행곡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의 '젠더관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및 거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맥락도 나타난 반면, 여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주로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이 나타난 젠더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은 생애단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바깥일'을 위주로 하는 단일한 역할을 담당하며 '집안일'을 수행하는 데에 소극적인 반면, 여성노인들은 전 생애에 걸쳐 '집안일'과 '바깥일'의 '이중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담당한 젠더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doing gender'가 생애사에 나타나며, 나아가 이러한 'doing gender'는 생애단계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생애사와 '젠더관계'에 주목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소라소분지 BP-1공의 층서연구 (Stratigraphy of the BP-1 well from Sora Sub-basin)

  • 오재호;김용미;윤혜수;박은주;이성숙;이민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51-564
    • /
    • 2012
  • 소라소분지에 위치한 BP-1공을 대상으로 유기질 미화석 분석 결과와 탄성파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지질시대를 구분하였고 고환경을 해석하였다. 소라소분지에서는 해침 해퇴의 반복과 해수면 변화에 따른 환경변화 및 생물군의 변화가 있었다. 표준화석과 생태층서 해석에 의하여 지질시대는 하부로부터 후기 에오세, 올리고세, 전기 마이오세로 구분하였다. 유기질 미화석군을 기초로 흑진주공의 생태층서를 상부부터 Ecozone III, Ecozone IV, Ecozone V, Ecozone VI 로 각각 4개의 생태층서대로 나누었다. 흑진주공과 기존 연구된 도미분지의 생층서 자료를 비교한 결과, 소라-1공과 인접한 BP-1공에서는 해성층의 미화석 군집의 다양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각각의 분지 주변과 중앙에 위치한 지형적 차이로 인한 결과로 판단하였다. BP-1공의 층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시추공들과 층서대비를 할 수 있었고 도미분지의 표준층서를 확립하게 되었다.

동기화된 데이터방송을 위한 근사적인 NPT 재구성 기법 (An Approximate Reconstruction of NPT for Synchronized Data Broadcasting)

  • 정문열;김용한;백두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3-90
    • /
    • 2004
  • DVB-MHP에서는 NPT(normal play time)를 스트림 이벤트의 시각으로 쓰기를 권하고 있다. NPT는 특정 이벤트(프로그램) 내부의 국지시간이다. 현재 상용으로 나와 있는 전송 스트림(TS) 생성기와 TV 미들웨어는 아직 NPT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송 스트림 생성기가 셋톱박스에서 NPT를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NPT참조서술자를 생성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PP가 연동형 애플리케이션(Xlet)의 아이디어를 실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우리는 TS에 NPT 참조서술자를 삽입하는 스트림 생성기와 NPT를 근사적으로 재구성하는 MyGetNPT API를 구현하였는데, 본 논문은 그 방법을 기술한다 NPT 재구성 AP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STC(system time clock) 값을 알 필요가 있으나, Xlet에서는 STC를 읽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S를 통해 전송되는 PCR (program clock reference) 과 Java 시스템 타임을 이용하여 STC를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전송 스트림 생성기는 이미 존재하는 TS로부터 PCR 들을 추출한 후, 이를 TS의 null 패킷에 Xlet에서 읽을 수 있는 MPEG 섹션의 형태로 삽입한다. 이때, PCR이 TS 내의 원래 위치에서 이동하여 다른 위치에 삽입되므로, PCR 값은 TS내의 원래 위치와 새로운 위치간의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수정한다. 구현한 TS 생성기와 MyGetNPT API를 이용하여 그래픽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목적인 스트림 이벤트를 가진 연동형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그래픽 이미지들이 원래 의도된 시점으로부터 240ms 이내에 비디오와 동기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시간은 기존의 연구에서 발견된 그래픽 이미지와 비디오간의 동기화 오차 허용한계이다.

견봉쇄골 관절탈구의 수술적 치료의 비교 (A Clinical Analysis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김영규;이범구;문도현;고진홍;이수찬;박홍기;최상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1호
    • /
    • pp.26-34
    • /
    • 1998
  • The manage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s has usually followed the accepted principles of obtaining an anatomical reduction of the joint and maintaining it until soft tissue healing has occurred. So, the preferred treatment for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is controversial. We analysed operatively treated twenty-eight cases for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etween February 1994 and January 1997 and reviewed postoperatively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ree different methods. We collected retrospectively the data via clinical history, associated injury, type of injury, radiographic review, Taft score, and final results. Follow up time averaged 14 months. (range, 12 to 21 ) In according to Rockwood's classification, ]7 cases were type Ⅲ, 1 case was type IV, and 10 cases were type V. Ten cases were treated with the modified Phemister method, ten cases with the modified Bosworth method and eight cases with the modified Weaver-Dunn method. ]n patients treated by modified Phemister method, the Taft score was 9.4 points and 8 cases achieved good or excellent results. In patients treated by modified Bosworth method, the Taft score was 9.8 points and 8 cases achieved good or excellent results. In patients treated by modified Weaver-Dunn method, the Taft score was 10.3 points and 7 cases achieved good or excellent results. The overall Taft score was 9.9 points and 23 cases achieved good or excellent results. There were four complications, such as calcification or metallic loosening or breakage of K-wire, but did not influence late results. In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ults regarding the different three methods. However,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acoclavi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by transfer of coracoacromial ligament produced better results.

  • PDF

가토의 하악골에서 골신장기 동안 반복 골신장술이 골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SCILLATING DISTRACTION OSTEOGENESIS ON NEW BONE FORMATION DURING MANDIBULAR DISTRACTION PERIOD IN RABBITS)

  • 권준경;박홍주;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3호
    • /
    • pp.241-249
    • /
    • 2006
  • Purpose For the reconstruction of craniofacial deformities,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n useful method which can make new soft tissues as well as new bone. Although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n effective procedure in quantitative aspects, the new bone formed by this procedure can be coarse in qualitive aspects sometimes.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rabbits, weighing about 2 kg, were included and the prefabricated distraction device were used. After a latency period of 5 days, in the experimental group (n=6), the mandible was distracted at the rate of 1.0 mm/day for 2 days and then compressed with 1.0 mm for the next 3rd day, therefore distracted totally to a length of 1.0 mm for 3 days. This procedure was repeated 5 times an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stracted to a length of 5.0 mm for 15 days finally. In the control group (n=6), the mandible was distracted totally to a length of 5.0 mm at the rate of 1 mm/day. At 2 weeks and 8 weeks of consolidation in the control group, 3 rabbi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nd their biopsy specimens from the distracted mandible were taken. Results All animals showed the mandibular elongation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Histologically, many blood vessels, osteoblasts and immature bones formed by osteoid deposition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2 weeks. At 8 weeks, the bony trabeculae were thicker than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and were composed of lamella bones and woven bones in the experimental group. 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bone deposition area of the distracted site was broader in the experimental group $(273.8{\pm}115.7\;cm^2)$ than the one in the control group $(199.4{\pm}101.4\;cm^2)$. Futhermore, the modified rate of bone deposition area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48${\pm}$20%) than the one in the control group (35${\pm}$18%). However, these dat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by using an alternating distraction/compression protocols is an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new bone formation in distracted areas.

주물 응고 수치해석 복원모델의 설계모델 매핑을 통한 몰입형 가시화 (Immersive Visualization of Casting Solidification by Mapping Geometric Model to Reconstructed Model of Numerical Simulation Result)

  • 박지영;서지현;김성희;이선민;김명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3호
    • /
    • pp.141-14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설계모델과 주물 응고의 유한차분법 기반 해석결과를 결합하여 가시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VR 디스플레이를 도입하여 입체 가시화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분석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먼저 기존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얻어진 응고해석 결과를 사각형 메쉬모델로 복원하여 복원모델의 모든 정점의 색이 해당 위치의 온도수치를 표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설계모델의 모든 정점에 대해 가장 가까운 복원모델의 정점을 탐색함으로써 두 모델을 대응하고 대응점의 색을 설계모델 정점에 지정한다. 이때 설계 모델은 최소의 정점으로 모델의 형상이 이루어져 있어 정점의 분포가 복원모델에 비해 균일하지 않으므로 특정 임계값을 설정하여 삼각형 변의 길이가 이보다 큰 경우 정점을 추가함으로써 형태를 유지하는 메쉬 분할을 수행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설계모델 상에서 응고해석 데이터를 가시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석객체 세부영역의 정확한 기하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VR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감나는 작업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문제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로 CT를 이용한 BALB/C(흰쥐) 간문맥의 미세혈관 조영 영상 (Microvascular Contrast Image in Portal Veins of Rat using Micro-CT)

  • 이상호;임청환;정홍량;한범희;모은희;채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9-266
    • /
    • 2010
  • 고해상도 엑스선 영상장치인 마이크로 CT를 이용, 흰쥐 간의 전체적인 문맥상과 각 간엽(lobe)의 미세혈관구조를 관찰하여 4개 분절 간엽의 구조를 영상화 하였고, 단축면상의 데이터를 3D영상으로 재구성한 미세혈관 구조의 입체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마이크로 CT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마리의 간 중에서 손상이 가장 적은 1개의 간을 4 개의 분절 간엽으로 각각 절단하여 문맥의 미세구조를 이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MIP기법을 이용하여 간 문맥 전체 미세혈관의 3D영상을 얻었으며, 각 간엽의 미세혈관은 6분지까지 관찰할 수 있었다. 6 분지까지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치는 1 branch : $0.51mm{\pm}0.08$, 2 branch : $0.32mm{\pm}0.12$, 3 branch : $0.23mm{\pm}0.11$, 4 branch : $0.19 mm{\pm}0.08$, 5 branch : $0.13mm{\pm}0.06$, 6 branch : $70.5{\mu}m{\pm}14.1$ 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획득한 3차원의 입체 영상과 미세혈관 구조의 발견은 향후 고해상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 CT가 많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미분지 도미-1, 소라-1공의 층서와 고환경 (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 of Domi-1 and Sora-1 Wells, Domi Basin)

  • 윤혜수;변현숙;오진용;박명호;이민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4호
    • /
    • pp.407-429
    • /
    • 2012
  • 도미분지에 위치한 도미-1공과 소라-1공을 대상으로 와편모조류 미화석, 유기물상 분석 및 탄성파자료 해석을 통한 지층대비의 방법으로 연구지역의 층서와 고환경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일본 북서 큐슈지역의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생물상변화를 토대로 상부에서부터 Ecozone A, Ecozone B(Barren zone), Ecozone C, Ecozone D(Barren zone)로 각각 4개의 생태층서대로 나누었다. 표준화석에 의한 지질시대는 2개 시추공 모두 하부로부터 에오세 - 올리고세, 마이오세, 플라이오세 - 플라이스토세 시기로 나타났다. 유기물상에 의한 고환경은 상부에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이 5개로 나누었다; Association I(Inner neritic), Association II(Freshwater), Association III(Inner neritic), Association IV(Freshwater), Association V(Swamp). 두 개의 시추공 자료를 토대로 일본 측 생층서 자료와 비교 한 결과, Heteraluacacysta campanula, Tubiosphaera galatea 등의 에오세 - 올리고세 표준화석이 양측 연구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고, 두 지역의 군집조성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미분지와 일본의 북서 큐슈 지역의 고제3기층 발달사에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