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Maturity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5초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주영;박균열;이인수;이수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89-107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진로성숙도 간 종단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 변인의 경우,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 변인 역시 1차년도에서 6차년도에 이르는 시간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강화 프로그램 정착, 입시제도가 아닌 진로발달단계를 고려한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 중 고등학교에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추가 배치 등을 제안하였다.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The Effects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 김기헌;유홍준;오병돈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19-36
    • /
    • 2014
  •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체험이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보다 면밀하게 진단하기 위해 미경험자와 경험자간의 무작위성(randomness)을 확보할 수 있는 CEM(Coarsened Exact Matching) 방법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체험은 매칭 후에도 다른 요인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나누어 분석한 두 가지 결과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직접체험과 간접체험을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역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진로성숙도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간접체험보다는 직접체험이 더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체험이 진로 관련 특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업 관련 특성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진로체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진로체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이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Factors affecting dental biofilm maturity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in Korean older adults

  • Shin, Na-Ri;Choi, Jun-Seo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1-362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which was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 in a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67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lder.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ests to measure their manual dexterity and handgrip strength, which are parameters that indicate hand function abilities. To evaluate dental biofilm maturity, 804 surfaces of six index teeth were imaged using QLF-D and then quantified as ${\Delta}R$ value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2017 to April 30, 2018.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Delta}R$). Results: Th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 most strongly related to dental biofilm maturity(${\Delta}R$) was manual dexterity (${\beta}=-0.326$), followed by handgrip strength (${\beta}=-0.303$)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beta}=-0.283$) (p<0.05). Conclusions: Manual dexterity, handgrip strength,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are factors that can predict dental biofilm maturity in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Therefore, the hand function of a patient should be evaluated first, before assessing the oral hygiene status of the patient or providing him/her wit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dental hygienist should provide differentiated oral hygiene care depending on the patient's hand function ability. Finally, dental hygienists should help older adul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interdental brushes and keep motivating them to use the devices more frequently.

교사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 의사 희망 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areer Maturity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eaching Job in Comparison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being a Doctor)

  • 백선희;허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0
    • /
    • 2020
  • 이 연구는 교직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자기 이해, 진로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을 의사직 희망 학생과 비교하여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 자료를 분석, 교직 희망 학생과 의사직 희망 학생을 추출하고, 이들의 진로 특성을 비교하고 아울러 학년별 추이를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인 '자기이해'와 '진로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교직 희망 학생은 의사직 희망 학생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장래 희망 직업에 관계없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의 점수가 낮아지고 있었고, 모든 학년에 걸쳐 의사 희망 학생에 비해 교직 희망 학생의 하위 영역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1-2학년에만 측정된 '일에 대한 태도' 점수는 의사 및 교직 희망 학생 모두 다른 하위 영역 점수에 비해 낮게 나타나 중학생들이 바람직한 직업 가치에 기반하여 장래 희망 직업을 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바람직한 교직 희망 학생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Career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 한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3-50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이 점차 심각해지는 이 시기에 대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위치한 4년제 N 대학교의 교양수업을 수강한 348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6.0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감성지능과 인지정서조절전략은 진로성숙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감정이나 정서들도 긍정적 사고와 동기유발 등을 통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이 확산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가 진로 및 취업분야에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방안들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cial Matur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Farming Villages)

  • 김희동;장연식;백지영;한재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77-286
    • /
    • 2014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을 양육지원하기 위한 교육정책과 적절한 사회성숙도를 통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 54명을 대상으로 단축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처리능력은 평균 $154.33{\pm}21.24$점,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은 $5.46{\pm}1.76$세, 사회지수는 $91.28{\pm}18.31$로 각각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도의 지연을 보였다. 둘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연령의 영역에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에 해당하는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사회지수의 영역에서는 움직임 민감성,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 청각 여과하기,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의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셋째, 감각처리능력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변인 분석 결과에서는 사회성숙도의 영역 중 사회연령 영역에 45.3%, 사회지수 영역에 66.3%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 최영재;이인희;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68-70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전공대학생의 학년별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와 진로 의사결정유형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 상담 및 교육 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미용관련학과 336명이다. 진로성숙도는 고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진로성숙도가 낮을수록 의존적 진로의사결정과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고학년일수록 진로 결정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며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논리적으로 결정하는 합리적인 유형을 나타냈고. 저학년일수록 자신의 현재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 정서적 자각을 통해 결정 내리는 직관적 유형과 주변인이나 환경의 영향에 따라 결정 내리는 의존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은 학년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두 변인 간의 중요성이 밝혀진 만큼 저학년부터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학년별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진로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Maturity of the Adolescents)

  • 송병국;전주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235-264
    • /
    • 2013
  • 본 연구는 진로에 대한 구체적 고민이 시작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 진로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지역의 중학생 672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특성(성별, 학년, 사회경제적 수준, 학교성적)에 따른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특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적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가운데 어떤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등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할 때,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낮추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청소년시기 진로지도나 상담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정보기술수준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Maturity Levels of Information Technology)

  • 이상엽;이주현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4권1호
    • /
    • pp.129-138
    • /
    • 1997
  • In today's competitive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a resource of primary importance to most organizations. This paper compares Korea's IT maturity levels with respect to those of other major nations. For this research, we used an empirical approach, based on experts surveys. IT classification framework proposed by ETRI is adopted to organize th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trategic IT planning by the government.

  • PDF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금지헌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7호
    • /
    • pp.59-6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total of 37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the 23 copies deemed insincere in response.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technical statistics of the frequency, ratio,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ia PASW 18.0, item-total correlation, the totality,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analysis via AMOS 7.0 in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ndertaken to perform the path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ausal model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ental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s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 Third, parental social support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s indirect effect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