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Library

검색결과 2,810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 유통 전자출판물의 납본 및 수집을 위한 데이터 요구사항 및 품질 검증 연구 (A Study on Data Requirements and Quality Verification for Legal Deposit and Acquisition Tasks of Domestic Electronic Publications)

  • 김규환;김수정;정대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7-148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전자출판물의 납본 및 수집을 위한 데이터의 속성과 속성값의 표준화 방안과 정책 및 제도적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필수 및 선택 속성은 총 21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국립중앙도서관 납본 및 수집 업무 담당자들의 설문조사 및 FGI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되었다. 데이터 품질 검증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필요한 속성이 발견되어, 전자책, 오디오북, 웹툰, 웹소설 등 자료유형별로 필수 및 선택 속성을 구체화하였다. 속성값의 표준화는 ISO 8601 규칙에 따른 날짜 및 시간의 표기, 파일 형식과 성인 여부 등 제한된 범위의 속성값의 명확한 지정, 제목과 관련된 정보의 상세한 기술 등을 포함하였다. 정책 및 제도적 고려사항은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요구사항의 확립,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자료관리(資料管理) Library의 개발(開發)을 통한 하수처리장(下水處理場)의 효율적(效率的)인 유지관리(維持管理)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Sewage Treatment Plant with Development of Database Management Library)

  • 이재기;이현직;최석근;박경렬;노병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3-118
    • /
    • 1997
  • 최근 하수처리업무는 도시인구의 증가 및 하수처리기준의 강화로 인해 대부분의 도시에서 하수처리 시설의 신설 및 증설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수처리시설의 증설에 대비하여 중요시설의 유지관리에 필수적인 도형 및 속성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관리 Library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유지관리에 필요한 도형 및 속성정보의 자료관리 Library를 개발하였으며, 청주시환경사업소를 대상으로 하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업무의 현황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수행하여 이를 토대로 하수처리장 유지관리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하수처리장 유지관리시스템은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조작하기 위한 기본기능과 하수처리 관련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응용기능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하수처리장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공대출보상권 제도 논의를 위한 공공도서관 대출 통계 분석 (Analysis of the Loan Statistics of Public Libraries for Discussion of the Introduction of Public Lending Right)

  • 이흥용;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7-238
    • /
    • 2019
  •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공공대출보상권 제도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전국 820개 공공도서관의 대출통계를 분석하여 공공대출보상권 제도의 보상금 산정 논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출 분석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이 관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정보나루'가 제공하는 11억 7,830만건의 대출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공공도서관 대출 통계 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 가장 많이 대출된 도서 상위 125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도서들을 대상으로 저자별 현황, 저자의 국별 현황, 일본 저자의 현황, 출판사별 현황, 학습만화의 대출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마을기록물 관리를 위한 KORMARC-통합서지용 형식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KORMARC-Integrated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for Management of Community Archive)

  • 김보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5-310
    • /
    • 2019
  • 최근 지역사회 공공도서관을 통해 수집되는 마을기록물은 정리하고 보존하여 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것 보다 도서관 자료의 범주에 포함 시켜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ISAD(G)과 DC등 마을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표준의 기술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공통되거나 유사한 기술요소는 통합하여 25개의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25개 기술요소는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실증적인 검증을 거쳐 최종 3개 기술영역과 21개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는 KORMARC-통합서지용의 데이터필드와 매핑을 통해 필수, 권장, 선택으로 구분하고 도서관자료관리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Scienc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ts Direction)

  • 강지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43-363
    • /
    • 2016
  • 본 연구는 69개의 iSchool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내 교과와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한다. iSchool은 건강, 기술, 바이오 분야를 비롯한 관련 분야로 그 교과 영역을 확장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국내 교과에서는 인접학문과 융합하려는 현상은 활발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영역 역시 iSchool이 집중하는 분야인데, 일반적인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관리, 데이터 보안 등에 중점을 둔 교과가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교과 분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과의 비중이 높았으며, 비슷한 비중으로 통계와 분석법이 제공되고 있었다. iSchool의 교과를 분석하고 국내 사례와 비교해 본 결과 본 논문은 국내 문헌정보학이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를 확대하고, 병진 데이터 사이언스로의 역할을 강화하며, 수리적 분석 능력을 키우는 교과를 개발하되, 특성화된 교과를 발굴하여 실험적인 수업을 제공하고,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지식을 제공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데이터 사이언스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Data Science)

  • 이명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63-29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 양성을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프로그램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7개 대학교와 미국의 10개 대학교를 분석하였다. 14개의 데이터 사이언스 과정이 대학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way의 데이터 사이언스 3대 영역 중 수학 및 통계 지식 영역에 국내는 10% 그리고 미국은 26%가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의계획서 분석에서 수업내용 및 평가 방법은 국내외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데이터 사이언스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공간의 지식정보 구성 및 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formation Construction & Transfer in the Library Spac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0-229
    • /
    • 2013
  • Recently, the volum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electronic media is quickly increasing in the library fiel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Libraries have both printed data and electronic data and are faced with the issue of corresponding with the access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erms of the space. This study is for building the layout of a sustainable knowledge information space based on the view that the library is the official infrastructure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based societ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stics i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forecast the spatial structure where users access knowledge information and exchange with one another and developing the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the spatial plan that today's libraries prefer through this analysis. For this, this study firstly prepared the base for the research on library space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hysical realization of such concept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ocial concept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lso, it seized the characteristics i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by conducting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ervice such as knowledge information and space, space and information media, space and space through the cases of 10 public libraries. The analysis resulted in basic data including the system of organizing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of knowledge information transferring elements and structure, and layout pattern of each library. These results are deemed meaningful for the promo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hrough the exchange, creation, and experience of knowledge information, the social role of today's public library.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ibrary Services Based on Cloud Computing)

  • 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7-84
    • /
    • 2012
  • 정형, 비정형의 정보자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도서관에 있어서 정보자원의 효과적인 저장, 관리 및 보존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 도서관 간의 협업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이 도서관을 둘러싼 변화와 도전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도서관 시스템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기대효과, 단계별 전략 및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 도서관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한 사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에 따른 도서관 적용 분야 및 접근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단계별 접근방법을 통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입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자료검색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the Searc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in Busan)

  • 이은주;노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3-181
    • /
    • 2023
  • 도서관 서비스의 기본은 자료에 대한 이용자의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서지데이터(서지MARC)를 활용한 자료검색서비스의 고품질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도서관목록을 근간으로 한 자료검색서비스 관련 논의가 2010년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어 자료검색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요구를 면밀히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이 이용자 요구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료탐색도구로 거듭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부산지역 49개 공공도서관 자료검색서비스를 '목록검색 방식'과 '정보제공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고, 둘째, 공공도서관 이용자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자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자료검색서비스의 우수 참조사례를 근거로 현황과 요구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동시인용 분석 기반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Co-Citation)

  • 이민희;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11-331
    • /
    • 2023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 4종의 논문을 분석하여 지식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탐구하고 중요한 연구 주제와 핵심 저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핵심 학술지 4종의 5년간 발표된 논문을 수집하여 선별하여 논문의 저자 데이터와 참고문헌의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Netminer를 사용하여 문헌동시인용 분석과 저자동시인용 분석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 간의 동시인용 쌍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연구자 간의 동시인용빈도 분석을 통해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에서 복수 저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논문 주제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헌정보학 관련 연구가 '도서관, 디지털, 이용자, 서비스, 데이터'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