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Index Information

검색결과 2,719건 처리시간 0.027초

데이터 인용의 현황과 제언 (The Current State and Recommendations for Data Citation)

  • 김지현;정은경;윤정원;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29
    • /
    • 2017
  •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논문의 인용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 잡은 데 비해 데이터의 인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 인용의 필요성 및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인용체계 구축 사례에서는 데이터 인용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DataCite, Dataverse Network, Data Citation Index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 인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세트 인용/이용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였다.

Assessment and quantification of hurricane induced damage to houses

  • Chiu, Gregory L.F.;Wadia-Fascetti, Sara Jean
    • Wind and Structures
    • /
    • 제2권3호
    • /
    • pp.133-150
    • /
    • 1999
  • Significant costs to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due to recent extreme wind events have motivated the need for systematic post-hurricane dama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urrent post disaster data are collected by many different interested group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voluntary disaster relief agencies, representatives of media companies, academicians and companies in the private sector. Each group has an interest in a particular type of data. However, members of each group collect data using different techniques. This disparity in data is not conducive to quantifying damage data and, therefore, inhibits the statistical and spatial description of damage and comparisons of damage among different extreme wind events. The data collection does not allow comparisons of data or results of analyses within a group and also prohibits comparison of damage data and information among different groups. Typically, analyses of data from a given event lead to different conclusion depending upon the definition of damage used by individual investigators and the type of data collected making it difficult for members of group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ir analyses with a common language and basis. A formal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within any single group-would allow comparisons to be made among different individuals, hazardous events and eventually among different groups, thus facilitating the management and reduction of damage due to future disaster. This research introduces a definition of damage to single family dwellings, and a common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uited for groups interested in regional characterization of damage. The current state-of-data is presented and a method for data collection is recommended based on these existing data collection methods. A fixed-scale damage index is proposed to consider the damage to a dwelling's feature. Finally, the damage index is applied to three dwellings damaged by Hurricane Iniki (1992). The damage index reflects the reduced functionality of a structure as a single family detached dwelling and provides a means to evaluate regional damage due to a single event or to compare damage due to events of different severity. Evaluation of the damage index and the data available support recommendation for future data collection efforts.

XML 데이타 색인을 위한 경로 분할 기법 (A Path Partitioning Technique for Indexing XML Data)

  • 김종익;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3호
    • /
    • pp.320-330
    • /
    • 2004
  • XML에 대한 질의 언어는 데이타 그래프 내의 경로를 이용하여 질의를 표현한다. 특히, 경로에 패턴 (예를 들어, 정규식)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타의 구조를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질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패턴을 이용하는 질의는 데이타 그래프의 탐색범위를 크게 넓히게 된다. 기존의 XML색인 기법은 질의의 탐색범위를 줄이기 위해 데이타 그래프 내의 서로 동일한 경로들을 하나로 묶어 작은 크기의 색인 그래프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색인들은 많은 경우 색인의 크기가 데이터 그래프의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어 질의의 탐색범위를 줄이지 못하고, 따라서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 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를 분할(partitioning)하고 질의 처리 시 질의에 맞는 분할 영역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는 색인 그래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색인 그래프는 데이터 그래프의 크기와 상관없이 색인 그래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색인 그래프의 크기를 작게 구성함으로써 색인 그래프 탐색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기존의 그래프 기반색인 기법들보다 본 논문의 색인 기법이 보다 효율적임을 보이고 색인의 크기 변화에 따른 성능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객체지향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색인기법 (An Indexing Technique for Object-Oriented Geographical Databases)

  • 부기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5-120
    • /
    • 1997
  • 객체지향 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설계시 중요한 고려 사항은 저장된 데이타에 대한 좋은 접근 전략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객체지향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여러가지 색인 기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기법들은 객체지향 데이타 모델의 집단화 계층이나 상속 계층 중 어느 한 가지만을 고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포인터 체인 디렉토리를 이용하여 객체지향 지리 데이터베이스의 집단화 및 상속 계층을 접근하는 데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을 기존의 색인 기법들과 다양하게 비교하였으며, 저장비용과 검색비용 측면에서 그 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우선주가격 및 수익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the Prices and Returns of Preferred Stocks)

  • 김산;원재환;원영웅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9-172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conomic variables which have impact on the prices and returns of preferred stocks and to provide investors, underwriters, and policy makers with information regarding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 between them.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98 monthly data from Korea Exchange and Bank of Korea. The Granger causal relation analysis, unit-root 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hir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 First, our study derives the economic variables affecting the prices and returns of preferred stocks and their implications,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economic factors between common and preferred stock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prices and returns of preffered stocks are consumer sentiment index, consumer price index, industrial production index, KOSPI volatility index, and exchange rate between Korean won and US dollar. Second, consumer sentiment index, consumer price index, and industrial production index have significant casual relations with the returns of preferred stocks, providing market participants with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investment in preferred stock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preferred stocks themselves are investigated rather than the gap between common stocks and preferred stocks. In addition, we derive the major macro variables affecting the prices and returns of preferred stocks and find some useful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macro variables and returns of preferred stocks. These finding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market participants, including stock investors, underwriters, and policy makers.

고차원 색인 구조를 위한 효율적인 벌크 로딩 (An Efficient Bulk Loading for High Dimensional Index Structures)

  • 복경수;이석희;조기형;유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327-2340
    • /
    • 2000
  • 다차원 색인 구조를 위한 기존의 벌크 로딩 알고리즘은 색인 구성 시간과 검색 성능 모두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대량의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색인 구조를 위한 새로운 벌크 로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는 알고리즘은 색인을 구성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전체 데이터 집합을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여 피벗 값에 따라 분할하는 기법을 이용한다. 또한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들의 분포 특성에 따라 분할 위치를 선택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색인 구성 시간과 검색 성능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국내 통계학 관련 학술지의 인용지수 비교 및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and comparing citation index of statistics journals)

  • 원동기;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317-325
    • /
    • 2014
  • 최근 들어 연구자의 연구능력평가와 함께 학술지의 내용과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를 중심으로 통계학 관련 국내 학술지들이 어떠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다양한 KCI 인용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해보고,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 연결망을 사회네트워크분석 관점에서 조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자기인용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물리학, 화학에 비하여 통계학 관련 학술지들의 영향력지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학술지들에서 통계학 관련 학술지들을 인용한 빈도는 높지 않았다. 셋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의 경우 연결망분석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노력의 여지는 있어 보인다.

ETF와 블랙리터만 모형을 이용한 인핸스드 인덱스 전략 (Enhanced Indexation Strategy with ETF and Black-Litterman Model)

  • 박기경;이영호;서지원
    • 경영과학
    • /
    • 제30권3호
    • /
    • pp.1-16
    • /
    • 2013
  • In this paper, we deal with an enhanced index fund strategy by implementing the exchange trade funds (ETFs) within the context of the Black-Litterman approach. The KOSPI200 index ETF is used to build risk-controlled portfolio that tracks the benchmark index, while the proposed Black-Litterman model mitigates estimation errors in incorporating both active investment views and equilibrium views. First, we construct a Black-Litterman model portfolio with the active market perspective based on the momentum strategy. Then, we update the portfolio with the KOSPI200 index ETF by using the equilibrium return ratio and weighted averages, while devising optimization modeling for improving the information ratio (IR) of the portfolio. Finally, we demonstrate the empirical viability of the proposed enhanced index strategies with KOSPI 200 data.

지역정보화 정책 수립을 위한 지역정보화지수 작성에 관한 연구 (The regional information index in major cities of korea)

  • 지경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81-391
    • /
    • 1997
  • This study aims at designing and calculating of the information index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regional information policy. The content and scope of this study are designing the struture of information index, measuring the informatization level in major cities of Korea and inducing rough idea for better performing of Korea information policy. Thereby we calculated tables ofinformation indexon seventy-eight cities in Korea from 1985 to 1994 and also basic strategy for better policy implementation. And we found that every citities share the benefit almost equal in the use of old media but not in that of new media. It can be expected that the bovernment will make a good use to get procedural validity in the course of designing some information policy based upon quantitative data.

  • PDF

식중독 발생지수 개발 (Developing the Index of Foodborne Disease Occurrence)

  • 최국렬;김병수;배화수;정우석;조영준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649-658
    • /
    • 2008
  •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학교와 기업 등의 단체 급식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관련분야에서는 식중독 예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온도에 따른 세균의 증식속도를 이용하여 식중독지수를 개발하여 식중독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정보가 식중독 발생상황과는 차이가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2004{\sim}2006$년)의 일별 식중독 발생과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최고기온, 습도, 월효과를 설명변수로 하고, 식중독 발생건수를 반응변수로 하는 로그선형모형(Log Linear Model)을 이용하여 식중독 발생의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사고발생지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수와 기존지수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지수가 식중독 발생 상황을 반영함에 있어서 더 나은 설명력이 있음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