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pple frui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국내 얼룩반점 자두에서 발생한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의 유전자 변이 (Hop stunt viroid (HSVd) Sequence Variants from Dapple Fruits of Plum (Prunus salicina L.) in Korea)

  • 조인숙;정봉남;조점덕;최승국;최국선;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8-363
    • /
    • 2011
  • 경기도와 경상북도 일대의 '대석조생' 자두 재배포장에서 착색이 불균일한 얼룩 반점 증상의 과실이 발생하였다. 이들 시료로부터 유전자 진단(RT-PCR)과 Dot-blot hybridization 검정 결과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가 검출되었고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개의 HSVd 변이주(DP1, DP2) 를 동정하였다. GenBank에 등록된 자두 HSVd의 7개 변이주와 새로운 DP1, DP2 변이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94-100%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DP1와 DP2의 유전자는 59번과 60번 염기가 각각 CG, AA로 서로 다른 변이를 보였다. 국내외 자두 과실 얼룩반점 증상에서 동정된 HSVd의 유전자는 특이적으로 59번과 60번 부위의 염기가 CG, AA, TG인 3개 군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dosporium sp. is the Major Causal Agent in the Microbial Complex Associated with the Skin Sooty Dapple Disease of the Asian Pear in Korea

  • Park, Young-Seob;Kim, Ki-Chung;Lee, Jang-Hoon;Cho, Song-Mi;Choi, Yong-Soo;Kim, Young-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8-124
    • /
    • 2008
  • Skin sooty dapple disease, a fungal disease that lowers Asian pear fruit quality, has emerged recently in Korea but has not yet been thoroughly characterized. This disease affects the surface of fruit, leaves, and young shoots of the Asian pear, typically appearing as a dark or pale black dapple on the fruit surface. The disease initiates on the fruit with small circular lesions that become bigger, eventually spreading to form large circular or indefinite lesions. Sparse dark or flourishing white-greyish aerial mycelia and appearance of a dark or pale black dapple on the fruit surface are typical signs of this disease. The disease was severe during cold storage of the Niitaka and Chuhwangbae varieties, but more limited on the Gamcheonbae and Hwangkeumbae varieties. To identify causal pathogens, 123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lesions. The fungi that caused typical skin sooty dapple disease symptoms in our bioassay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74% of the isolates were Cladosporium sp. and 5-7 % of the isolates were Leptosphaerulina sp., Tripospermum sp., or Tilletiopsis sp. None of the isolates caused severe soft rot by injection to a wound plug, but some of the Cladosporium sp. isolates caused mild maceration. Therefore this microbiol complex cannot account for the soft rot also observed in stored fruits. The high frequency of isolation of Cladosporium sp. from disease tissues and bioassay on pear fruit surface suggest that Cladosporium sp. could be a major pathogen in the microbial complex associated with skin sooty dapple disease of the Asian pear in Korea.

동양배 과피얼룩병의 발생생태와 화학적 방제 (Etiology and Chemical Control of Skin Sooty Dapple Disease of Asian Pear)

  • 박영섭;김기청;이장훈;김인선;최용수;조송미;김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5-381
    • /
    • 2008
  • 최근 전국에 걸쳐 동양배의 과실, 잎 및 신초에 과피얼룩병이 발생하여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들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이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과피얼룩병의 년도별 발생정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보면 강우량이 많았던 해에 과피얼룩증상 발생이 많았다. 과피얼룩병의 발생은 봉지씌우기에 의해 예방되지 되지 않았고, 발병량도 씌우는 봉지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씌우기의 발병과에 있어서 과실적도면의 위쪽보다 하부쪽에 병반수가 많이 나타났다. 화학농약을 적게 살포한 과수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하였다. 시판 살균제 중에 thiophan WP와 penconazole WP가 과피얼룩병균의 일종인 Cladosporium sp.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실제 포장에서 penconazole과 flusilazole의 단독 혹은 교호로 살포하였을 때 모두 방제가가 낮았다. 반면에 석회유황합제 살포와 봉지씌우기를 병행하였을 때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최근들어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줄이고 있는 배 과원이나 유기농 과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Occurrence of Apple scar viroid-Korean strain (ASSVd-K) in Apples Cultivated in Korea

  • Lee, Ju-Hee;Park, Jean-Kyung;Lee, Dong-Hyuk;Uhm, Jae-Youl;Ghim, Sa-Youl;Lee, Jai-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300-304
    • /
    • 2001
  • Apple 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fruit in Korea. The suspected viroid disease of dapple apple was found in apple fruits cultivated in Kyungpook province. Symptoms begin in mid-July as small circular spots, which stand out against the background color on the young fruit. Dappling of the fruit becomes more intense and easier to detect as the fruit approaches maturity; the affected spots remain yellowish as the fruit matures. no leaf or bark syndrome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is disease. The infected fruits are downgraded considerably during quality grading. The low molecular weight RNA containing viroid RNA molecules were extracted from the peels of the apples with dapple symptoms. The RNA molecules were extracted from the apples using Qiagen column chromatography. The purified RNAs were used for the synthesis of cDNA with RT-PCR. The PCR products were then ligated into a pGEM-T Easy vector, cloned and sequenced. The sequence of the viroid RNA molecule shows 331 nucleotides with one base difference ("G" insertion between the position of 133 and 134) compared with that of the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reported by Hashimoto and Koganezawa in Japa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the ASSVd in apple trees cultivated in Korea,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of a new Korean strain of the ASSVd.the ASSVd.

  • PDF

Apple Scar Skin viroid 발생상황 및 Real-time RT-PCR을 이용한 상대정량 분석 (Occurrence of Apple Scar Skin viroid and Relative Quantity Analysis Using Real-time RT-PCR)

  • 김대현;김현란;허성;김세희;김민아;신일섭;김정희;조강희;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47-253
    • /
    • 2010
  • 우리나라 사과 및 배 주산단지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ASSVd에 대한 진단 결과, 사과 및 배나무 전체 1,193주에서 20주가 바이로이드가 검출되어 1.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감염상황을 살펴본 결과, 사과는 '홍로' 품종이 이병율이 3.6%로 타 품종에 비해 많이 감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확인된 후지 등 주요 품종에서의 ASSVd 병징은 주로 과피 얼룩반점 증상이었으나, 후지품종 과피에 발생한 코르크(corking) 반점증상이 ASSVd 감염과 연관된 것으로 새롭게 확인하였다. 본 증상은 앞으로 유관으로 바이로이드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SSVd에 감염된 사과를 대상으로 real time RT-PCR을 이용하여 ASSVd을 진단하고 시료간 상대 정량값을 분석하였다. real time RTPCR은 기존 RT-PCR에 비하여 전기영동이 필요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오염의 위험성이 적었다. 특히 시료 간에 상대적인 정량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시료를 비교 분석하는데 유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