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ce Pedagog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무용교육학(Dance Pedagogy)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Academic Identity of Dance Pedagogy :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ime Series Analysis)

  • 김지영;홍애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39-45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중심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에 관한 비판적 접근을 바탕으로 무용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무용교육은 1955년 교육부에서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 이후 학교무용으로서 65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음에도 무용교육학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이 견고하지 못하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은 실행중심 패러다임에 따라 지나치게 교사중심, 실기기능중심, 연습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최근 학교, 지역사회, 전문 분야에서 무용교육학은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시계열 관점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무용교육연구의 각 구간별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연구는 5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었다. 제1구간(1968~1979)은 체육학을 기반으로 한 무용교육의 실천, 제2구간(1980년~1989년)은 초등교육을 위한 창작 기반의 움직임 교육, 제3구간(1990년~1999년)은 교급별 무용교육과정의 체계화, 제4구간(2000년~2009년)은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의 등장, 제5구간(2010년~2019년)은 교육실천과 학제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합학으로서 무용교육학, 학제간 실천 및 연구를 지지할 수 있는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는 노력이 요청된다.

Teaching Indigenou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bedding the Cultural Practices of Dance, Movement, and Music in Pedagogy

  • Jegatheesan, Brinda;Ornelles, Cecily;Sheehey, Patricia;Elliot, Emm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7권1호
    • /
    • pp.1-13
    • /
    • 2017
  • The rich cultural backgrounds and practices of children from native cultures are often absent in classroom instruction, as teachers might feel that they have inadequate knowledge and backgrounds in the unique practices of these populations. Historically, children from native cultures have had challeng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oor educational outcom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propose a Family and Culture Based (FCB) framework that draws from family-centered practice, asset-based practice, and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This article describes the three steps of the FCB framework, which uses a teacher-as-learner approach to instruct students from native cultures by engaging teachers in reflection, gaining knowledge about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family and community, and integrating the new knowledge into practice. We use a Pacific Islands case (Native Hawaiian family) and a Pacific Northwest case (First Nations family) to illustr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the FCB framework with indigenous students.

스포츠지도자의 전문지식 중요도와 교육 정도 (Physical Activity Lectures' Perceptions of Coaching Knowledge and University Curriculum)

  • 김윤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1호
    • /
    • pp.135-149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스포츠지도상황에서 스포츠지도자 전문지식의 중요성과 예비 스포츠지도자가 대학교육에서 배워야 할 전문지식 등에 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 스포츠지도자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 응답 내용에 대한 추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포츠지도자는 스포츠 실기 및 이론 지도, 수강생과의 의사소통능력 등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스포츠지도자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보다 혼자서 걱정하는 등 정서적으로 대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상황이 허락하면 교육상담 전문 컨설팅을 희망하고 있었다. 스포츠지도자는 안전 및 부상자 응급처치법, 스포츠 실기 및 이론, 스포츠 기술 지도법 등의 전문지식이 지도할 때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스포츠지도자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전문지식을 대학교에서 얼마나 교육 받았는가를 알아보았다. 학생상담, 회원관리, 수강생과의 의사소통 능력 등의 전문지식은 지도 현장에서 필요한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지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예비지도자의 전문지식은 매우 다양했다. 그 중에서도 스포츠 기술 지도법, 스포츠 실기 및 이론, 스포츠지도 계획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