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Farm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젖소 사료로서의 맥콜박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of Macol Meal as Feedstuffs for Cattle)

  • 성재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3-560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 value of Macol meal, which is one of the byproducts from the extraction of liquid syrup from barley grain, on lactating dairy cows. All of the lactating dairy cows feeding in eight dairy farms were used in feeding experiment and fed concentrates plus Macol meal 5Kg as wet basis. The milk yields and milk fit during the periods of 10 months were investigated and blood picture, blood chemistry and diseases occuring frequency before and after feeding Macol meal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crude as and nitrogen free extracts was 68.8%, 7.43%, 1.04%, 7.08%, 1.56% and 14.09%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NDF, ADF and cellulose was 36.68%, 35.71% and 10.85%, as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2. The daily milk yield per head was 22.84kg during two months before feeding Macol meal and 23.89 kg during the periods of ten months after feeding Macol meal. 3. The blood picture and blood chemistry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Macol meal. 4. The diseases occuring frequenc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Macol meal.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Macol meal can be used in lactating dairy cows ration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 PDF

A Cost-Effective Pigs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Video Sensor

  • Chung, Yongwha;Kim, Haelyeon;Lee, Hansung;Park, Daihee;Jeon, Taewoong;Chang, Hong-H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4호
    • /
    • pp.1481-1498
    • /
    • 2014
  • Automated activity monitoring has become important in many applications. In particular, automated monitoring is an important issue in large-scale management of group-housed livestock because it can save a significant part of farm workers' time or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livestock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solution for measuring the daily-life activities of pigs by using video data in order to manage the group-housed pigs. Especially, we focus on the circadian rhythm of group-housed pigs under windowless and 24-hour light-on conditions. Also, we derive a cost-effective solution within the acceptable range of quality for the activity monitoring applicatio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video monitoring data obtained from two pig farms, we believe our method based on circadian rhythm can be applied for detecting management problems of group-housed pigs in a cost-effective way.

소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원오염 부하량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ings from Land Uses on Small Watersheds)

  • 박승우;류순호;강문성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5-127
    • /
    • 1997
  •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from small watersheds has recently been brought into attention as a potential pollutant to streams and tnbutaries, as majority of them are experiencing water quality degradation. This necessiates the quantification of NPS loadings from agricultural and forested lands. And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daily loadings from forested and farm lands using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The hydrologic monitoring program consists of fiv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along creeks and stream at the Banweol reservoir watershed having 1220 hectare in size. Water sam pies were taken and analyzeel periodically at the streamf low gaging sites and tributaries. Soil samples were also taken and the chemical constitutes analyzed. The primary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 sources of pollution were small villages and dairy farms on the watersheds, constituting two-third of total nutrient loadings to the reservoir. However, the loadings from paddies and upland areas may cause a problem to the water quality of the reservoir and stream as the measured levels of total nitrogen and phosporus are not low enough to ign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landuses and treatments at a watershed scale.

  • PDF

고단백질 사료의 급여가 다산 한우 암소의 육생산량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rotein Diet on Meat Productivity and Quality in Multiparous Hanwoo Cull Cows)

  • 이도형;윤우정;최낙진;류경선;오영균;장선식;최창원;주종원;조상범;김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51-1258
    • /
    • 2011
  • 일반적으로 다산 한우암소는 미경산 혹은 어린 한우암소에 비하여 낮은 육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다산 한우 암소 비육을 위한 사료급여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사료로 구성된 사료급여방법이 다산 한우 암소의 육생산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일반 비육우사료 급여를 사용하였다. 처리구의 사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4.28%의 단백질 사료는 비육초기에 급여하였으며, 12.70%의 단백질 수준은 출하 전까지 급여하였다. 대조구는 일반비육우사료(12.39% CP)를 사용하였다. 사양실험은 3개의 농장에서 수행되었다. 농장A에서는 29두의 다산 한우암소를 처리구 그리고 3두를 대조구로 공시하였다. 농장B와 농장C에서는 처리구와 대조구에 각각 8두와 3두 그리고 11두와 4두를 공시하였다. 실험사료들은 총 211일 동안 급여하였고, 처리구의 비육전기사료는 4개월간 급여하였고, 나머지는 비육후기 사료를 급여하였다.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도체중, 육량지수, 근내지방, 육색 및 조직감등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렌덤효과모형[8]을 사용하였다. 처리의 정적효과는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도체중 및 근내지방에서 나타났으며, 육량지수, 육색 및 조직감은 처리구의 부적효과가 나타났다. 모든 분석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농장별 실험결과의 분산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합적 효과에 있어 평균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및 도체중에 대한 90% 신뢰구간은 정적효과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분석항목의 90% 신뢰구간은 부적효과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다산 한우암소비육에 있어 비육전기기간의 고단백질 사료 급여는 육생산성 향상 및 육질 개선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A Study of Some Economic Traits of Indigenous Cattle and their Crossbreeds in Southern Bangladesh

  • Ashraf, A.;Islam, S.S.;Islam, A.B.M.M.;Ali, S.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189-1192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9 cows to identify the quantitative variations of some economic traits of five genetic groups as $Local{\times}Friesian $ $F_1$, $Local{\times}Sahiwal$ $F_1$, Local (indigenous zebu type), $Local{\times}Sindhi $ $F_1$, and $Local{\times}Hariana$ $F_1$. The traits studied were age at weaning, age at first heat, age at first conception, services per conception, daily milk yield, lactation length, lactation yield and post partum heat period. The records on milking and reproduction performances of cows and heifers were obtained from farm register and by interviewing the farmers. It was observed that the lowest age at weaning, age at first heat and age at first conception were $5.37{\pm}0.24$, $27.17{\pm}1.72$ and $27.83{\pm}1.82$ months respectively in $Local{\times}Hariana$ $F_1$. Services per conception were lowest in $Local{\times}Sahiwal$ $F_1$ $(1.08{\pm}0.18)$ although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farms, genetic groups and $farm{\times}genetic$ groups interaction. Average daily milk yield was highest in $Local{\times}Friesian$ $F_1$ $(5.81 {\pm}0.40 kg)$. Lactation length and lactation yield were highest in $Local{\times}Sahiwal$ $F_1$ ($299.38{\times}9.74$ days and $1863.00{\pm}141.00kg $ respectively). Average post partum heat period was lowest in $Local{\times}Sindhi$ $F_1$ ($3.19{\pm}0.38$ months). Least squares ANOVA showed that farm had significant (p<0.001) effect on age at weaning, age at first heat, age at first conception and post partum heat period. There was insignificant (p>0.05) effect of farm on services per conception, daily milk yield, lactation length and lactation yield, whereas genetic groups had a significant effect for all the traits under review except services per conception. $Farm{\times}genetic$ groups interaction was insignificant for all of the traits under consideration except age at weaning.

2012년 고수온기에 발생한 남동해권역 조피볼락의 대량폐사 (A report on the 2012 mass summer mortalities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the Southeast Sea, Korea)

  • 이덕찬;박영철;전창영;양준용;허영백;김진우;조기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3-183
    • /
    • 2013
  • 2012년 7월에서 9월초까지 경상남도 연안의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조피볼락의 대량폐사가 발생하였으며, 피해량은 1,802,000마리로 집계되었다. 폐사 해역의 수온은 최대 $28.4^{\circ}C$까지 상승하였으며, 일간 수온변화의 폭은 최대 $6.5^{\circ}C$로 급격한 상승과 반복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49개 어업권 194마리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질병을 조사한 결과, 일부 양식장의 조피볼락에서 참돔이리도바이러스(red seabream iridovirus, RSIV), Vibrio sp.와 Vibrio spp. 또는 Microcotyle sp. 등의 주요 병원체가 확인되었다. 대량폐사의 주요 원인은 고수온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반복적인 일간 수온변화, 그리고 생물학적 질병이 폐사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양돈농가에서 퇴비화시설별 수분변화량 분석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from Composting Facilities Operated in Swine Farms)

  •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장화;김재환;유용희;전병수;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3-200
    • /
    • 2008
  • 양돈농가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퇴비화시설에 대한 수분 증발량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사육 두수는 단순 퇴비사 1,433두/호,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 설치농가는 3,500두/호 이었다. 2. 퇴비화시설의 용적은 단순 퇴비사 $0.33m^3$/두,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0.25m^3$/두로 퇴비화시설 용적이 약 24.2% 정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조사농가의 수거돈분의 평균 수분 함량은 단순퇴비사 86.8%, 기계교반 85.7%로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의 돈분의 수분 함량이 약 1.3%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1일 투입되는 수분량은 단순 퇴비사 $4.1kg/m^3$/일,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6.5kg/m^3$/일로 기계교반 설치농가에서 약 36.9% 정도 단위면적당 수분량이 높게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는 단순퇴비화 시설에서 최고온도가 $45^{\circ}C$ 정도 상승하였으나,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에서의 최고 발효온도는 $70^{\circ}C$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수분 감소량은 퇴비화 시설 $1m^3$당 단순퇴비사 3.7 kg, 기계교반 5.2 kg으로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이 약 28.8%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퇴비더미내 발효온도 차이에 의한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7. 퇴비화후 비료성분 함량은 질소 함량은 각각 0.84% 및 0.86%로 비슷한 경향으로 조사되었으며, ${P_2}{O_5}$(%) 성분도 0.78% 및 0.74%로 단순퇴비화시설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OM 및 OM/N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 따라서 양돈농가에서의 기계교반 및 단순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돈분뇨를 퇴비화하는 경우 돈분의 수분함량과 발효온도 및 수분 증발가능량 등을 고려하여 퇴비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온도시간 기반의 배추 생육단계 추정 (A Thermal Time - Based Phenology Estimation in Kimchi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 김진희;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339
    • /
    • 2015
  • 기온자료만으로 배추의 결구시기 및 수확적기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실측자료에 근거한 배추 생육단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배추의 일생을 생육기와 결구기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매일의 생장량이 최적 함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최적 함수식의 도출에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배추 주산지와 전남 해남의 가을배추 주산지 7개 농가, 8개 작형에서 수집된 2012-2014년 자료가 활용되었다. 예측모형의 성능검증에는 같은 지역의 다른 농가 17개에서 수집된 생육자료와 소기후모형에 의해 복원된 국지기온자료로 구성된 독립자료세트가 사용되었는데, 17개 지점의 3년간 수확예정일 평균추정오차(RMSE)는 5.3일 이었다. 이 모형은 기상청의 일별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과 작형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결구기와 수확기를 예측하는 소위 '농업기상예보'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eeding Traits, Nutritional Status and Milk Production of Dairy Cattle and Buffalo in Small-scale Farms in Terai, Nepal

  • Hayashi, Yoshiaki;Maharjan, Keshav Lall;Kumagai, Hajim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89-197
    • /
    • 2006
  • Twenty small-scale farms of two villages (A and B)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 feeding traits, milk productiv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lactating cattle and buffalo in Terai, Nepal. Constituents and dry matter (DM) of feed supplied, body condition score (BCS), heart girth (HG), bodyweight (BW), milk yield (MY) and plasma metabolites were obtained in the pasture-sufficient, pasture-decreasing and fodder-shortage periods. Milk yield of 305-day lactation was estimated by the daily MY. The supplies of rice straw and native grass were lower and higher in the pasture-sufficient period than in the other periods, respectively (5.5 kg/day vs. 9.8 kg/day and 3.2 kg/day vs. 0.4 kg/day, respectively, p<0.01). The roughage-supplement rates of the animals were high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5.0 vs. 2.2 in cattle and 9.3 vs. 1.8 in buffalo, p<0.01). The variance of feed constituents among the periods and between the villages induced different supplies of CP, NDF and TDN. The concentrations of CP and TDN in the cattle feed were higher in the pasture-sufficient period than in the other periods (9.1% vs. 7.3% and 57.4% vs. 51.0%, respectively, p<0.01). The supplies of CP for cattle and buffalo, and of TDN for buffalo were low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7.5% vs. 8.7% and 6.6% vs. 9.1% [p<0.01], and 53.1% vs. 56.2% [p<0.05], respectively). The BCS, HG and BW of the animals were low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2.51 vs. 2.86, 156 cm vs. 170 cm and 300 kg vs. 318 kg, respectively in cattle, 2.83 vs. 4.00, 186 cm vs. 216 cm and 429 kg vs. 531 kg, respectively in buffalo, p<0.01). The cattle yielded more milk in the pasture-sufficient period than in the other periods (7.9 liters/day vs. 6.6 liters/day, p<0.01). The 305-day MY of cattle that calved in the fodder-shortage period was lower than that of cattle that calved in the other periods (1,900 liters vs. 2,251 liters, p<0.01). The MYs of cattle and buffalo were low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6.2 liters/day vs. 8.1 liters/day and 3.7 liters/day vs. 7.7 liters/day, respectively, p<0.01). The 305-day MY of cattle was low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1,935 liters vs. 2,409 liters, p<0.01).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albumin and urea nitrogen in cattle were lower in village A than in village B (3.2 g/dl vs. 3.4 g/dl [p<0.01] and 7.4 mg/dl vs. 10.2 mg/dl [p<0.05], respectively). The different supplies of CP, NDF and TDN among the periods and between the villages might have affected MY and nutritional status in cattle and buffalo. It was likely that the lower supplies of CP and TDN for cattle that calved in the fodder-shortage period and in village A lowered the 305-day MY of cattle.

한우의 성장곡선의 모수추정과 연도별 효과 분석 (Estimation of growth curve parameters and analysis of year effect for body weight in Hanwoo)

  • 조광현;나승환;최재관;서강석;김시동;박병호;이영창;박종대;손삼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06
  • 본 연구는 유전능력의 검정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편리하게 체중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 경영상 뚜렷한 개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우의 성장 단계별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의 구성은 1980~2004년의 남원, 대관령, 서산과 핵군농가의 자료로 암소 27,647개 비거세우 14,744개 거세우 1,290개를 이용하였다. 암소의 경우 시그모이드(sigmoid)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거세우의 경우에도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나 거세우의 경우에는 직선 회귀식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년도별로 분석한 성장곡선은 암, 수소 모두 1990~1994년의 잔차값이 68.49와 54.29로 낮게 나타났으며, 모수 A, b, k의 경우 암소에서 각각 423.6±5.8, 2.387±0.064, 0.0908±0.0033로 추정되었고 수소에서 823.3±15.3, 3.584±0.070, 0.1139±0.0032로 추정되었다. 적합도가 Logistic 모형보다 좋은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곡선추정을 하였으며, 추정된 암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379.3±7.509, 2.499±0.057, 0.114±0.0045와 367.1±1.9003, 2.3983±0.012, 0.004±0.00003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Residual mean square)은 31.85, 998.4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834.6±22.00, 3.319±0.062, 0.104±0.0037과 796.0±6.128, 3.184±0.014, 0.003±0.00003으로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66.18, 2106.5로 추정되었으며, 거세우의 경우 1049.1±144.2, 3.024±0.008, 0.067±0.0096와 1505.1±176.6, 2.997±0.067, 0.001±0.0001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186.0, 1119.1이었다. 성장의 특성을 살펴보면 Gompertz 모형으로 추정할 때 암소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에서의 체중은 139.53kg 이었으며, 변곡점에서의 일당증체율은 0.52kg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변곡점에서의 체중은 307.03kg 이었으며, 일당증체율은 1.04kg 이었다. 거세우의 경우 변곡점 체중은 385.94kg 이었고 성장속도가 최대인 지점의 순간적인 증체율은 두 모형에서 0.84kg을 나타내었다. 암소가 수소나 거세우에 비하여 성숙체중이 작고 변곡점까지의 도달일령이 빠르며 일당증체량도 작은 성장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