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aily Cow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virulence trait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in semi-intensive and family dairy farms

  • Guzman-Rodriguez, Jaquelina J.;Leon-Galvan, Ma. Fabiola;Barboza-Corona, Jose E.;Valencia-Posadas, Mauricio;Loeza-Lara, Pedro D.;Sanchez-Ceja, Monica;Ochoa-Zarzosa, Alejandra;Lopez-Meza, Joel E.;Gutierrez-Chavez, Abner J.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77.1-77.14
    • /
    • 2020
  •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is one of the main microorganisms that causes bovine mastitis, and its well-known virulence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re used to aid the design of more efficient therapies. Objectives: To determine whether the virulence traits, such as antibiotic resistance and biofilm-forming and internalization abilities, of 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are related to dairy production system type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Mexican states of Guanajuato and Michoacan. Semi-intensive dairy farms (SIDFs) and family dairy farms (FDFs) (454 and 363 cows, respectively) were included. The 194 milk samples from mastitis affected quarters were collected and 92 strains of S. aureu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biochemical and molecular tests. Antibiotic resistance, biofilm and internalization assays were performed on 30 randomly selected isolated strains to determine virulence traits, and these strains were equally allocated to the 2 dairy production systems. Results: All 30 selected strains displayed a high degree of resistance (50%-91.7%) to the antibiotics test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IDF and FDF isolates. S. aureus strains from SIDFs had an average biofilm forming capacity of up to 36% (18.9%-53.1%), while S. aureus strains from FDFs registered an average of up to 53% (31.5%-77.8%) (p > 0.05). Internalization assays revealed a higher frequency of internalization capacity for strains isolated from FDFs (33.3%) than for those isolated from SIDFs (6.7%) (p > 0.05). fnbpA gen was detected in 46.6% of FDF strains and 33.3% of SIDF strains,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how that the virulence traits of S. aureus isolates analyzed in this study, depend significantly on several factors, such as phenotype, genotyp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hic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dairy production system type and daily management practices.

국내 자동착유시스템 이용농가의 설치 전·후 산유량 및 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Auto Milking System (AMS) Use in Dairy Cow)

  • 기광석;정영훈;박성재;김상범;이왕식;이현준;임동현;김현섭;권응기;조미예;여준모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9-196
    • /
    • 2011
  • 본 시험은 국내에 도입된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들의 검정성적을 이용하여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과 후의 산유량과 유성분 및 체세포 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자동착유시스템이 설치된 4개의 농가에서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1년 전과 1년 후의 검정기록이 있는 147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산유량을 비교한 결과,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1년 전의 기존착유시스템에서 산유량이 30.37 kg인 것에 비하여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1년 후의 산유량은 34.27 kg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착유회수가 AMS 설치 1년 전의 기존착유 2.0회에 비하여 자동착유시스템에서 2.62회로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지율 (%)은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 $3.7{\pm}0.5%$에 비하여 설치 후 $3.8{\pm}0.5%$으로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지방량 (kg)은 기존 착유시스템에서 보다 자동착유시스템으로 전환 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산유량 증가에 기인된 것이다. 유단백율 역시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 $3.2{\pm}0.2%$와 설치 후 $3.2{\pm}0.2%$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단백량에 있어서는 유지방과 같이 산유량 증가로 인하여 기존 착유시스템에 비하여 자동착유시스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체세포 수는 자동착유시스템 설치 전 $169.4{\pm}188.5$천개/ml로 1등급 수준이었던 것에 비하여 설치 후 $314.4{\pm}279.9$천개/ml로 2등급 수준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자동착유시스템 설치에 따라 산유량은 증가하나 유질등급에 영향을 주는 체세포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동착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농가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체세포 수가 증가한 것이 자동착유시스템 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자동착유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관리미숙으로 인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FSH 투여 용량과 방법Ul 따른 한우의 과배란 처리 효율 (Superovulation Response by FSH Treatments in Hanwoo)

  • 최수호;박용수;손우진;이준희;노규진;김주헌;최상용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99-205
    • /
    • 2007
  •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에 녹인 400mg과 200mg의 FSH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sim}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잣나무 生枝葉사일리지 급여가 한우의 영양소 소화율, 사료요구율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Silage Feeding on Nutrient Digestibility, Feed Conversion and Carcass Traits of Korean Native Cattle)

  • 오영균;정찬성;이상철;김경훈;최창원;강수원;문여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19-226
    • /
    • 2006
  • 본 시험은 산림 간벌 부산물인 잣나무 생지엽을 반추가축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제조된 발효 생지엽(pine silage)의 한우 반추위내 in situ 분해율 및 in vivo 소화율, 사양성적 및 도체분석에 있어서 볏짚 대체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n situ 시험은 nylon bag 시료를 처리 당 4반복으로 하여, 반추위내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켰으며, in vivo 소화시험은 볏짚 급여구와 생지엽 silage구로 나누어 incomplete double turn over design에 의해 처리 당 5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사양시험에서는 생지엽 silage에 대한 볏짚 대체비율을 4수준(0%, 25%, 50%, 75%)으로 나누어 한우수소 48두를 처리당 12두씩 완전임의로 배치하였으며, 시험종료 후, 도체분석을 하였다. 반추위내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은 생지엽 silage가 볏짚보다 높았으나(P<0.01), NDF 분해율은 오히려 낮았다(P<0.01). In vivo 건물, 조단백질 및 NDF 소화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일당 증체량은 볏짚 급여구와 비해 생지엽 silage 25% 대체구를 제외한 모든 생지엽 silage 대체구에서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생지엽 silage 급여 및 급여수준은 사료 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도체성적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근내지방도는 50% 생지엽 silage 대체구가 타 처리구보다 수치적으로 높고, 등지방 두께는 생지엽 silage 대체구가 볏짚 급여구보다 다소 두꺼운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지엽 silage를 한우의 조사료로서 사용할 경우, 볏짚과 50%씩 혼합해서 급여하는 것이 건물섭취량과 일당증체량에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젖소에 있어서 삭제(削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w Trimming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n Lactating Dairy Cows)

  • 백광수;박수봉;박성재;김현섭;김재기;이왕식;이현준;기광석;허태영;강석진;서국현;전병순;안병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1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8.5{\pm}1.37kg$$29.0{\pm}0.54kg$, $101{\sim}200$일의 경우 $24.5{\pm}0.59kg$$25.6{\pm}0.60kg$, 201일 이상의 경우 $19.9{\pm}0.42kg$$19.4{\pm}0.48kg$으로 두당 1일 유량은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05일 보정유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삭제구가 각각 $7,235{\pm}371$$7,472{\pm}356kg$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유기에 따른 체세포수는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20.4{\pm}27.4$$125.0{\pm}21.1x10^3\;cell/ml$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101{\sim}200$일의 경우 $167.8{\pm}28.2$$147.8{\pm}18.2x10^3\;cells/ml$, 201일 이상의 경우 $125.8{\pm}27.2$$237.1{\pm}90.0X10^3\;cells/ml$로 101일 이상에서는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유기에 따른 유지방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86% 및 3.56%, $101{\sim}200$일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01 % 및 3.76%, 201일 이상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29% 및 3.78%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단백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22% 및 3.03%, $101{\sim}200$일의 경우 공히 3.21%, 201일 이상의 경우 3.50% 및 3.28%로 유단백도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당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76% 및 4.81%, $101{\sim}200$일의 경우 4.84% 및 4.74%, 201일 이상의 경우 4.59% 및 4.50%로 유당은 전유기에 걸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고형분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12.43% 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우(韓牛)와 Holstein종(種) 교잡우(交雜牛)의 발육(發育) 및 비유능력(泌乳能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Milk Production Performance between Holstein Crossbreds and Korean Native Cattle)

  • 임흥순;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72-81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한우(韓牛) 암소에 Holstein종(種) 수소를 교배(交配)하여 생산(生産)된 1대(代) 잡종(雜種)의 발육능력(發育能力)과 필유능력(泌乳能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3년(年)부터 1978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에 걸쳐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축산(畜産) 시험장(試險場)에서 생산사육(生産飼育)된 한우(韓牛) 빈우(牝牛)15두(頭)와 Holstein 교잡종(交雜種) 빈우(牝牛) 11두(頭)를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다. 체중(體重)은 생시(生時)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체형(體型)은 6개월령(個月令)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그리고 필유능력(泌乳能力)은 분만후(分晩後) 11일(日)부터 180일(日)까지 조사(調査)하였다. 교배조합(交配組合),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Harvey의 최소(最少) 자승법(自乘法)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우순종(韓牛純種)은 Holstein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하여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체중(體重)이 가벼웠으며 생시(生時), 6개월령(個月令), 12개월령(個月令), 24개월령(個月令) 및 36개월령(個月令)에서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2.45kg, 132.82kg, 220.68kg, 363.54kg 및 365.54kg인데 대(對)하여 Holstein교잡종(交雜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8.09kg, 146.64kg, 254.48kg, 392.04kg 및 454.46kg이었다. 2. 체중(體重)에 미치는 분만년도(分晩年度)의 효과(效果)는 생시(生時)를 제외(除外)하고 육성기(育成期)의 발육(發育)에 많은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생시(生時)부터 6개월령(個月令)까지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을과 봄에 출생(出生)한 송아지가 여름과 겨울에 출생(出生)한 송아지보다 더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산차(産次)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5 산차(産次)의 송아지가 다른 산차(産次)의 송아지보다 각(各) 월령(月令)에서 더 무거운 체중(體重)을 나타내는 경향(傾向)이었다. 4. 체위(體位)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24개월령(個月令)에 체고(體高), 십자부고(十字部高), 흉심(胸深), 흉위(胸圍), 요각폭(腰角幅)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나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는 대부분 체부위(體部位) 발육(發育)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필유량(泌乳量)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月令)에 걸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고, 산차(産次)는 분만후(分晩後) 11~30일간(日間)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6.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일일평균(一日平均) 필유량(泌乳量)은 3.6kg, Holstein 교잡종(交雜種)은 8.26kg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