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hwang(大黃)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식품위해성 미생물에 대한 대황(Rheum tanguticum)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성분분석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Rheum tanguticum against Food Hazardous Microorganisms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tract)

  • 임미경;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0-476
    • /
    • 2003
  • 식품 위해성 세균과 곰팡이에 대하여 대황 메탄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paper disc법으로 조사하였고 최소생육저해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대황 메탄을 추출물에서 분리된 각 peak의 성분과 함량을 분석하였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은 p. aeruginosa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 aureus와 S. typhimurium에 대해서도 상당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은 250mg/$m\ell$농도에서 S. aureus의 생육을 저지시켰으며 300mg/$m\ell$농도에서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의 생육을 억제시켰다. 대황 메탄을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전체 120가지의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이 중 추출물에 함유된 ketones 화합물이 39%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항균물질로 알려진 phenol성 화합물인 2-methoxy-phenol, 4-vinyl-2-methoxy-phenol 등이 대황 메탄을 추출물에서도 검출되었다.

부자${\cdot}$파두${\cdot}$대황${\cdot}$석고 추출물의 UCP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ja${\cdot}$Padu${\cdot}$Daehwang${\cdot}$Seokgo Extract on UCPs Expression in Mice)

  • 권강범;김은경;김인섭;황태옥;이시우;이수경;최진영;금경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407-1410
    • /
    • 2007
  • W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e cold-hot theory of herbology and body temperature in experimental model. we prepared four kinds of oriental medicine, which consisted of two cold herbs, Daehwang and Seokgo, and two hot herbs, Buja and Padu. Decrease of body temperature by cold exposure for 12 hour was not inhibited by four herbs oral administration for two weeks. Thermogenesis in mammals is an essential physiological function to maintain the body temperature. Mitochondrial uncoupling proteins(UCPs), which have a potential to generate heat by uncoupling oxidative phosphorylation, apper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rmogenesis. Therefore UCP is commonly recognized as a key molecule in metabolic thermogenesis and its dysfunc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obesity. In these experiments, Daehwang water extracts inhibited the UCP1 mRNA expression increase by cold exposure in brown adipose tissue. But other herb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UCPs mRNA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 and seleus muscle tissue. Based on this experiment, we will try to clarify the effects of Daehwang water extracts on UCP1 expression and function.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 가(加) 대황(大黃) 장복 후 발생한 부면(不眠) 환자에 대한 사물탕가미방(四物湯加味方)의 치험(治驗) 1례(例) (Clinical report of Samultang-gamibang with insomnia occurred after taking Taeeumjoyutang-ga-daehwang)

  • 김민정;서향연;이용양;박원환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port the effect of Samultang-gamibang(四物湯加味方) for insomnia caused by blood deficiency (syndrome) after excessive weight control treatment with herbal medication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case report. We reviewed the patient's medical record after taking the patient's informed consent. Results After treatment, a patient feels calm and satisfaction emotionally as sleeping time has increased from 2hours to 6hours, the fatigue after sleeping has been reduced, and the quality of sleep has become better.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Samultang-gamibang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leep duration and quality if the patient suffers insomnia due to hyul-heo syndrome. Also the woman who have symptom of hyul-heo(血虛) after weight control through decreased food consumption, should bo-hyul(補血).

동의보감의 배통처방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prescription used for back pain in the Donguibogam(東醫寶鑑))

  • 한영수;오민석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9-277
    • /
    • 2004
  • 1. The frequency of source of prescriptions is Dongweonshibse(東垣十書), Hagansanghansamyukse(河間傷寒三六書), Senmyoungronbang(宣明論方), Gogumuigam(古今醫鑑), Dangyesimbob(丹溪心法), Uihakgangmok(醫學綱目), Taepyonghyeininhwajekukbang(太平惠民和劑局方) in sequence. 2. The classification of prescriptions by efficacy is Haepyoy(解表藥), Igiyak(理氣藥), Boikyak(補益藥), Sahayak(瀉下藥), Chongyo1yak(淸熱藥等), etc., in sequence. 3. The frequency of used medicine is Gangwhal(羌活), Insam(人蔘), Hwangbaek(黃柏), Gamsu(甘遂), Jadakek(紫大戟), Daehwang(大黃), Seungma(升麻), Shiho(紫胡), Bangpung(防風), Jinpi(陳皮), Oyak(烏藥), Chongung(川芎), Changchul(蒼朮), Gobon(藁本), etc., in sequence. 4. The Song(性) of used medicine is mainly Onsong(溫性) and Hansong(寒性), the mi(味) is Sinmi(辛味), Gomi(苦味), Gammi(甘味), Hammi(鹹味) in sequence, the Gwigyong(歸經) is Bigyong (脾經), Wigyong(胃經), Gangyong(肝經), Paegyong(肺經), etc., in seguence.

  • PDF

가미태음조위탕(加味太陰調胃湯) 전탕액을 활용한 비만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Gamitaeeumjowi-tang for Obese Patients)

  • 서남준;남동우;이은옥;심범상;안규석;김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46-452
    • /
    • 2008
  •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icacy of Gamitaeeumjowi-tang consisting of Taeeumjowitang and Daehwang. Eleven male(n=4) and female(n=7), obesity patients were recruited by Tenten Diet Network from November 2005 to February 2006. All the subjects were treated with Gamitaeeumjowi-tang 3 times a day for 12 weeks. Weight, BMI, body fat weight, Total cholesterol, LDL, HDL, Triglycerides, GOT, GPT, and CT resul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12 week treatment. Weight, BMI, body fat weigh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subcutaneous fat in upper and lower abdomen all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2 weeks of administration. Also Gamitaeeumjowi-tang showed no toxic effects based on liver function test. Taken together, The potentials of Gamitaeeumjowi-tang a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obesity has been recognized through this study. Further large sample sized and double blinded randomized control trials are needed to fully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study.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의 기원(基源), 변천(變遷), 구성(構成)에 대한 고찰(考察) (The Study on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on of Galgeulhaegi-tang)

  • 장현수;김윤희;강미정;이지원;이준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2-78
    • /
    • 2009
  • 1. Objectives :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changes of Galgeunhaegi-tang. 2. Methods : We analysis Galgeunhaegi-tang through pathology and new prescription in "Donguibogam(東醫寶鑑)", "Chobongwon(草本卷)", "Gabobon(甲午本)" and "Sinchukbon(辛丑本)" of "Dongyi Suse Bowon". 3. Results and Conclusions : We can find the first origin of Galgeunhaegi-tang in "Sinchukbon(辛丑本)" in "Donguibogam(東醫寶鑑)" which invelves Galgeunhaegi-tang in the categories of pestilence(瘟疫) and Yangmyeonggyeongbyeong(陽明經病). Also, we can find the origin in Jugoeng(朱肱)' Jojung-tang. Seungeumgalgeun-tang in the "Chobongwon(草本卷)" developed by a Galgeunhaegi-tang of "Gabobon(甲午本)", and Galgeunnabokja-tang in the "Chobongwon(草本卷)" developed by a Galgeunhaegi-tang of "Sinchukbon(辛丑本)". It is considered that Galgeunhaegi-tang of "Gabobon(甲午本)" solves heat depression(鬱熱), due to not throwing off, by using Galgeun(葛根) and Daehwang(大黃), and accompanied dryness(燥) by using Hangin(杏仁) and Sanjoin(酸棗仁) which moisten dryness(燥). It is considered that Galgeunhaegi-tang of "Sinchukbon(辛丑本)" solves heat depression(鬱熱) by using Galgeun(葛根) and accompanied dryness(燥) by using Gobon(藁本) which sets free dryness(燥).

  • PDF

전장유전체 SNP 기반 decision tree를 이용한 누에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Domesticated Silkworm Varieties Using a Whole Genom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based Decision Tree)

  • 박종우;박정선;정찬영;권혁규;강상국;김성완;김남숙;김기영;김익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7-955
    • /
    • 2022
  •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가 품종 간 기능성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품종판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의 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가형성(SNP)를 바이오 마커로 이용해 10개의 누에 품종(백황잠, 백옥잠, 대백잠, 대박잠, 대황잠, 골든실크, 항생잠, 주황잠, 금강잠 및 금옥잠)을 판별하기 위하여 전장유전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품종 특이적인 SNP를 선발하여 품종을 판별하고자 9개의 SNP를 선발하고 각 품종을 교차 검증 할 수 있는 결정 트리를 작성하여 순차적인 분석을 통한 품종 구분을 실시하였다. 대황잠과 골든실크 그리고 금강잠과 대박잠을 구분하는 각각의 SNP867 및 SNP9183에 대해서는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을 이용하고, 그 외의 SNP에 대해서는 Tetra-primer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P780부터 SNP9183까지 9개의 SNP를 이용하여 동일 집단을 분리하거나 품종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립 유전자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누에 전체 게놈의 SNP와 결정 트리를 이용한 방법은 누에 품종 구분을 위한 판별마커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검정콩 대립 내도복 신품종 '대흑'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Cultivar, 'Daeheug' with Lodging Tolerance, and Large Seed Size)

  • 한원영;백인열;고종민;김현태;오기원;신상욱;박금룡;하태정;신두철;정명근;강성택;윤홍태;오영진;김제규;김호영;최재근;이승수;손창기;김용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7-271
    • /
    • 2010
  • '대흑'은 밥밑용 특성이 우수한 단경 내재해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목표로 대립 장류용 품종인 대황콩과 단경 내도복 내재해 다수성 계통인 밀양 79호를 1997년 인공교배하여 계통 육종법으로 선발한 YS1298-2B-20-5-1-1-1 계통이다. 계통명은 '밀양158호'이고 품종등록번호는 No. 3009이며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대흑'의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화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환형이다. 모용 및 성숙기의 협은 갈색이며 종피색과 제색은 흑색이고 종실 자엽색은 황색이다. 입형은 편구형으로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자연개열이 다소 나타난다. 2. 성숙기는 10월 1일로 일품검정콩보다 2일 늦으며, 경장은 51 cm로 2 cm 길고 개체당 협수는 같고, 100립중은 34.3 g으로 '일품검정콩' 보다 6.4 g 무거운 대립종이다. 3. 도복에 비교적 강하며, 포장 재배기간중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으나 괴저병에는 강하였으며, SMV 균주로 즙액 접종한 결과 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을 보였고, 미이라병에도 강한 편이었다. 4. 종실 성분중 조단백 함량은 43.5%로 '일품검정콩'과 비슷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다소 높았고 총당 함량은 9.1%로 0.2% 낮았다. 기능 성분 중 안토시아닌 색소 및 아이소플라 본 함량은 '일품검정콩'보다 각각 11.2 mg/g 및 $635{\mu}g/g$으로 1.5 mg/g 및 $68{\mu}g/g$ 높았다. 5. 콩차 가공적성에서 콩차 색소의 용출정도인 530 nm에서의 흡광도는 2.13으로 높았고, DPPH radical 소거능인 콩차의 항산화활성은 비슷하나 총페놀함량은 $1,263{\mu}g/m{\ell}$으로 '일품검정콩'보다 $321{\mu}g/m{\ell}$ 높았다. 5. 수량성은 '05~'07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전국 6개소 평균수량은 ha당 2.26톤으로서 표준품종 '일품검정콩'과 비슷하였다. 6. 적응지역은 전국이며 적정 파종기는 단작지대는 5월 중 하순, 2모작지대는 6월 상중순경으로 조기 파종시에는 바이러스병 발생에 유의하며, 불마름병에 약하므로 병 발생이 심한 지역은 재배를 피하여야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