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dong flor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Weltrichia sp. from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of Nampo Group, Korea

  • 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02-406
    • /
    • 2013
  • Since 1984, the author has been studying the Daedong flora and has collected a large number of fossil plants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Nampo Group distributed in Chungnam Coal-Field. One of the fossil plants was bennettitalean male flower, which was collected in 1986. The author described it as Weltrichia sp. The occurrence of Weltrichia sp. is the first record in the Early Mesozoic Daedong flora of Korea.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Diversity of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 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1-58
    • /
    • 2015
  •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목재의 개요와 고식물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들을 종합하였다. 한반도에서 보고된 화석목재는 중생대에서 신생대로 갈수록 종수와 다양성이 증가하며 특히 신생대에 급증했다. 전기 중생대에서는 구과류 4속 6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대동식물군의 약 6%에 해당한다. 후기 중생대의 화석목재는 모두 구과류이며 총 7속 1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낙동식물군의 약 29%에 해당한다. 신제3기의 화석목재는 16과 21속에 속하는 3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대부분이 쌍자엽식물이고 다른 시대에 비하여 다양성이 가장 크다. 이것은 장기식물군의 약 83%에 해당한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식물군의 구성이 쌍자엽식물이 많고, 화석층에 목재 화석화에 적합한 화산쇄설암이 풍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포층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Neocalamites carrerei의 기관화석 (Organ Fossils of Neocalamites carrerei from the Amisan Formation of the Nampo Group, Korea)

  • 김종헌;노헌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66-473
    • /
    • 2008
  • 이 연구는 충남 보령군 미산면 지역에 분포하는 남포층군 아미산층의 Neocalamites carrerei의 자생지에서 산출된 지하경, 잎이 붙은 지상경, 포자수와 같은 기관화석의 형태적 특징과 구조에 관한 것이다. Neocalamites carrerei의 크기는 현생의 속새류와 대동식물군의 고기 후와의 관계로부터 추정하면 상당히 대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자수 Neocalamites takahashii (Kon'no)는 Neocalamites carrerei의 잎과 밀접하게 동반되어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동일종으로 추정된다. 자생지에서 지상경과 지하경이 많이 산출되는 것에 비하여 포자수는 매우 희귀하다. 이것은 Neocalamites carrerei가 포자번식 이외에 지하경을 통한 무성생식으로도 번식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Neocalamites는 현생 속새류와 잎의 형태,크기 및 구조에서 현저하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