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SG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A Comparis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Effect Under an Open Economy Model

  • Lee, Keun Yeo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2권2호
    • /
    • pp.141-176
    • /
    • 2018
  • The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effects of domestic monetary policy using DSGE, DSGE-VAR, and VAR based on a two-country open economy model of Korea and the U.S. According to impulse response analysis, a domestic interest rate hike raises won value in the case of DSGE and DSGE-VAR models, while in the case of the unrestricted VAR model, it lowers won value. In the marginal data density standard, DSGE-VAR (${\mu}=1$) is superior to DSGE or Bayesian VAR over the sample period. Conversely, in the in-sample RMSE criterion, especially for the won/dollar exchange rate, VARs are superior to DSGE or DSGE-VAR.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if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model misspecification or omitted variable bias.

전력시장의 경직성에 따른 국가 재생에너지 정책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베이지언 DSGE 모형 접근 (Comparing the Impacts of Renewable Energy Policies on the Macroeconomy with Electricity Market Rigidities: A Bayesian DSGE Model)

  • 최봉석;김기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3호
    • /
    • pp.367-39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언 확률적 동태일반균형(DSGE) 모형을 이용하여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발전원(원자력·화력)과 재생에너지 발전원 간 불완전 대체적 관계를 활용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산업 고유의 기술진보만으로는 에너지 전환에 따른 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산업 전반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술이 함께 향상될 때 비로소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된다는 점을 보였다. 전력시장 경직성에 의하여 발전사업자의 투자에 대한 합리적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총소비가 위축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DSGE 모형을 이용한 추세와 경기순환변동분의 분해 (Trend/Cycle Decomposition Using DSGE Models)

  • 황영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4호
    • /
    • pp.117-156
    • /
    • 2012
  • 본 논문은 간단한 동태적 확률 일반균형(DSGE) 모형과 탄력적 추세를 고려한 비관측인자모형을 결합하여, DSGE 모형의 추정과 추세/순환변동분의 분해를 동시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GDP 순환변동분은 공식 경기순환 국면과 상당 정도 부합하는 등 전반적으로 경기순환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변동성과 지속성의 측면에서 통상적 필터링 방법을 이용한 경우와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GDP의 추세분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며 경기순응적 모습을 보였다. 추정된 순환변동분의 성격을 변수별로 살펴보면, GDP와 이자율의 경우는 HP 필터의 결과와 유사한 반면, 인플레이션의 경우는 (불규칙 변동분을 추가로 제외한 경우) BK 필터를 이용한 결과와 상대적으로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대상 변수들에 임의의 단일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할 경우, 경기순환분의 성격이 잠재적으로 왜곡되어 추출될 우려가 있음을 보여준다. 습관 및 가격연동을 포함한 확장모형을 고려한 경우, 습관은 경기변동의 지속성을 설명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평가된 반면, 가격연동은 그 중요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형의 개별 요소들에 대한 평가 결과는, 사전 필터링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우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 자료의 필터링과 모형의 추정을 분리하여 고려하는 일반적인 DSGE 모형의 추정 및 분석은 잠재적으로 오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다양한 민감도 분석 결과, (i) 순환변동 충격과 추세 충격이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 추세 충격의 성격에 따라 추정된 GDP갭의 성격이 상당 부분 달라지기도 했으며, (ii) 불규칙 변동분의 포함 여부가 추정된 인플레이션갭의 성격 및 필립스 곡선의 기울기 등에 중요한 함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ii) 경기변동분을 VAR로 모형화한 경우, DSGE 모형을 이용한 경우에 나타나는 경기변동의 비대칭성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베이지언 기법 추정의 DSGE 모형을 이용한 고용보조금정책 효과 (Effects of Wage Subsidies through the Lens of the Bayesian-Estimated DSGE Model)

  • 문외솔;송승주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63-100
    • /
    • 2020
  • 본 연구는 Diamond-Mortensen-Pissarides 유형의 노동시장 마찰을 DSGE 모형에 통합하고, 1991년 1분기부터 2020년 1분기 기간을 대상으로 베이지언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모수들을 추정하였다. COVID-19 발생 이후 논의되는 직접적인 고용보조금 지급의 효과를 모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에서의 고용보조금 지급은 고용관계를 형성한 기업의 노동비용을 낮추고 이윤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신규 구인자 수가 늘어나고 매칭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채용확률은 상승하고 고용은 늘어나며 총생산도 증가한다. 총생산의 1% 규모로 고용보조금을 지급하면 누적 총생산은 1%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자연 산출량 추정: 베이지안 DSGE 접근법 (Estimation the Natural Output Korea: A Bayesian DSGE Approach)

  • 황영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1호
    • /
    • pp.1-25
    • /
    • 2009
  • 본 논문은 일반적인 뉴 케인지언 이론의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하는 동태적 확률 일반 균형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베이지안 추정법을 통해 한국의 자연 산출량과 자연 이자율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한 이론 모형에 의해 추정된 산출량 갭은 기존의 일반적인 접근법에 의한 추정치보다 변동 폭이 훨씬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모형 설정을 통해 결과의 민감도를 살펴본 경우, 필립스 커브에서의 과거 지향적 요인 및 소비 행태에서의 습관 형성 등이 한국 거시경제의 동태적 양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인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SGE 모형 추정을 이용한 2000년 이후 한국의 거시경제 분석 (Analysis on Korean Economy with an Estimated DSGE Model after 2000)

  • 김태봉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2호
    • /
    • pp.1-64
    • /
    • 2014
  • 본고는 소규모 개방경제를 상정한 동태확률모형을 통해 2000년 이후의 한국 거시경제의 변동요인들과 금융위기 기간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변화요인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동태확률모형은 경제성장률을 결정하는 두 가지 다른 추세요인과 다양한 구조충격요인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마찰을 포함시킴으로써, 거시변수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금융위기 기간 동안 통화정책은 주로 테일러 준칙을 따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재정정책의 반응은 재정준칙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폭의 재정충격요인에 의해서 설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he Nexus Between Monetary Policy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Hoang Ch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153-166
    • /
    • 2022
  • The study estimates the Structured VAR and th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for the Vietnamese economy based on the new Keynesian model for small and open economies, with the output gap, inflation, policy interest rate, the Vietnamese exchange rate, and the inflation and interest rate in the United States. The paper aims to clarify the impulse response of the macro variables through their shocks. It offers to model the SVAR and DSGE processes, as well as describe why and how interest rate policy is important in the impulse response of macro variables like the output gap and inflation process. The study supports the central role of monetary policy by giv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new Keynesian theory, according to which an interest rate shock causes the output gap to widen and inflation to decrease.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DSGE model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the State Bank of Viet Nam to improve its policy planning, analyzing, and forecasting policy towards sustainable and stable growth.

The Effect of Heterogeneous Wage Contracts on Macroeconomic Volatility in a Financially Fragile Economy

  • Kim, Jongheu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1권2호
    • /
    • pp.167-197
    • /
    • 2017
  • I build a small open economy (SO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eterogeneous wage contract between regular and temporary workers on a macroeconomic volatility in a financially fragile economy. The imperfect financial market condition is captured by a quadratic financial adjustment cost for borrowing foreign assets, and the labor market friction is captured by a Nash bargaining process which is only available to the regular workers when they negotiate their wages with the firms while the temporary workers are given their wage which simply equals the marginal cost. As a result of impulse responsesto a domestic productivity shock, the higher elasticity of substitution between two types of workers and the lower weight on the regular workers in the firm's production process induce the higher volatilities in most variables. This is reasoned that the higher substitutability creates more volatile wage determination process while the lower share of the regular workers weakens their Nash bargaining power in the contract process.

중간재 무역과 경기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Intermediate Goods Trade and Properties of Business Cycle)

  • 정경화
    • 무역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3-9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trade in intermediate input on the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business cycle properties in Korea. To do this, I have extended standard one goods New Keynesian international business cycle model to incorporate the role of intermediate inputs. After constructing the DSGE model, I have analysed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 decomposi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 could introduce a new channel, that is, "cost channel" like Eyquem and Kamber (2014). In other words, the model has changed the dynamics of aggregate inflation by the cost channel. When the trade in intermediate goods increase, which is measured by openness of foreign input, the volatility of output, consumption and inflation increase two or three times. However, the model itself fails to explain the full account of cycle behavior of historical data, but the results imply that the trade in intermediate input assumption can help to improve the forecas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business cycle models.

주택가격채널: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House Price Channel: Effects of House Prices on Macroeconomy)

  • 송인호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4호
    • /
    • pp.171-205
    • /
    • 2014
  • 본 논문은 주택가격이 주택가격채널을 통해 거시경제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Iacoviello(2005)의 경제구조와 동태적 확률적 일반균형(DSGE) 모형을 한국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택과 소비 간 보완성이 강할수록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소비의 반응은 더 커지면서 주택과 소비 간 동조 현상이 나타난다. 보완성이 0.42이고 LTV(주택담보대출)가 50%일 때 주택가격의 1% 상승은 소비를 0.057%p 상승시키고, 보완성이 0.52인 경우 1%의 주택가격 상승은 소비를 0.047% 상승시킨다. 한편, 주택가격이 거시경제변수와 연계성을 가지는 주요 통로는 소비의 변화이다.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소비가 늘어나고, 이는 다시 거시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주택과 소비 간 기간내대체탄력성은 0.42로 추정되어 주택과 소비 간 보완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보완성은 주택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증폭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