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C thermogram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5초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Properties of Muscle Proteins and Pork Quality

  • Kuo, Hsiu-Lan;Chen, Ming-Tsao;Liu, Deng-Cheng;Lin, Lieh-Ch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427-4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as model study using four animals to investigate the correction between the changes i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rmogram of muscle proteins during storage and meat freshness. M. longissimus dorsi of pork was obtained immediately after slaughter and chilled/stored at either $-2^{\circ}C$ or $25^{\circ}C$ for up to 96 h for analyses. DSC thermogram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pH values, ATP-related compounds, K-value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levels, bacterial counts and electrophoretic behavior. Changes in pH, bacterial counts, VBN and K-valu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The levels of pH values, bacterial counts, VBN and K-values of pork samples stored at $2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ork samples stored at $-2^{\circ}C$. ATP concentration decreased faster in samples stored at $25^{\circ}C$. Only IMP increased in samples stored at $-2^{\circ}C$,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hypoxanthine and inosine increased in samples stored at $25^{\circ}C$. One exothermic peak and two endothermic peaks appeared on the thermograms of pork stored at either temperature. Lower transition temperature of myosin, sarcoplasmic protein and actin peaks were observed. The freshness parameters of K-value, VBN and hypoxanthine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0.742- -0.9980) to the changes in transition temperature. Therefore, the shift temperature on DSC thermogram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freshness parameters of meat.

치즈의 융해성질(融解性質)에 관한 연구 (Melting Characteristics of Cheese)

  • 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3-158
    • /
    • 1984
  • 치즈의 융해정도(融解程度)(meltability)를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중 대표적인 2가지 방법, 즉 Schreiber방법과 Arnott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같은 시료에 대해 두가지방법이 서로 다른 융해정도(融解程度)를 나타내었다. Schreiber 방법에서는 sharp Cheddar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process American, mild Cheddar, Mozzarella의 순(順)이었고. Arhott 방법에서는 그 순서가 바뀌어서 Mozzarella, mild Cheddar, sharp Cheddar. process American의 순(順)이었다. Process cheese product는 분산(分散)된 값들을 보여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못하었다. 두가지 방법 모두 일정시간(一定時間) 가열시(加熱時)에는 일정(一定)한 융해정도(融解程度)를 보여주었으며 이것은 scorching이나 case hardening에 의해 더 이상의 흐름을 방지(防止)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DSC-Thermogram은 14도와 30도 근처에서 endothermal peak를 보여주었다. 이들은 가열시(加熱時) 유지방(乳脂肪)의 융해(融解)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 PDF

불포화 폴리에스터/비닐에스터 블렌드의 경화 거동, 열안정성 및 굴곡 특성 (Cure Behavior, Thermal Stability and Flexural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Vinyl Ester Blends)

  • 이종문;조동환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20-128
    • /
    • 2003
  • 불포화 폴리에스터(UPE), 비닐에스터(VE) 및 그 블렌드의 경화 거동에 미치는 촉매 반응촉진제 그리고 블렌드 조성의 영향을 시차주사열량(DSC) 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수지의 DSC 열분석도는 각 변수에 크게 의존하였다. 115$^{\circ}C$에서 나타나는 작은 발열 피크는 주로 UPE/VE 블렌드를 구성하고 있는 UPE 성분에 의한 것이며, 134~138$^{\circ}C$ 사이에서 나타나는 큰 피크는 주로 VE 성분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각 블렌드를 고온 18$0^{\circ}C$와 수십초의 빠른 경화 조건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DSC 열분석도 결과는 고속에서 블렌드의 열성형 공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UPE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수지 흐름시간의 측정 결과는 UPE/VE 블렌드에서도 세 영역치 경화 단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즉, 유도단계, 전이단계, 거대 젤 형성단계, 경화된 UPE의 열안정성과 굴곡 특성은 UPE에 VE측 블렌딩함으로써 조성비에 따라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두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39
    • /
    • 1993
  • 전분입자의 크기는 동부와 녹두가 좀 작았으며, 강남콩과 팥은 약간 더 컸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와 강남콩이 시료 중 약간 더 많았으나 모두 $25{\sim}29%$의 범주였다. 강남콩전분의 팽윤력은 전 온도범위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아주 낮았다. Brabender Visco/amylo/Graph 결과는 동부, 녹두, 팥은 호화 점도도 크고, 노화시점도의 증가도 크지만, 강남콩은 점도의 증가가 아주 낮았다. 아밀로그램에서 점도의 변화양상은 아밀로오스 함량과는 관계가 없고, 아밀로오스의 크기나 전분립의 형태, 결정화 정도 등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SC에 의해 조사한 호화 양상에서 강남콩이 호화 개시온도가 다른 시료보다 더 높았으며 동부와 녹두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들의 호화엔탈피는 거의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부와 녹두전분의 특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강남콩은 이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팥은 중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Cure Reactions of Epoxy/Anhydride/(Polyamide Copolymer) Blends

  • Youngson Choe;Kim, Won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5호
    • /
    • pp.259-265
    • /
    • 2002
  • The cure kinetics of blends of epoxy (DGEB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anhydride resin with polyamide copolymer, poly(dimmer acid-co-alkyl polyamine), were studi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under isothermal condition. On increasing the amount of polyamide copolymer in the blends, the reaction rate was increased and the final cure conversion was decreased. Lower values of final cure conversions in the epoxy/(polyamide copolymer) blends indicate that polyamide hinders the cure reaction between the epoxy and the curing agent. The value of the reaction order, m, for the initial autocatalytic reaction was not affected by blending polyamide copolymer with epoxy resin, and the value was approximately 1.3, whereas the reaction order, n, for the general n-th order of reactio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lyamide copolymer in the blends, and the value increased from 1.6 to 4.0. A diffusion-controlled reaction was observed as the cure conversion increased and the rate equation was successfully analyzed by incorporating the diffusion control term for the epoxy/anhydride/(polyamide copolymer) blends. Complete miscibility was observed in the uncured blends of epoxy/(polyamide copolymer) up to 120 $^{\circ}C$, but phase separations occurr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curing process at higher temperatures than 120 "C. During the curing process, the cure reaction involving the functional group in polyamide copolymer was detected on a DSC thermogram.gram.

도라지 분획성분이 인지질막 Liposome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mbrane Fluidity of Bellflower(Platycodon grandiflorum A.) Fractions on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s)

  • 배송자;강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8
    • /
    • 2002
  • 세포막 유동성은 생체의 항상성 유지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기능으로서,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첨가로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열시차 열량분석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하였다. DPPC liposome에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 첨가시 첨가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서서히 상전이 온도가 저하되었고 thermogram도 넓어졌으며 이에 따라 협동 단위($\Delta$ $H_{vH}$ /$\Delta$ $H_{cal}$)수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라지 분획물의 첨가로 DPPC liposome의 유동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 되어진다. 시료의 각 용매별 분획물의 유동성 효과는 ethyl-ether 분획층인 PGMEE의 경우 상전이온도 Tm이 시료첨가 최고농도에서 DPPC liposome 만의 경우보다 4.3$^{\circ}C$가 저하되어 다른 분획물보다 그 정도가 두드러졌으며 그 순서는 hexane 분획층 PGMH, ethylacetate 분획층인 PGMEA 및 methanol 분획층 PGMM의 순이었으며 butanol 층인 PGMB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앞서의 열역학적 요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GMB를 제외한 시료의 각 분획물 성분 중 분자내 hydrophobicity가 큰 물질들이 DPPC liposome 이중층의 소수성부분에 더 깊숙히 침투됨으로써 인지질 liposome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는 이온, 약물, 영양물의 흡수, 수송 및 교환등 생체막의 주요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막유동성을 증가시키는 도라지 분획물들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기대되어 진다.

나일론 6 초극세 섬유의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Nylon 6 Ultramicrofiber)

  • 정동석;이두환;이문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319-327
    • /
    • 2002
  • Nylon 6 ultramicrofiber(UMF, monodenier 0.074d) and regular staple fiber(monodenier 2.05d) were dyed with acid and disperse dy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of the fiber fineness. Also X-ray diffraction pattern, birefringence, DSC thermogram, moisture regain and water absorption of these fibers are measured. The dyeing rate of nylon UMF with acid dyes i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regular fiber, but not increased for disperse dyes. Also the saturation dye uptake of UMF with acid dyes is higher than that of regular fiber, while it is unchanged for disperse dyes. The moisture regain of UMF is similar to the regular fiber, whereas the water absorption of UMF is two times th그n that of the regular fiber. The crystallinity percentage of UMF is higher than that of regular fiber.

Preparation of Nonlinear Optical Poly(Alkyl Vinyl Ethers). 4.$^1$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3^{\prime},5^{\prime}-dimethoxy-4^{\prime}$-(2-vinyloxyethoxy)-4-nitrostilbene] and Poly[$3^{\prime},5^{\prime}-dimethoxy-4^{\prime}$-(2-vinyloxyethoxy)-2,4-dinitrostilbene]

  • 이주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336-340
    • /
    • 1995
  • 3',5'-Dimethoxy-4'-(2-vinyloxyethoxy)-4-nitrostilbene 2 and 3',5'-dimethoxy-4'-(2-vinyloxyethoxy)-2,4-dinitrostilbene 5 were prepared by the reactions of 2-iodoethyl vinyl ether with 3',5'-dimethoxy-4'-hydroxy-4-dinitrostilbene 1 and 3',5'-dimethoxy-4'-hydroxy-2,4-dinitrostilbene 4, respectively. Monomers 2 and 5 were polymerized with cationic initiators to obtain polymers with 3',5'-dimethoxy-4'-oxy-4-nitrostilbene and 3',5'-dimethoxy-4'-oxy-2,4-nitrostilbene, which are presumably effective chromophores for second-order nonlinear optical application in the side chain. The resulting polymers 3 and 6 were soluble in DMSO and DMF. The inherent viscosities of the polymers were in the range of 0.28-0.33 dL/g in DMSO. Polymers 3 and 6 showed a thermal stability up to 250 ℃ in TGA thermogram, and the Tg values obtained from DSC thermograms were in the range of 81-87°.

In-situ Thermally Curable Hyper-branched 10H-butylphenothiazine

  • Jo, Mi-Young;Lim, Youn-Hee;Ahn, Byung-Hyun;Lee, Gun-Dae;Kim, Joo-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492-498
    • /
    • 2012
  • A hyper branched 10-butylphenothiazine with in-situ thermally curable methacrylate (1,3,5-tris-[$\{$10-Butyl-3-(4-(2-methyl-acryloyloxy)-phenyl)-7-yl-10H-phenothiazine$\}$]-benzene, (tris-PTMA)) was synthesized successfully. From the TGA thermogram of tris-PTMA was thermally stable up to $336^{\circ}C$. In the first heating scan of DSC thermogram, tris-PTMA show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t $140^{\circ}C$ and broad endothermic process in the region of $144-179^{\circ}C$, which is thermally curing temperature. In the second heating process, $T_g$ exhibited at $158.7^{\circ}C$ and endothermic process was not observed. Thermally cured tris-PTMA showed no big change in the UV-visible spectrum after washing with organic solvent such as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toluene, indicating that thermally cured film was very good solvent resistance. Thermally cured tris-PTMA was electrochemically stable and the HOMO energy level of tris-PTMA was -5.54 eV. The maximum luminance efficiency of double layer structured polymer light-emitting diode based on in-situ thermally cured tris-PTMA was 0.685 cd/A at 16.0 V,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evice without thermally cured tris-PTMA (0.348 cd/A at 15.0 V).

가열, 고압, 방사선 처리된 빙핵활성세균의 활성 및 물의 동결특성에 미치는 영향 (Ice Nucleating Activities of Ice Nucleation-Active Bacteria Sterilized with Heat, Pressure and Irradiation , and Their Thermophysical Effects on Water)

  • 김현정;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26-336
    • /
    • 1997
  • INP를 포함한 빙핵활성세균을 식품 가공 단계에 직접 이용하기 위해 빙핵활성을 최대한 유지시키면서 완전 살균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가열, 고압, 방사선으로 처리한 후 생균수 및 빙핵활성을 측정하였다. 균주는 Pseudomonas syringae, Xanthomonas campestris와 INP유전자를 포함한 plasmid가 재조합된 Escherichia coli JM109/pEIN229, Gluconobacter oxydans/pKIN230를 사용하였다. 빙핵활성을 T90 (drop의 90%가 어는 온도)으로 나타내었을 때 방사선 조사시 $0.3^{\circ}C{\sim}0.7^{\circ}C$, 초고압 처리시 $1^{\circ}C{\sim}2^{\circ}C$, 가열 처리시 $4^{\circ}C{\sim}7^{\circ}C$가 감소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시 빙핵활성의 감소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살균점에서의 cumulative ice nucleation activity spectra를 측정한 결과 A부류의 빙핵($-5^{\circ}C$ 이상에서 빙핵으로 작용)의 수는 방사선처리시 거의 감소가 없었으며 초고압처리시 90% 이상 감소하였으며 가열처리시 존재하지 않았다. 증류수에 방사선조사로 살균된 빙핵활성세균을 첨가한 후 DSC를 이용해 thermogram을 얻었다. 빙핵활성세균을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보다 $11^{\circ}C{\sim}15^{\circ}C$ 정도 높은 온도에서 발열 피크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나 흡열 피크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발열량 및 흡열량은 감소했다. 한편, DSC를 이용해 측정된 빙핵활성은 drop freezing method에 의해 측정된 값과 높은 연관성$(R^{2}>0.993,\;p<0.0001)$을 보여 간편하고 정확한 빙핵활성 측정법으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