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test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생리활성 기능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 김준범;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2004
  •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및 클로로포름 추출물 (5.6%)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각 추출물의 수소전자공여능 $IC_{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인 butyl-hydroxytoluene, 비타민 C, 알구토코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생열귀나무 잎의 클로르포름 추출물 결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3가지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B($\alpha$)P에 대해 79.8%의 억제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 첨가에서 B($\alph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다.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Hoi-Kyung;Bang, Chan-Sook;Choi, Young-Min;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02-806
    • /
    • 2007
  •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egetables.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13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New-beet and ornamental kale contained >1,000 mg of polyphenolics/100g fresh weight (FW),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Ornamental kale also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232.84 mg/100g FW) of flavonoids. With the exception of chicory, valu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similar trends. New-beet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antioxida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New-beet exhibit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60%) against all tumor cell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contents or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samples.

화장품에 적용한 오배자·계피·로즈마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검증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tability of Rhus Javanica L., Cinnamomum Verum and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smetics)

  • 전형철;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020-10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해가 없으며 항균작용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오배자, 계피, 로즈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방부제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식물의 추출방법으로는 계피의 경우 70% ethanol 추출, 오배자는 열수추출법, 로즈마리는 70% ethanol 추출과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균력, DPPH를 통한 항산화능, 화장품의 challenge test, 화장품 안정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항균력 시험에서 오배자 추출물은 세균류, 계피 추출물은 진균류에서 항균력이 우수, 로즈마리 추출물의 경우 항균력이 미비해 제외, 복합 추출물(오배자·계피)의 경우는 1:1비율로 조합한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 항균효과, 복합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에서는 5종의 실험균주에서 억제효과와 살균효과, 천연 단일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는 항산화능이 확인 되었다. 또한 합성 방부제 대신 complex C 10%를 화장품에 적용한 시험에서 제형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천연방부제 원료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rcine Placenta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Porcine Placeta)

  • 김보영;김타곤;강환열;백현;전혜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27-331
    • /
    • 2010
  • 돈 태반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칼리 가수분해, 효소처리 및 산처리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돈 태반 추출물의 중금속함량을 측정한 결과 납, 비소, 수은 등이 매우 낮아서 화장품소재로서 적절하였다. 화장품소재의 안전성시험(MTT assay) 결과 돈 태반 추출물은 모두 $50{\mu}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어서 독성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사용한 항산화시험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pH9로 알칼리 처리한 경우가 항산화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Tyrosinase 활성저해시험을 사용한 미백효과 측정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알칼리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30% 정도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보여주어서 가장 우수하였지만, 대조군인 arbutin이나 비타민 C에 비해 그 효과가 다소 낮았다. Elastase 활성억제시험을 이용한 주름개선 효과 측정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5가지의 처리법에서 모두 20~30%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보여주어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효소처리한 추출물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돈 태반 추출물 1%를 함유한 스킨제형을 제조하여 온도, 시간에 따른 안정성 시험결과, 안정성 역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 태반 추출물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가죽나무 추출물의 꽃매미 유인효과, 항산화 활성 및 국소자극성시험 (Attraction effect against Lycorma delicatula, antioxidant activity and local irritation test of Ailanthus altissima extract)

  • 이승진;박승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1-237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attraction effect against Lycorma delicatula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xane, chloroform, butanol and water fraction obtained from Ailanthus altissima methanol extract. The attraction effect of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47%) as compared to that of other fractions.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anol and butanol fraction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solvent fractions. From the above results, the potential chloroform fraction was further performed by local irritation test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In eye irritation test, chloroform fraction showed moderate irritant at high concentration 0.5 g/site/mL, but there was no eye irritation at low concentration (0.05 g/site/mL). In accordance with the Draize evaluation of skin irritation, the primary irritation index was calculated to 3.3 and 0.68 at high (0.5 g/site/mL) and low concentration (0.05 g/site/mL) causing moderate and mild irritation,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is study, Ailanthus altissima chloroform fraction could be safely considered to be a candidate of attractant against Lycorma delicatula.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 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Root Extracts)

  • 박숙경;홍슬기;김희진;김보영;김타곤;강재선;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553-557
    • /
    • 2009
  •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서 기능성 화장품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기분석시험을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가 약 97%로 매우 고농도로 존재하였으며 그 비가 약 3:2로 나타났다. 화장품소재 시험으로는 항산화(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주름개선(Elastase inhibition assay), 자외선 흡수 및 안전성 시험(MTT assay)이 실시되었다.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15{\mu}g/ml$의 농도에서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45.2{\pm}3.9%$, melanin 생성억제 효과가 $24.2{\pm}12.0$로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항산화효과는 $24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율이 $40.9{\pm}9.1%$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100{\mu}g/ml$의 추출물농도에서 $12.7{\pm}6.8%$로 낮았으며, 자외선 흡수효과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참당귀 뿌리 추출물은 화장품용 미백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삼지구엽초의 부위별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성현;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8-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뿌리, 줄기, 잎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를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FRAP를 추출 농도별(1, 2, 10, 20 mg/mL)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총페놀 함량의 경우 뿌리(2.468 mg), 잎(2.307 mg), 줄기(2.277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2.071 mg), 잎(1.875 mg), 줄기(0.616 mg)로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그리고 FRAP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줄기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뿌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는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지구엽초는 주로 잎 부분이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 지상부만을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허용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지상부 외에 지하부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알로에 베라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Aloe vera Powder)

  • 유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29-9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VP를 첨가(0, 2, 4, 6, 8%)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반죽 pH는 AVP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죽 밀도는 대조군과 2%와 4% AVP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6%와 8% AVP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p<0.001) 대체로 AV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퍼짐성 지수는 대조군과 2% AVP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4% AVP이상에서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p<0.001), AV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함량도 AV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01). 쿠키의 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AV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경도는 AVP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다(p<0.001). AVP 첨가 쿠키의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색, 맛, 외관, 조직감,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외관을 제외하고는 색, 맛, 조직감, 향, 전체적 기호도는 4% AVP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대체적으로 대조군, 2%와 6% AVP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8% AVP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이상의 결과로 알로에 첨가 쿠키 제조 시 품질특성, 항산화성, 기호도 면에서 4%의 AVP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본다.

LED 광원에 따른 표고 톱밥배지 갈변효율 및 자실체 특성 (Browning efficiency and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LED light source with sawdust substrate)

  • 박혜성;이은지;이찬중;공원식;장명준;이관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5-201
    • /
    • 2017
  • LED 광원 종류별로 갈변시킨 톱밥배지에서 발생된 표고버섯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광원 종류 및 광량 선발에서는 청색LED 200lx에서 갈변 효율이 가장 좋았고, 광원 종류에 상관없이 200lx에서 높은 갈변효율을 보였다. 수량에서도 청색광원이 다른 처리에 비해 우수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갈변효율과는 달리 적색광원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인 처리구로 '농진고'는 적색광원 400lx에서 발생된 자실체가 $34.3{\pm}1.80%$, '산조701호'는 적색광원 300lx에서 $32.99{\pm}1.58%$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폴리페놀 함량은 '농진고'에서는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산조701호'에서는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 김이선;윤상혁;김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57-13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의 항산화 활성과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사람의 장내 세포인 Caco-2 cell에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자극시켜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를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assay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도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토종과 외래종 복분자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 역시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AP value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RAP value가 높았던 외래종 복분자 100% EtOH 추출물이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능 모두 높은 추출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