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독활(韓國獨活)과 중국독활(中國獨活)의 항산화효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ctivities of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 신명섭;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7-76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compared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used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effect Methods : We tested the anti-oxidant effect through in vitro experiment and in vivo experiment that induced oxidative stress using ethanol. Results : 1.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2.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milar between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3. The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4. The phenolic component was high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than in Angelica pubescens Root. 5. Both Aralia continentalis Root and Angelica pubescens Root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GSH and decreased SOD activity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and the effect was stronger in Aralia continentalis Root. 6. Aralia continentalis Root increased GSH peroxidase activity but Angelica pubescens Root did not have such an effect. 7. Neither Aralia continentalis Root nor Angelica pubescens Roo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talase, ADH and ALDH in mice, in which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Conclusions : Aralia continentalis Root has a stronger anti-oxidant effect than Angelica pubescens Root. Thus, although Aralia continentalis Root is not an original plant recorded in botanical literature, it may be usable based on the data about its effects.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ER var. koreana Nakai Fruits Extracts on Glucose,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 Lee Yoon-Ah;Chae Hee-Jun;Moon Hae-Y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33-538
    • /
    • 2005
  •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THUNBER var. koreana Nakai fruits extracts and the effect of Hovenia dulcis fruits extracts on glucose,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DPPH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iy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of Hovenia dulcis fruits $80\%$ methanol extracts were $0.06\pm0.002mg$ polyphrnol/ml and $0.l2\pm0.00lmg$ polyphmol/ml, respectively. Hovenia dulcis fruits $80\%$ methanol extracts were partitioned into hexan, dichloro meth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successively. Ethyl acetate fraction were good antioxidant activity. Streptozotocin (45 mg/kg body weight, i.p.) induced diabetic ra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s of plasma glucos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omitantly significant decrease of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Glutathione level were decrease in cytosol of liver. Lipid peroxide were increase in microsome of liver. Group 1 and 2 were treated with Hovenia dulcis fruits ethyl acetate extracts 50 mg/kg body weight and 20mg/kg body weight for 24 days, individually. Group land 2 rats showed decreased plasma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ipide peroxide in microsome of liver tissue of rats, and increased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glutathione in cytosol of liver tissue rats. The result suggest that Hovenia dulcis THUNBER var. koreana Nakai fruits extracts may effectively normalize the impaired antioxiants stat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Hovenia dulcis fruits ethyl acetate extracts were used to improve the imbalance between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 system due to the diabetes.

  • PDF

감송향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Nardostachys Chinensis in IFN-$\gamma$/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 백설;최재혁;고성훈;이용재;차동석;박은영;강양규;전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53-859
    • /
    • 2009
  • Nardostachys chinensis has been used widely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verse diseases. The dried plant was extracted with 85% methanol extract (NC).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NC on the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uperoxide anion and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under in vitro assays. NC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ascorbic acid. In macrophages, nitric oxide is released as an inflammatory mediator and has been proposed to be an important modulator of many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in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lso investigated that the inhibition effects on NO and the mechanism of down-regulation of immune response by NC in IFN-IFN-$\gamma$/LPS-stimulated mouse (C57BL/6) peritoneal macrophages. Extracts of NC suppressed NO pro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NC has a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therefore may be beneficial in diseases which related to oxidative stress-mediated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및 화장품에의 응용( I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Fractions and Application on Cosmetics)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9-2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름과 미백에 관련된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에 대한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밤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측정 결과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50% ethanol 추출물($13.6{\mu}g/mL$ < ethyl acetate 분획(6.2) < aglycone 분획(2.1)으로 나타났고, lumion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0.8) < 50% ethanol 추출물(0.5) < ethyl acetate 분획(0.3) 순으로 나타났다. NET법을 이용한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O_2}^{{\cdot}\;-}$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65.5)이 ethyl acetate 분획(145.5)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rose-bengal과 빛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활성은 $10{\mu}/mL$에서 aglycone 분획이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oleanolic acid ($13.7{\mu}/mL$)에 비해 훨씬 좋은 $9.1{\mu}g/mL$로 나타나 뛰어난 주름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미백 관련 화장품 고시 원료인 arbutin ($226.2{\mu}g/mL$)에 비해 훨씬 좋은 $21.6{\mu}g/mL$로 나타나 뛰어난 미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앞서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25{\mu}g/mL$ 이하에서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25{\mu}g/mL$ 이하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arbutin보다 훨씬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TLC와 HPLC를 통해 분석한 결과 kaempferol,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in, rut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에서도 quercitr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밤나무 잎 추출물이 free radical, ROS를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과형성 및 주름 생성에 있어 상당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감잎(柿葉) 추출물의 채취시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 변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효과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t Different Harvest Time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Effects for Persimmon Leaf Extract)

  • 정우영;정종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 obtained from Cheongdo-gun, where more than 60% of Korean persimmon is produced. Methods :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crude persimmon leaf extract harvested monthly between May and November were determined by in vitro assa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reaction. Anti-atopic dermatitis effects of the crude persimmon leaf extract were determined by using collagenase type I inhibition assay and by quantitative assays including serum histamine, prostaglandin E metabolite and leukotriene $B_4$ levels in animal model of atopic dermatitis using Balb/c mice. Results : Persimmon leaf extract harvested in May had higher level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182.24 mg/g) and flavonoids (23.05 mg/g) than the ones of different month extract. Also, persimmon leaf extract harvested in May showed the most effective extract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free radical ($13.39{\pm}0.21\;{\mu}g/m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40.52{\pm}2.32\;{\mu}g/ml$), leading to use the persimmon leaf extract harvested in May for the experiments hereafter. Persimmon leaf extract showed $326.71{\pm}4.6\;{\mu}g/ml$ of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for collagenase type I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In addition, persimmon leaf extract application group could decrease serum levels of histamine, prostaglandin E metabolite and leukotriene $B_4$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in animal model of atopic dermatitis. Especially, persimmon leaf extract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leukotriene $B_4$ level relative to the levels of histamine and prostaglandin E metabolite. Conclusions : Persimmon leaf extract showed anti-oxidative and anti-atopic dermatitis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immon leaf extract may have immunoregulatory function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by decreasing collagenase activity and mast cell activation.

감귤당근 혼합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xed Citrus and Carrot Juice)

  • 오유성;황준호;오현정;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98-604
    • /
    • 2012
  • 제주산 친환경 감귤과 당근의 착즙액과 감귤착즙박을 이용하여 4개의 감귤당근 혼합주스 시제품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시제품의 조성은 CCJ-1이 감귤착즙액 :당근착즙액 : 50% 감귤착즙박(착즙박 : 물=1:1) :올리고당 등 첨가물이 70:30:0:0, CCJ-2가 65: 30:0:5, CCJ-3이 65:30:5:0, CCJ-4가 60:30:10:0이었다. 산도는 감귤착즙박을 첨가한 시제품(CCJ-3, 4)이 각각 0.82와 0.80으로 첨가하지 않은 시제품(CCJ-1)의 0.95보다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가 2.11~5.76 g/100 g, glucose가 1.20~2.75 g/100 g, sucrose가 3.00~4.21 g/100 g으로, 특히 fructose 함량에서 많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CCJ-3과 CCJ-4가 각각 863 mg%과 898 mg%로 CCJ-1(735 mg%)보다 각각 1.17배와 1.22배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2,500 ${\mu}g/mL$의 농도에서 CCJ-3과 CCJ-4가 각각 58.7%와 63.3%로 CCJ-1(19.2%)보다 각각 3.05배와 3.29배 높았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도 CCJ-3과 CCJ-4가 625 ${\mu}g/mL$에서 CCJ-1보다 각각 1.67배와 1.80배 높았다. NO 생성 저해능은 CCJ-3과 CCJ-4가 각각 20.9%와 28.5%로 CCJ-1(18.2%)보다 각각 1.15배와 1.57배 높았다. 감귤당근 혼합주스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시제품 CCJ-3은 색상, 향, 맛 그리고 전반적인 선호도가 4개의 시제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감귤착 즙액 65%에 당근 착즙액 30%와 50% 감귤착즙박을 5% 첨가한 시제품 CCJ-3이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고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손바닥 선인장 엽상경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ickly Pear Cactus Cladodes)

  • 황준호;이미란;김재원;부희정;강창희;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6-362
    • /
    • 2015
  •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의 엽상경을 열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분획하여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84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부탄올 분획물(452), 헥산 분획물(220)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14 mg GE/g으로 가장 높았고 헥산 분획물(113), 부탄올 분획물(76) 순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헥산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은 각각 103, 359, $469{\mu}g/mL$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IC_{50}$)도 각각 105, 379, $605{\mu}g/mL$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 유해산소 억제 능력(ORAC)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391{\mu}M$ T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부탄올 분획물(117), 헥산 분획물(64) 순이었지만, 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IC_{50}$, ${\mu}g/mL$)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40), 부탄올 분획물(69), 70% 에탄올(98) 순이었다. RAW264.7 세포에 의한 NO 생성 저해능($IC_{50}$, ${\mu}g/mL$)은 헥산 분획물(6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4), 부탄올 분획물(465)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독성 대비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SI 지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4.6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헥산 분획물(3.37), 부탄올 분획물(2.14), 증류수 추출물(1.66) 순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quercetin(6.25)보다는 낮았다. 결론적으로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엽상경의 추출물과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과 항염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통 한약 탕제 투여에 의한 혈장 및 간 조직의 항산화력 증강 효과 (Reinforcement of Antioxidative Potentials by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on Mouse Plasma and Liver)

  • 홍성길;이미영;윤유식;강봉주;김대원;조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61-1666
    • /
    • 1999
  • 인체에 대해서 유익한 작용을 하며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3개의 보익제를 동의보감으로부터 선정하여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자료로서 항산화력을 조사하였다 동의보감의 처방에 따라서 약재를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력을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대표적 항산화제인 vitamin C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모두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이 3개 탕제를 흰쥐에게 4주간 투여한 뒤 혈장에서 총항산화력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탕제 투여한 흰쥐의 간 조직을 적출 하여 활성 산소발생제인 2.2'-azobis(amidinopropane)dihydrochloride(AAPH)를 처리한 결과 조직내의 대표적 비효소 항산화제인 환원형 glutathione의 감소가 억제되었으며, 산화형과 환원형의 비율 또한 증가하여 탕제 투여에 의해 간 조직 및 혈장의 항산화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지질과산화(TBARS) 단백질 분해도 역시 탕제 투여군이 비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따라서, 보익제로 사용되는 3개 탕제는 체내 항산화력을 증강시켜 노화 및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체내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In Vitro 항산화능 측정법에 대한 특징 분석과 채소.과일 시료에 대한 적용 사례 고찰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 김민정;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53-1062
    • /
    • 2011
  • 건강한 삶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와 질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항산화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연물이나 식품을 소재로 한 식이성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천연물의 소재나 연구 분야의 폭이 매우 넓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 소재의 항산화능을 조사할 수 있는 측정법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약용 식물이나 상용 채소, 과일을 시료로 하여 여러 가지 radical이나 target molecule에 대한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생체외(in vitro) 측정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총설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능 측정법의 특징을 분석하고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식품의 구성 성분은 단일물질이 아닌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측정법으로 항산화능을 평가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채소와 과일을 포함한 여러가지 식물성 식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실험에 사용되는 radical과 기전(mechanism), 실험 조건(온도, pH, 실험기기, 시료추출방법, 소요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측정법의 다양성과 사용 단위의 차이로 인해 각 시료의 항산화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항산화능 측정법의 표준화와 표현 단위의 통일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in vitro에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채소, 과일 등의 생체 내 활성은 다양한 biomechanism과 polymerphism으로 인해 그 효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in vitro에서의 항산화능 screening 결과를 바탕으로 in vivo에서의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부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감잎(Diospyros kaki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유기환;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91-16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어진 감잎 추출물(PLE)의 추출방법을 달리하고 그 추출물을 비 특이적 흡착 resin을 사용하여 부분 정제함으로서 추출물의 활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PLE와 PLE의 부문 정제물(PPLE)의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개선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효과에 관여하는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과 제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능에 관여하는 5-LO억제 효능, COX억제효능, NO소거효능 및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억제 효능(PCA)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LE와 PPLE의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230.0{\pm}19.6$ mg/g, $475{\pm}38.7$ mg/g이 함유되어 있었고,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34.8{\pm}6.5$ mg/g, $78.8{\pm}3.6$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LE와 PPLE이 각각 $23.8{\pm}63.2$ mg/g, $10.0{\pm}1.3$ mg/g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47.6{\pm}3.4$ ppm, $22.4{\pm}3.3$ ppm의 농도에서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LE와 PPLE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각각 $77.1{\pm}11.7$ ppm, $38.6{\pm}7.0$ ppm으로 양성대조군인 EGCG의 $IC_{50}$($18.9{\pm}5.5ppm$)보다는 높았지만 PLE와 PPLE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였을 때 5-LO를 비교 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2의 선택적 저해율을 COX-1과 COX-2의 비율 비교를 통해 나타낸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보다는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다른 천연물과 비교하였을 때 COX-2를 상당히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하여 낮은 세포독성과 NO소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 효과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감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관련 질병 예방 및 개선 또는 건강식품 원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