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24초

추출용매에 따른 쇠미역과 다시마의 항산화, 항노화 활성과 페놀화합물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Anti Aging and Phenolic Compound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Saccharina japonica and Costaria costata)

  • 이현화;김진솔;정준한;김춘성;이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7-12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완도산 다시마와 쇠미역의 항산화, 항노화 활성을 살펴보고 페놀화합물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다시마와 쇠미역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다시마 메탄올추출물(4.64 mgTAN/g), 쇠미역 메탄올추출물(4.19 mgQUE/g)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다시마와 쇠미역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쇠미역 주정추출물에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IC50 = 42.5 ㎍/µL)을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활성 측정 결과 다시마와 쇠미역 모두 열수보다 주정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쇠미역이 다시마보다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다시마와 쇠미역 추출물의 SOD, CAT, APX 활성은 열수, 주정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그리고 쇠미역보다 다시마에서 높은 SOD, CAT, APX 활성이 확인되어 다시마 메탄올 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 효소 활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Collagenase, elastase 저해 활성은 쇠미역 메탄올 추출물과 다시마 주정추출물에서 각각 88.3, 19.0%의 우수한 collage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다시마와 쇠미역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1.8, 30.3%로 나타나 다른 추출용매에 비해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이 측정되었으며, 주로 쇠미역보다 다시마에서 우수한 tyrosinase저해활성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다시마와 쇠미역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4-hydroxybenzoic acid, naringenin, naringin, nicotinic acid) 분석 결과 4-hydroxybenzoic acid 함량은 다시마 메탄올 추출물(8.25 ㎍/g), naringenin과 naringin 함량은 각각 쇠미역 주정추출물(0.58 ㎍/g), 다시마 주정추출물(661.66 ㎍/g), 마지막으로 nicotinic acid 함량은 쇠미역 주정 추출물에서 18.06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다. 본 실험 결과 다시마와 쇠미역은 메탄올과 주정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과 naringenin, naringin, nicotinic acid 함량이 나타났으며, 다시마와 쇠미역에 포함된 다양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다시마와 쇠미역의 항산화활성에 관여한 것으로 확인되어 다시마와 쇠미역 주정 및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과 화장품 소재개발에 대한 가능성이 증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rataegus pinnatifida)

  • 남상명;강일준;신미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0-277
    • /
    • 2015
  •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산사나무의 열매인 산사의 항산화 및 항당뇨 관련 활성을 검토하고, 추출 용매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최종당화산물 억제능, ${\alpha}$-glucosidase 억제능, aldose reductase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수율은 70% 에탄올 추출물이 33.16%로 가장 높았고, 50% 에탄올 추출물이 27.79%로 그 다음 높았으며, 물, 30% 에탄올, 100% 에탄올은 각각 21.71%, 21.88%, 19.03%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41.83{\pm}0.07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도 50%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0.79{\pm}0.83%$, $34.92{\pm}0.97%$로 가장 높았다. 최종 당화산물 억제능과 ${\alpha}$-glucosidase 억제능도 50% 에탄올 추출물이 $27.09{\pm}2.27%$$58.87{\pm}0.70%$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AR은 물 추출물이 $30.68{\pm}1.41%$로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알코올 농도에 따른 산사의 추출물 중 5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치가 있으며, 당뇨병 예방을 위한 천연물로서의 가능성도 보였으나 당뇨병 합병증 치료에 대한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좀 더 다양한 fraction에서의 연구와 in vivo 시험 등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담쟁이덩굴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s)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9-4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추출물이 항산화,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담쟁이덩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61.5 mg TAE/g과 122.1 mg TAE/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 mg/ml에서 95%와 92%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비타민 C와 유사한 항산화력을 보였다. SOD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1 mg/ml 농도에서 91%, 9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산화 활성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열수추출물과 비교할 때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담쟁이덩굴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과 핵산 및 부탄올 분획층에서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항당뇨 약물로 사용된 것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1 mg/ml 농도의 담쟁이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NO 합성이 약 40%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담쟁이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항당뇨, 항염 효과를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 항당뇨 기능성 소재로서 담쟁이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등수국 잎 추출물 유래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성분 (Whitening and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Hydrangea petiolaris Leaves)

  • 조성미;김정은;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3-13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등수국 잎 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미백 활성 실험 결과, n-hexane (Hex) 분획물이 세포독성 없는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및 세포 내 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ex 분획물이 tyrosinase 및 TRP-2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반면,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였고, H2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Hex 및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8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ethyl linoleate (1), ethyl linolenate (2), 1-linoleoyl glycerol (3), 1-linolenoyl glycerol (4), epi-catechin (5), afzelin (6), quercitrin (7), hyperin (8).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화합물 5 - 8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주성분인 quercitrin (7)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에서 31.3 mg/g, EtOAc 분획물에서 169.8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등수국 잎은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적 특성, 산화방지 활성 및 세포독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ity of turmeric pigments by thermal process)

  • 송이슬;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가공이나 조리 시 빈번히 적용되는 가열처리에 의한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산화방지활성 및 세포독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95^{\circ}C$에서 각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심황색소는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색도가 감소하였으며, 형광도는 초기 가열 시에 증가하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HPLC 분석 결과 3종의 쿠쿠미노이드 중 쿠쿠민이 가열처리에 가장 민감하였으며 BMC가 가장 안정하였다. 가열 처리 후의 심황색소에 의해 ABTS 라디칼, AAPH peroxyl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가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심황색소로 부터의 $H_2O_2$ 생성능이 증가한 반면, 정상장관계 세포 INT 407 및 대장암 세포 HCT 116를 대상으로 한 세포독성평가에서는 가열처리 후 심황색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약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심황색소의 화학안정성 및 생리활성이 가열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생리활성 증진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심황색소에 이러한 가열처리 효과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국인 상용채소 7종의 항산화능 및 항돌연변이능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 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44-1350
    • /
    • 2003
  •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주로 상용하는 7종의 채소에 대해 MDA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Ames test를 통한 항돌연변이능의 탐색 및 상호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7종의 채소류물 추출물의 MDA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에서는 깻잎과 돌나물(62.5%)이 가장 효과적으로 MDA의 교차결합을 차단하였고 부추, 참취, 돌미나리도 각각 57.4%, 53.5%, 45.6%의 저해율을 보였다. 또한 MDA의 교차결합의 형성 차단정도를 비교한 상대 저해율은 채소류의 물추출물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7종의 채소류 에탄올추출물의 지질과 산화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인 채소는 상대적으로 돌나물(67.1%), 돌미나리(61.5%)가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가 가장 높았다. 7종의 채소류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쑥갓(78.8%), 돌미나리 (73.6%)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각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들의 $IC_{50}$/값은 쑥갓이 31.1 $\mu\textrm{g}$/assay, 돌미나리가 93.8 $\mu\textrm{g}$/assay이었다. Ames test를 통한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능 실험에서는, 간접 작용 항돌연변이 능을 S. typimurium TA98로 측정한 결과 2-anthramine에 대한 항돌연변이능은 돌미나리(99.8%), 깻잎(85.6%), 부추(79.6%), 쑥갓(79.4%), 시금치(74.5%)등이 높았다. S. typimurium TA100에서 2-anthrami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는 돌미나리(100.0%), 쑥갓(79.1%), 시금치 (71.3%) 등이 높았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imurium TA98로 실험한 결과 2-nitrofluorene의 돌연변이능의 저해율이 높은 채소는 깻잎(82.8%), 참취 (82.3%), 쑥갓(56.6%)이었다. 또한 S. typimurium TA100 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저해효과가 가장 큰 채소는 돌미나리 (91.8%)이었다. 따라서 MDA & BSA conjugation 반응, 지질과산화억제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 측정법에 따라 항산화효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들 7종의 채소류를 상용함으로써 광범위하게는 만성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되며, 본 연구의 결과가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성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추출 방법이 개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Shoot Extract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강경명;노홍균;박창수;윤광섭;홍주헌;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86-1692
    • /
    • 2012
  • 개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추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온교반, 초음파, 감압, 환류냉각,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개두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추출물이 각각 153.43 mg GAE/g, 62.53 mg RE/g으로 높았으며, 모든 추출물은 항산화 실험에서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환류냉각과 초음파 병행 추출물은 추출농도 1,000 ${\mu}g/mL$에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90.85%, 99.83%), 환원력(OD 0.95, 700 nm), 아질산염 소거능(55.46%), ferrous ion chelating 효과(45.12%)가 우수하거나 유사하였다.

목단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작용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 권오근;손진창;김상철;정신교;박승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81-285
    • /
    • 1998
  • 목단피의 메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균작용,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검색하고, HPLC와 GC를 이용하여 페놀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항균작용은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보다는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MIC를 측정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는 156-1250$\mu\textrm{g}$/ml, 그람 음성균에는 2500-5000$\mu\textrm{g}$/ml 이었다.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과 linoleic acid를 이용한 항산화 시험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하였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U와 HPLC를 이용하여 3종의 페놀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함량은 p-hydroxybenzoic acid 1.35%, methyl gallate 14.61%, gallic acid 4.01% 이었다.

  • PDF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Angelica keiskei Juice and Oenanthe javanica DC Juice on Oxidative Stress)

  • 이두진;이진하;이옥환;김보경;박건영;김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17-5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NO, $O_2{^-}$, ${\cdot}OH$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이용하여 유기농 및 일반농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민감한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유기농 및 일반농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은 AAPH, SNP, 파이로갈롤과 SIN-1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NO, $O_2{^-}$$ONOO^-$)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켜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은 우수한 산화방지 활성과 지질과산화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신선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으로부터 산화방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병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목초액의 향균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microbial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of Wood Vinegar)

  • 이경민;정귀택;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19권5호
    • /
    • pp.381-384
    • /
    • 2004
  •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utility of wood vinegar. Antimicrobial activity was performed by paper disc method and liquid culture. The growth inhibition was observed in all microbial species at a dose of as low as 25 $\mu$m of wood vinegar by paper disc method. Also, in liquid culture, S. cerevisiae and P. aeruginosa were more inhibited the growth than others in the concentration of $2\%$ (v/v). For measur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wood vinegar was fractionated with acidic, phenolic, basic and neutral fract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four fractions, phenolic fraction showed high antioxidativ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