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결과 1,179건 처리시간 0.054초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enophora remotiflora)

  • 김성향;최향숙;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3
    • /
    • 2007
  • 신선 및 자연건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한 후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linoleic acid system과 DPPH 방법으로 유리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모시대에서 산류 4종, 알데하이드류 7종, 알코올류 12종, 에스터류 9종, 탄화수소류 23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60종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자연건조한 모시대에서 확인된 성분은 총 72종으로 산류 6종, 알데하이드류 11종, 알코올류 14종, 에스터류 10종, 탄화수소류 25종, 케톤류 3종 및 기타 3종이었다. Linoleic acid peroxidation 억제효과를 살펴보면, BHT가 가장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신선한 모시대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자연건조 시료는 동일하였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시대 휘발성 성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로 측정한 결과, BHT가 가장 높았으며 자연건조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이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신선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도 ${\alpha}-tocopherol$과 같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5종의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 김진;김성애;윤원경;김은정;우미경;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26-1431
    • /
    • 2004
  • 동, 서양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후추, 겨자, 고추냉이, 계피, 정향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 MDA에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측정하여 각 향신료의 항산화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보고, 각 향신료들 간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향신료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향(92.9%)과 계피(89.9%)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각 향신료의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과산화억제 활성은 정향만이 55.8%로 강한 linoleic acid의 과산화화 억제 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고추냉이, 겨자, 정향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 저해율이 상승하였으나, 후추와 계피는 1000 ${\mu}g$/assay의 고농도에서는 저해율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고의 효과를 보인 농도는 300 ${\mu}g$/assay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MDA에 대한 단백질 보호효과를 검색한 결과, 겨자와 고추냉이가 각각 73.2%와 72.2%로 MDA-BSA의 교차결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였고, 후추도 61.6%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측정법에 따라 항산화 효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들 향신료를 상용함으로서 생체산화와 관련된 질병 및 노화의 예방과 억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균 발효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박민정;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90-89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가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LE)과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FPL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 PLE와 FPL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5.02±1.32 mg GAEs/extract g과 93.33±0.98 mg GAEs/extract 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8.3±1.57 mg QEs/extract g과 17.69±0.95 mg QEs/extract g이었다. 추출물 PLE와 FPLE의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은 2-4 mg/ml의 농도에서는 두 시료 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지만, 8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추출물 PLE에 비해 FPLE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추출물 PLE와 FPLE의 환원력도 추출물 PLE에 비해 FPLE이 우수하였으며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PLE에 비해 FPLE의 환원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 PLE와 FPLE의 ORAC 지수는 각각 74.34±0.37 uM TEs/extract g과 79.22±0.72 uM TEs/extract g으로 추추물 PLE에 비해 FPLE의 ORAC 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RAW 264.7 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큰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물질인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법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왕벚나무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bark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 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50-3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왕벚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물질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왕벚나무 껍질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496.80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6-265.52 mg RE/g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ethyl acetate, n-buthanol, ethanol, dichloromethane, water, n-hexane 순으로 높았다. DPPH, ABTS+,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가장 좋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n-hexane과 water 분획물은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낮고 항산화활성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왕벚나무 껍질 ethyl acetate 분획물은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고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굼벵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Fermented by Several Kinds of Micro-organisms)

  • 심소연;안희영;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27-834
    • /
    • 2018
  • 본 연구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을 발효시킨 분말을 수용성, 에탄올, 메탄올 용매별 추출하여 항산화 등의 실험에 임하였다. 발효 균주로는 3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Lactobacullus gasseri Ba9, 1종의 곰팡이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1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총 6종의 유용 미생물 균주를 사용하였다. 발효 굼벵이 분말 추출물의 유효성분(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 활성 효능(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실험, 혈전용해능, ${\alpha}-amylase$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바실러스 균주 발효 굼벵이 분말의 수용성 추출물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발효군 보다 발효군에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였고, 그 중 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전 용해능에서 또한, 바실러스 균주 발효 굼벵이 추출물에서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확인였고, 효소-기질 분해능 실험의 ${\alpha}-amylase$ 활성은 비발효군보다 발효군에서 높은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발효균주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굼벵이 추출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이 강화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건강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피조개의 항산화 활성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 김정빈;김재민;이영민;백인석;이승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2-218
    • /
    • 2014
  • 국내 연안에서 널리 양식되고 있는 피조개의 생리적 기능성을 발굴하기 위하여 항산화능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피조개 분말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극성에 따라 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그리고 물 분획물을 얻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으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각 활성은 한 분획물에 치중되지 않았지만 물 분획물에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은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이로서 항산화능과 acetylcholinesterase 저해능에 관여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피조개에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과 비타민 C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and Ascorbic Acid on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 손미예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34-1640
    • /
    • 2007
  • 음나무 (Kalopanax pictus, 이하 KP)의 추출물과 ascorbic acid(AA)의 DPPH와 ABTS 라디칼, FRAP 및 NO 소거능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AA 첨가에 의해서 그 활성이 향상되었다. 인간 간암세포주에 대한 KP추출물+AA의 항암능은 MTT법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KP 추출물+AA는 세포주기의 G0/G1-phase 또는 G2/M-phase에 영향을 미쳤으며,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KP추출물+AA는 대식세포주를 이용한 NO생성과 억제의 면역활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P추출물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는 KP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할 때보다, KP 추출물과 AA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이현주;옥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6
    • /
    • 2021
  •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느타리 병재배 배지조성이 자실체 생육, 맛과 향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flavor, and volatile compounds of Pleurotus ostreatus)

  • 이진우;홍의용;정지은;박태민;오태석;박윤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3-59
    • /
    • 2024
  • 본 연구는 느타리 병재배시 배지 조성에 따른 질소원 차이가 자실체 생육과 그에 따른 향미 변화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플러 톱밥, 비트펄프, 면실박, 면실피 40:20:20:20로 혼합한 T2에서 156.6 g으로 높은 수량성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8.25 mg GAE/g, 70%, 49%로 Control과 T1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질소함량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 패턴을 나타내며 변화를 나타내는 것 뿐만 아니라 신맛, 감칠맛, 짠맛 등 맛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산 품종별 쑥의 항산화 및 암세포성장 억제활성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 김라정;강민정;황초롱;정우재;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4-851
    • /
    • 2012
  • 섬애약쑥, 인진쑥,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5종의 쑥 추출물 중 총 페놀 함량은 인진쑥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섬애약쑥, 개똥쑥, 약쑥 및 강화사자발쑥 순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인진쑥이 가장 높았고, 섬애약쑥은 인진쑥과 유의차가 없었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 ${\mu}g/ml$ 농도에서 섬애약쑥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NO 라디칼 소거능은 200 ${\mu}g/ml$ 농도에서 약쑥, 강화사자발쑥 및 개똥쑥이 약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시료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은 섬애약쑥 및 인진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beta}$-carotene 존재 하에서의 항산화능 또한 섬애약쑥 및 인진쑥이 1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00 ${\mu}g/ml$ 농도에서 인체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인 HeLa의 증식억제 활성은 인진쑥이 80% 이상으로 활성이 높았고, 유방암 세포인 MCF-7의 대해서는 강화사자발쑥과 섬애약쑥이 80% 이상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쑥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항산화 활성은 ascorbic acid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