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R(심폐소생술 금지)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성인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o Not Resuscitate' in Adults)

  • 이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93-399
    • /
    • 2019
  • 본 논문은 성인의 심페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10명이었다. DNR에 대한 인식에서는 '편안한 죽음을 위해(64.3%)' DNR이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DNR의 필요성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함(41.3%)' '환자의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23.9%)' 등이었으며, DNR에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의 이유는 '법적 문제가 제기 될 수 있기 때문(61.7%)', '인간의 존엄성은 생명유지가 최우선이기 때문(16.7%)' 등의 순이었다. DNR에 대한 태도는 '내가 불치병을 가졌을 때 사실을 알기 원하는지의 여부'가 평균 4.2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성인의 연령대별 DNR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심폐소생술 금지는 연명치료 중단의 방법이 아니라 인간이 임종과정과 죽음에 대한 자율권을 행사하는 포괄적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The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 김현아;김귀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nurses caring DNR patients. Data were gathere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Colaizzi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can be categorized into 7 concept descriptions and 5 theme clusters by analyzing the interviews. The major theme clusters for the experiences of nurses were 'Pity about exceptional nursing actions', 'Pity about the unilateral decision making', 'Pity about halfhearted family love', 'Pity about unprepared circumstance for deathbed', and 'Pity about the absent guideline for DNR'.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help nurses resolve conflicts in caring DNR patients and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NR patients.

말기암환자에서 심폐소생술금지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 권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79-187
    • /
    • 2015
  • 환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환자, 보호자, 의사 사이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논의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말기의 암환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을 고려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Do-not-resuscitate, DNR)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DNR에 대한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심폐소생술과 DNR의 의미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DNR에 대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진이 상담을 할 때는 환자의 질환이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며,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이후에 삶의 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합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이해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DNR을 선택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DNR 자체 보다는 이미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생명유지장치의 제거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2차례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DNR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DNR의 결정에 있어 환자가 직접 관여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DNR 작성 시점과 사망 시점과의 시간 간격이 1주 이내로 환자가 관여를 하거나 임종시기의 의료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조기 완화의료의 확산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에서는 DNR이라는 용어보다는 자연적인 죽음을 허용함(Allow-Natural-Death)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돕고 선택의 갈등을 줄인다는 보고를 하여 DNR 논의와 결정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 이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NR은 말기암환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며, 임상에서 DNR이 잘 시행되도록 임상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금지(DNR)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Awareness and Experience of Nurses and Physicians on DNR)

  • 강현임;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47-458
    • /
    • 2003
  • Purpose: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nurses and physicians on DNR. Method: The sample contained of 199 nurses and 98 physician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Nurse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DNR(AEDNR) developed by the Han et al and revised by the research the AEDNR included 29 items. Result: About 97.3% of them feel the necessity of DNR, Majority of subject(78.8%) have practiced DNR by the demand of 'the patient's family' and 91.8% of them made a medical record at the time they carried out DN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ived necessity of DNR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making objective standards educational, ethical, and legal issues concerning DNR.

  • PDF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주 결정 가족원의 사별 후경험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in main family members making DNR decisions)

  • 김명희;강은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bereavement for main family members who had made and followed DNR decision for their family members. Method: This qualitative study was based on a grounded theory, and used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with the bereaved 10 main family members who had been treated and died under DNR order. Results: The causal condition of the family member was 'Releasing', and the main consequent phenomenon were 'Blaming self and ruminating'.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The memory of the deceased'. The action/reaction strategy was 'Purifying'.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upporting system', and the consequence was 'Acceptance'. The experience after bereavement of the family member on DNR decision were rational processes that purified themselves and healed the guilt feeling about the decision from reflective assessment and response about DNR decision. Based on this results, the substantive theory 'Reflective self healing' was derived. Conclusion: The main family members in following DNR decision are more likely to have unhealthy emotional condition than others in normal bereavement process. But they overcame the grief of bereavement through reflective self healing process.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Nurse's Perception on Do-Not-Resuscitate Orders)

  • 조정림;이은남;변숙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2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es toward DNR (Do not resuscitation) order.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es' subjectivity. Q population consisted of 292 statements that were obtain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30 employees(nurses, doctors, staff members) and literature review. Finally, 30 nurses classified 34 statements using a 9 point scal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es relative to DNR order abstracted four categories. The first type (restrictive acceptance type) perceived the determinants of DNR as the patient's hopeless state. The second type (evidence-based type) emphasized the decision based on the guideline. The third type (medical personnel-centered type) showed the characteristic that depends passively on the professional judgement. The fourth type (rationalistic type) emphasized rational characteristic that DNR decision needs to be made by considering several situations such as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 of family and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se types of nurse's perception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nurses'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confront affirmatively and positively with ethical dilemma.

  • PDF

노인환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정서상태 (Nurses' Emotional Responses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Elderly Patients' DNR Decision)

  • 문정희;김수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16-222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노인환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정서상태를 파악하여 생의 말기에 있는 노인환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도록 돕고, 심폐소생술금지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정서상태의 지지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1년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M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노인요양병원과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결과: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 평균은 2.68/4점이었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심폐소생술금지 환자의 치료범위는 심폐소생술은 시행하지 않지만 다른 치료는 전과 마찬가지로 최선을 다하여 행하는 것이 옳다($3.23{\pm}0.57$)'이며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심폐소생술금지가 선언된 후 의사들이 환자에게 관심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2.12{\pm}0.63$)'였다.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정서상태 평균은 2.36/4점이었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이해하고 공감한다($2.91{\pm}0.52$)'이며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불쾌하게 느낀다($2.03{\pm}0.60$)'였다.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와 정서상태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r=-0.12, P=0.13). 결론: 노인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에 대해 간호사의 윤리적 태도는 비교적 높고 정서상태는 약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요인들은 대상자 특성, 지역사회 및 환경, 문화적 특성 등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 각각의 변수별로 세분화된 후속연구 및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심폐소생술금지 동의 전·후 말기암환자의 연명치료 변화 (Changes i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fter Signing a Do-Not-Resuscitate Order)

  • 김현아;박정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연명치료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A종합병원에서 201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종양내과 병동에 입원치료하고 사망한 암환자로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한 250명이 선정되었으며, 이중 심폐소생술금지를 입원당일 동의하였거나(N=40) 동의 후 3일 이내 사망한(N=10)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상자의 특성과 연명치료의 변화를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심폐소생술금지 지시 동의 전 1일과 심폐소생술금지 지시 동의 후 3일 혹은 사망시점까지 조사하여 유지, 중단, 추가로 연명의료 변화를 판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50~59세 나이 군이 36.0%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남자가 62%였다. 재원일은 15일이었고, 입원하여 10일되는 시점에서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하였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 후 35.7~100%에서 연명치료가 계속 유지되었다. 인공호흡기 치료는 중단되지 않고 100% 유지되었으며, 수혈(37%), 혈액검사(37.4%), 산소요법(23.5%) 순으로 추가되었다. 중단된 연명치료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수혈(13.5%)이었고, 다음으로 혈액검사(11.5%), 비경구성 영양제투여(8.5%) 순이었다. 결론: 심폐소생술 지시 동의 후에 대부분 연명치료는 계속되었고 중단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의료진과 가족들 간의 연명치료 범위에 대한 이견을 좁히고,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결정을 합의하기 위한 적극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심폐소생술 금지와 관련된 병원간호사들의 경험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 이명선;오상은;최은옥;권인각;권성복;조경미;강영아;옥정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8-30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do-not-resuscitate (DNR) among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nurses in 8 different hospitals.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ight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DNR decision-making bypassing the patient, inefficienc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negative connotation of DNR, predominance of verbal DNR over written DNR, doubts and confusion about DNR, least amount of intervention in the decision for DNR change of focus in the care of the patient after a DNR order, and care burden of patients with DNR. Decision-making of DNR occurred between physicians and family members, not the patients themselves. Often high medical expenses were involved in choosing DNR, thus if choosing DNR it was implied the family memb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s well did not try their best to help the patient. Verbal DNR permission was more popular in clinical settings. Most nurses felt guilty and depressed about the dying/death of patients with DNR. Conclusion: Clearer guidelines on DNR, which reflect a family-oriented culture, need to be established to reduce confusion and to promote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among nurses.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죽음의식과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 (Paramedic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 do-not-resuscitate (DNR) order and death)

  • 최보람;김동옥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ramedic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 do not resuscitate (DNR) order and death.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421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a 4-year college located in the Chungcheong and Daejeon districts, from May 14 to 22, 2014.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BM SPSS 21.0. Results: The mean level of attitude toward death was 2.17. The paramedic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of whom 72.0% answered that a DNR order is necessary. The mean level of attitude toward DNR was 2.88. The paramedic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 DNR order. They indicated that sanctity of life should be respected rather than extending ineffective treatment and that patients' decisions on DNR should be respected. The students who had more knowledge about DNR and felt the necessity of DNR had a positive attitude about death and DNR. Conclusion: Paramedic students need systematic education for proper recognition and values establishment about death and DN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