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index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5초

갑상선 결절에서 PCNA 측정의 의의 (A Significance of Estimat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Thyroid Nodule)

  • 김정철;윤정한;제갈영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5
    • /
    • 1994
  •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gen(PCNA)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synthesis in nucleoli and is highly conserved non-histone nuclear protein composed of 261 amino acid. and is considered to correlated with the cells proliferative state, because it is synthesized particulary during the proliferative period of late Gland S-phase. Therefore, PCNA index meaningfully increases in the active or proliferative kinetic cells. By the use of recently develop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PCNA,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can make possible. These staining methods are the useful and productive one for ascertaining the cell's proliferating abillity. Moreov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with a antiPCNA antibody has particulrar advantages as follows. By means of these methods, we can stain the tissue that was already fixed in formalin or paraffin wax. We can see with naked eye that which cell is, where is differentiated through a microscope. Lastly, it maintains the whole tissue architecture and makes a search for the correlation. As we have seen above,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s for PCNA have been studied as an impotant factor that can find the cell proliferative kinetics in malignancy and biologic behavior of tumors. To investigate of the proliferative activity in thyroid nodule, Authors evaluated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staing for PNCA in 45 pathologically confirmed solitary thyroid nod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enign nodules were 25 cases(Adenomatous Goiter: 20 cases, Follicular adenoma: 5 cases) and malignant nodules were 20 cases(Papillary Ca : 14 cases, Follicular Ca : 4 cases, Anaplastic Ca : 2 cases). 2) The Most prevalent age groups were 4th decade(11 cases), and the next group was 5th decade. 3) The average PCNA labelling indices were as follows. Adenomatous goiter(I6.9%), Follicular adenoma(37.6%), papillary Ca(26.3%), Follicular Ca(8.8%) and Anaplastic Ca(8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nign(20.4) and malignant nodules (28.8%) except anaplastic Ca(p=0.3226). 4) When the average tumor size 2cm in papillary Ca, the PCNA indices were 26.0% (below 2cm) : 26.6% (above 2cm) (p=0.9642). The PCNA incidies were 23.9% (with lymphatic spread) : 28.7% (without lymphatic spread) (p=0.7056). There were no signl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case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ll proliferative activity by staining for PCNA between benign and malignat nodules except anaplastic Ca.

  • PDF

當歸補血湯加味方이 모발탈락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GuiBoHyulTangGami-Bang on the Alopecia and Hair Growth Stimulation)

  • 김필수;김희택;노석선;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8-60
    • /
    • 2004
  • We made an experiment if the extracts of DanGuiBoHyulTangGami-Bang(DBTG) and 15 kinds of the medical herbs used the materials of DBTG were effective on the hair formation palpation and the falling out of hair,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Cuscuta chinensis and Angelica tenuissima of DBTG consisted of the 15 kinds of the medical herbs kept the activity of 5${\alpha}$-reductase type Ⅱ from being active 75.3$\%$, 63.8$\%$. 75.5$\%$. 2. The hair growth index, 1.6(control group 0.8) of the extracts of DBTG bas a little effect on the hair growth palpation and that of Rubus coreanus 1.8(control group 0.4) was the most effective one of the medical herbs, and Paeonia lactiflora 2.3(control group 1.7) and Vitex rotundifolia 2.3(control group 1.5) showed the effect on hair formation palpation. 3. The hair growth period couldn't be extended by DBTG in this experimental stage. 4.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didn't have effects in dermal papilla cells DNA increase, IGF- I, KGF, HGF the revelation of a gene heredity, the protein synthesis of the hair follicle tissues. 5. All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didn't have the antibacterial activity in Paper disc rule. 6.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showed that the extracts of Paeoria lactiflora, Scutellaria baicalensis, Rubus coreanus have the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in the concentration of 0.01$\%$ and 0.001$\%$ 7. In the formation controlled experiment, Vitex rotundifolia (70.6$\%$), Scutellaria baicalensis (47.1$\%$, Saposhnikovia (44.8$\%$)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TG in the 50㎍/㎖ concentration controled NO forming and Vitex rotundifolia (12.7$\%$) controled NO forming in the 5㎍/㎖ concentration in order. 8. MTT(lC/50) of the extracts of Rehmannia glutinosa, Paeonia lactiflora, Scutellaria baicalensis, Lycium chinense, Rubus coreanus of the 15 kinds of constitution medicines of DBIG was more than 500㎍/㎖ and had the least cell virulence.

  • PDF

악성 단계별 인간 전립선 암세포에서 라미닌에 의한 metallothionein 유전자 발현유도 현상 연구 (Induction of Metallothionein Gene by Laminin in Normal and Malignant Human Prostate Epithelial Cells)

  • 옥미선;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3
    • /
    • 2011
  •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SG 및 PC-12에서는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었지만 반면 분화 역량을 지니지 않은 암세포인 유방암(MDA-231, MDA-435) 세포와 전립선 암인 PC-3 세포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가 MT 유전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현상 및 이에 따른 MT 유전자의 발현증가가 암의 전이 능력 및 악성화와 관계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정상에서부터 전이 및 악성 정도가 다른 5가지 종류의 전립선 암을 대상으로 라미닌-1에 의한 MT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정상적인 전립선 외피세포인 RWPE-1과 전이 및 악성화가 낮은 WPE1-NA22의 경우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악성화 정도가 높은 WPE1-NB14, WPE1-NB11, 및 WPE1-NB26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에도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라미닌-1은 정상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MT 유전자를 유도하며 분화가 유도되지 않는 악성 암에서는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광산 배수의 수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Mine Drainage on the Aquatic Environ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 한지선;서장원;지원현;박현성;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30
    • /
    • 2010
  •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는 낮은 pH조건에서 중금속 및 황산염이온 등이 다량 용존되어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의 폐광산 일부에서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정화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여전히 주변 하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성광산배수 및 영향을 받는 하천에서 지표미생물의 특이적 유전자를 실시간 정량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확인 및 정량함으로써 광산배수의 환경영향을 미생물학적으로 판단하고자 수행되었다. 지표 종으로 선정한 미생물은 16S rRNA 미생물 군집분석 결과 발견된 미생물 중 철환원균인 Rhodoferax ferrireducens T118, Acidiphilium cryptum JF-5이며 이 외에 기존에 광산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생물 중 호산성 황환원균인 Desulfosporosinus orientus, 철산화균인 Leptosprillum ferrooxidans, 철 및 황산화균인 Acidothiobacillus ferrooxidans이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각 광산의 광산배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비교하기 위해 광산배수로 인한 하천에서의 미생물 변동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연구 대상 4개 광산 중 광산배수 처리시설이 없는 삼탄의 광산배수의 경우 주변 방류 하천으로의 미생물학적 환경영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Antitumor Activity of 7-[2-(N-Isopropylamino)ethyl]-(20s)-camptothecin, CKD602, as a Potent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

  • Lee, Jun-Hee;Lee, Ju-Mong;Kim, Joon-Kyum;Ahn, Soon-Kil;Lee, Sang-Joon;Kim, Mie-Young;Jew, Sang-Sup;Park, Jae-Gab;Hong, Chun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581-590
    • /
    • 1998
  • We developed a novel water-soluble camptothecin analobue, CKD602, and evaluated the inhibition of topoisomerase I and the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mammalian tumor cells and human tumor xenografts. CKD602 was a nanomolar inhibitor of the topoisomerase I enzyme in the cleavable complex assay. CKD602 was found to be 3 times and slightly more potent than topotecan and camptothecin as inhibitors of topoisomerase, respecitively. In tumor cell cytotoxicity, CKD602 was more potent than topotecan in 14 out of 26 human cancer cell lines tested, while it was comparable to camptothecin. CKD602 was tested for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against the human tumor xenograft models. CKD602 was able to imduce regression of established HT-29, WIDR and CX-1 colon tumors, LX-1 lung tumor, MX-1 breast tumor and SKOV-3 ovarian tumor as much as 80, 94, 76, 67, 87% and 88%, respectively, with comparable body weight changes to those of topotecan. Also the therapeutic margin (R/Emax: maximum tolerance dose/$ED-{58}$) of CKD60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opotecan by 4 times. Efficacy was determined at the maximal tolerated dose levels using schedule dependent i.p. administration in mice bearing L1210 leukemia. On a Q4dx4 (every 4 day for 4 doses) schedule,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was 25 mg/kg per administration, which caused great weight loss and lethality in <5% tumor bearing mouse. this schedule brought significant increase in life span (ILS), 212%, with 33% of long-term survivals. The ex vivo antitumor activity of CKD602 was compared with that of topotecan and the mean antitumor index (ATI) values recorded for CKD60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noted for topotecan. From these results, CKD602 warrants further clinical investigations as a potent inhibitor of topoisomerase I.

  • PDF

AFLP 표지를 이용한 배 유전자원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of Pear (Pyrus spp.) Germplasms Using AFLP Markers)

  • 조강희;신일섭;김현란;김정희;허성;유기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4-450
    • /
    • 2009
  • 본 연구는 배 유전자원의 유전적 변이를 DNA 수준에서 비교함으로써 육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전자원 60점을 대상으로 A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20종의 AFLP 프라이머 조합을 이용하여 522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획득된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0.691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그룹에는 Pyrus communis에 속하는 품종 및 P. nivalis, P. cordata 등이 포함되었다. P. betulaefolia와 P. fauriei에 속하는 콩배 계통들이 두 번째 그룹에 속하였고, P. calleryana와 P. koehnei를 포함한 콩배 계통들이 세 번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네 번째 그룹에는 P. pyrifolia와 P. ussuriensis에 속하는 재배품종, 교잡종 및 그 외의 종들이 대부분 속하여 동아시아에서 유래한 유전자원들은 P. pyrifolia나 P. ussuriensis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는 0.584에서 0.879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686이었다.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lipase levels on nutrient digestibility, digestive physiology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ing pigs

  • Liu, J.B.;Cao, S.C.;Liu, J.;Pu, J.;Chen, L.;Zhang, H.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63-197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lipas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intestinal morphology, small intestinal digestive enzyme activities, biochemical index of intestinal development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weaning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BW) of $7.3{\pm}0.12kg$ were used in this 28-d experiment. Weaning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to 4 dietary treatments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2 levels of energy (net energy = 2,470 kcal/kg for low energy diet and 2,545 kcal/kg for basal diet) and 2 levels of lipase (0 and 1.5 U/g of lipase) according to BW and sex. There were 6 replications (pens) per treatment and 10 pigs per pen (5 barrows and 5 gilts). Results: Weaning pigs fed the low energy diet had lower (p<0.05) gain-to-feed ratio (G:F) throughout the experiment,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ether extract, and gross energy during d 0 to 14, average daily gain during d 15 to 28,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and protein/DNA in jejunum (p<0.05), respectively. Lipas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but affected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p<0.05) on d 14 and enhanced lipase activity in the duodenum and ileum and protease activity in duodenum and jejunum of pigs (p<0.05) fed the low energy diet. Lipase reduced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and triglyceride (TG), $NH_3$ production (p<0.05) from the feces. Conclusion: The low energy diet decreased G:F throughout the experiment and nutrient digestibility during d 0 to 14 as well as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Lipase supplementation increased nutrient digestibility during d 0 to 14 and exerted beneficial effects on lipase activity in duodenum and ileum as well as protease activity in duodenum and jejunum, while reduced serum LDL-C, TG and fecal $NH_3$.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 고찰(2006~2020) (Review of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2006-2020)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 배연재;조기종;민기식;김병직;현진오;이진환;이향범;윤정훈;황정미;염진화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119-135
    • /
    • 2021
  • 생물다양성협약(1992년)과 나고야의정서(2010년)의 체결 이후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자생생물의 조사·발굴 연구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의 주도로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6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5단계(1단계 2006~2008년, 2단계 2009~2011년, 3단계 2012~2014년, 4단계 2015~2017년, 5단계 2018~2020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본 사업의 이전에 29,916종(2006년)이던 한반도 자생생물이 본 사업의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누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33,253종(2008년), 2단계 38,011종(2011년), 3단계 42,756종(2014년), 4단계 49,027종(2017년), 그리고 5단계 54,428종(2020년)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본 사업 기간 동안 한반도 자생생물 기록종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이 통계자료는 이 기간 동안 연평균 2,320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이 새로이 기록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발굴종 중에서 총 5,242종의 신종을 기록하는 학술적 큰 성과를 거두었다. 분류군 별로는 총 연구 기간 동안 곤충 4,440종(신종 988종 포함), 무척추동물(곤충 제외) 4,333종(신종 1,492종 포함), 척추동물(어류) 98종(신종 9종 포함), 식물(관속식물과 선태식물) 309종(관속식물 176종, 선태식물 133종, 신종 39종 포함), 조류(algae) 1,916종(신종 178종 포함), 균류와 지의류 1,716종(신종 309종 포함), 그리고 원핵생물 4,812종(신종 2,226종 포함)이 한반도에서 새로이 기록되었다. 생물표본은 각 단계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247,226점(2008년), 2단계 207,827점(2011년), 3단계 287,133점(2014년), 4단계 244,920점(2017년), 그리고 5단계 144,333점(2020년)이 수집되어 연평균 75,429점, 총 1,131,439점의 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그중에서 곤충 281,054점, 곤충 이외의 무척추동물 194,667점, 척추동물(어류) 40,100점, 식물 378,251점, 조류(algae) 140,490점, 균류 61,695점, 그리고 원핵생물 35,182점이 채집되었다. 본 사업에 참여한 각 단계별 연구원/보조연구원(주로 대학원생)의 수는 1단계 597/268명, 2단계 522/191명, 3단계 939/292명, 4단계 575/852명, 그리고 5단계 601/1,097명으로 전체년도의 참여연구자는 연평균 395명, 총 연인원 약 5,000명이 참여하여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와 분류학 전공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전문학술지 논문 3,488편(국내학술지 논문 2,320편,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1,168편 포함)이 출판되었다. 본 사업 기간 중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및 생물표본 확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833억원(연평균 55억원)이다. 본 사업은 국가 주도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로서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가 참여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단기간에 이루어 낸 한국식 압축성장의 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의 종발굴 성과는 최근의 생물분류 체계로 분류되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전문가와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고 있다(https://species.nibr.go.kr/index.do). 본 사업에서 파생된 기재문, DNA 염기 서열, 서식처, 분포, 생태,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각 종의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생물의 계통, 진화 연구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종의 변화 같은 생물분포 모니터링 사업과 바이오산업의 생물소재를 탐색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젊은 분류인력(주로 대학원생)의 양성을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은 본 사업이 가져온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과거 15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본 사업은 아직 진행 중이다. 그동안 발굴된 종들에 대한 이명(synonym)과 오동정 등을 바로잡아 학문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한반도에 존재하리라 예상되는 약 10만 종의 자생생물 중에서 남겨진 5만 종에 대한 조사·발굴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국내(國內) 6개(個) 은행(銀杏)나무 식재지(植栽地)에 있어서 I-SSR 변이체(變異體)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Gingko biloba L. Planted in 6 Regions of Korea)

  • 홍용표;조경진;홍경낙;신은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69-175
    • /
    • 2001
  • 6개지역에 식재된 은행나무 182개체의 잎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I-SSR과 RAPD 표지자를 분석하였다. 15개 I-SSR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해서 22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하였고, 5개 RAPD primer를 사용하여 6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했다. 6개 집단에 있어서 집단내의 유전적 다양성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Shannon's Index, I-SSR : 0.35~0.40; 평균 0.38, RAPD : 0.31~0.38; 평균 0.35, 통합 : 0.35~0.40; 평균 0.37). 3개의 자료(I-SSR 표지자, RAPD 표지자 및 통합 자료)로부터 평가된 유전적 다양성 정도의 등급은 상호간에 일치하지 않았다. 유전적 다양성의 대부분이 집단내 개체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I-SSR : 94.31%, RAPD : 93.62%, 통합 : 93.57%), 결과로써 집단간 분화정도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수나무와 암나무 그룹간의 유전적 분화정도는 매우 낮았으며(I-SSR : 0.03, RAPD : 0.091, 통합 : 0.043), 수나무와 암나무들 동시에 채집한 3개 지역만을 대상을 분석했을 경우에는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I-SSR : 0.038, RAPD : 0.084, 통합 : 0.047). UPGMA법을 이용해서 분석한 집단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지리적 거리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몇몇 지역들이 종자 공급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I-SSR과 RAPD data를 성별로 재편성해서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수나무 집단들과 암나무 집단들이 각각 별개의 성별 분지군을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개의 data를 통합해서 유집 분석을 수행했을 경우에는 성에 따른 명백한 분지군이 형성되지 않았다.

  • PDF

BDNF 유전자 이입 슈반세포와 PGA 도관을 이용한 백서 좌골신경 재생에 관한 연구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USING POLYGLYCOLIC ACID CONDUIT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 TRANSFECTED SCHWANN CELLS IN RAT SCIATIC NERVE)

  • 최원재;안강민;고은봉;신영민;김윤태;황순정;김남열;김명진;조승우;김병수;김윤희;김성민;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6호
    • /
    • pp.465-473
    • /
    • 2004
  • Purpose : The essential triad for nerve regeneration is nerve conduit, supporting cell and neurotrophic factor. In order to improve the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we used polyglycolic acid(PGA) tube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gene transfected Schwann cells in sciatic nerve defects of SD rat. Materials and methods : Nerve conduits were made with PGA sheet and outer surface was coated with poly(lactic-co-glycolic acid) for mechanical strength and control the resorption rate. The diameter of conduit was 1.8mm and the length was 17mm Schwann cells were harvested from dorsal root ganglion(DRG) of SD rat aged 1 day. Schwann cells were cultured on the PGA sheet to test the biocompatibility adhesion of Schwann cell. Human BDNF gene was obtained from cDNA library and amplified using PCR. BDNF gene was inserted into E1 deleted region of adenovirus shuttle vector, pAACCMVpARS. BDNF-adenovirus was multiplied in 293 cells and purified. The BDNF-Adenovirus was then infected to the cultured Schwann cells. Left sciatic nerve of SD rat (250g weighing) was exposed and 14mm defects were made. After bridging the defect with PGA conduit, culture medium(MEM), Schwann cells or BDNF-Adenovirus infected Schwann cells were injected into the lumen of conduit, respectively. 12 weeks after operation, gait analysis for sciatic function index, electrophysiology and histomorphometry was performed. Results : Cultured Schwann cells were well adhered to PGA sheet. Sciatic index of BDNF transfected group was $-53.66{\pm}13.43$ which was the best among three groups. The threshold of compound action potential was between 800 to $1000{\mu}A$ in experimental groups which is about 10 times higher than normal sciatic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peak voltage of action potential of BDNF group was the highest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myelin thickness and axonal density of BDNF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 BDNF gene transfected Schwann cells could regenerate the sciatic nerve gap(14mm) of rat success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