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extraction method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간이 조즙액 추출법을 이용한 RT-PCR 방법에 의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 (Detec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by RT-PCR Using a Simple and Rapid Crude Sap Extraction Method)

  • 이상용;홍진성;이진상;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2-436
    • /
    • 1996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이용하여 담배(Nicotiana glutinosa)에 증식시킨 7종의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를 검정하였다. RT-PCR을 위한 간단하고 신속한 바이러스 핵산의 조즙액 추출법이 개발되었으며, CMV 외피단백질 유전자 부위를 기초로 하여 제작한 20개의 염기로 구성된 primer를 사용하여 RT-PCR을 실시한 결과, 약 490 염기쌍의 DNA 단편들이 이병식물의 조즙액으로부터 증폭되었다. EcoRI 및 MspI을 이용한 RT-PCR 산물의 분석에 의하여, 공시한 7종의 바이러스는 모두 CMV subgroup I으로 동정되었다. Ouchterlony 한천젤 이중 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 검정에서도 7종의 바이러스 모두 CMV-Y의 항혈청과 단일의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 PDF

Specific Detection of Enteropathogen Campylobacter jejuni in Foo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 Shin, Soon-Young;Park, Jong-Hyun;Kim, Wang-Jun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84-190
    • /
    • 1999
  • The use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scribed using two sets of primers based on the ceuN gene (JEJ 1 and JEJ 2) which encodes a protein involved in siderophore transport and 16S rRNA gene (pA and pB) for the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enteropathogen Campylobacter jejuni. Six oligonucleotides were utilized in an amplification experiment and PCR products of predicted sizes were generated from whole cells and boiled cell lysates at the same intensity. Two sets of the primer pairs, JEJ and pAB, were specific enough for all C. jejuni strains tested for the direct use of whole cells without DNA extraction or lysis steps. In the PCR using the pAB primer pair, the detection limit, as determined by the ethidium bromide staining of the amplification products on agarose gels, was at the level of $10^1$ bacteria cells or less in both the pure culture and artificially inoculated milk and chicken enrichment samples, whereas the detection limit with the JEJ primer pair was relatively low, i.e. $10^3$ cells or more in the same PCR samples. The PCR method using either a primer JEJ or pAB was both repeatable and specific for the detection of C. jejuni in food. This method is simply completed within 4 h.

  • PDF

다양한 PCR용 DNA 추출법에 의한 패류 내 Megalocytivirus의 검출 (Detection of Megalocytivirus in shellfish using PCR with various DNA extraction methods)

  • 김진우;조미영;진지웅;김기홍;정현도;김광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73
    • /
    • 2011
  • 패류 내에 오염되어 있는 바이러스의 검출에 있어서 정성 정량적 분석이 기능하며 신속하고 간편한 방법의 개발을 이루고자 하였다. 5g의 굴 중장선 조직을 Glycine buffer 및 PEG 8000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농축 시료 (T5g-D)와 50mg의 굴 중장선 조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제조한 시료(sT5Omg-D)를 대상으로 2-step PCR을 실시하여 검출감도를 비교하였다. 동일한 1 ${\mu}l$의 DNA template T5g-D와 sT50mg-D를 사용하였을 때, 35cycles의 1-step PCR에서 양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인위적으로 sT50mg-D 혼합 시료를 사용하여 2-step PCR (35cycles)을 실시하였을 때 T5g-D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megalocytivirus에 오염된 양성시료 0.5~50mg을 사용하여 조제한 각각 $50{\mu}l$의 template DNA 1 ${\mu}l$를 사용하여 qPCR을 하였을 때 6.14E+00~1.2E+02/${\mu}l$의 농도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제한 template DNA에 6.14E+00 copies/${\mu}l$ 이하의 농도가 있을 때는 qPCR에서 positive의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패류 내 mega1ocytivirus의 오염 유무 판단을 위한 2-step PCR 및 qPCR에서 50mg의 중장선을 사용하는 것은 i) 굴의 조직으로부터 오염된 megalocytivirus의 정성 및 정량을 위한 최소 검출 한계에 벼하여 충분한 양이었으며 ii) 개체별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으며 iii) 이를 토대로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굴에서 megalocytivirus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디오의 Peak 특징을 이용한 동일 영화 콘텐츠 검색 (Similar Movie Contents Retrieval Using Peak Features from Audio)

  • 정명범;성보경;고일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572-1580
    • /
    • 2009
  • 검색을 위해 동영상 데이터 전체를 이용하면 많은 시간과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기존의 동일 영화 검색은 영상 정보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일한 영상 검색에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같은 영상임에도 비디오 부호화기이나 해상도가 다른 경우 전혀 다른 영상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오디오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영상을 찾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부호화율, 부호화기, 샘플링 수의 변화에도 유사한 파형을 형성하는 Peak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색인하고, 검색한다. 논문에서는 제안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1,000개의 동영상 데이터를 검색 실험하였으며, 92.1%의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 PDF

베이지안 기법을 적용한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류 알고리즘 설계와 구현 (The Algorithm Design and Implement of Microarray Data Classification using the Byesian Method)

  • 박수영;정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283-2288
    • /
    • 2006
  • 최근 생명 정보학 기술의 발달로 마이크로 단위의 실험조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하나의 chip상에서 전체 genome의 expression pattern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동시에 수 만개의 유전자들 간의 상호작용도 연구 가능하게 되었다. 이처럼 DNA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복잡한 생물체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주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을 통해 얻어진 대량의 유전자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용 데이터로 하버드대학교의 바이오인포메틱스 코어 그룹의 샘플데이터 이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과정인 표준화 과정을 거쳐 특징 추출방법인 베이지안 알고리즘 ASA(Adaptive Simulated Annealing)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2개의 클래스로 나누고, 정확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Lowess 표준화 후 98.23%의 정확도를 보였다.

Microcystis aeruginosa의 정량을 위한 mcyB 특이 초고속 실시간 유전자 증폭법의 개발 (Development of mcyB-specific Ultra-Rapid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 정현철;임병철;임수진;김병희;윤병수;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6-56
    • /
    • 2018
  • A mcyB-specific Ultra-Rapid quantitative PCR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often a dominant species in green tide. McyB-specific UR-qPCR was optimized under extremely short times of each step in thermal cycles, based on the specific primers deduced from the mcyB in microcystin synthetase of M. aeruginosa. The M. aeruginosa strain KG07 was used as a standard for quantification, after the microscopic counting and calculation by mcyB-specific UR-qPCR. The water samples from the river water with the Microcystis outbreak were also measured by using both methods. The $1.0{\times}10^8$ molecules of mcyB-specific DNA was recognized inner 4 minutes after beginning of UR-qPCR, while $1.0{\times}10^4$ molecules of mcyB-specific templates was detected inner 7 minutes with quantitative manner. From the range of $1.0{\times}10^2$ to $1.0{\times}10^8$ initial molecules, quantification was well established based on $C_T$ using mcyB-specific UR-qPCR (Regression coefficiency, $R^2=0.9977$). Between the numbers of M. aeruginosa cell counting under microscope and calculated numbers using mcyB-specific UR-qPCR, some differences were often found. The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erefore, easy compensation method was proposed that was dependent on the numbers of the cell counting. Additionally, to easily extract the genomic DNA (gDNA) from the samples, a freeze-fracturing of water-sample using liquid nitrogen was tested, by excluding the conventional gDNA extraction method.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the UR-qPCR with both gDNAs. In conclusion, the mcyB-specific UR-qPCR that we proposed would be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rapid quantification and easy monitoring of M. aeruginosa in environmental water.

미꾸라지로부터의 복제원점 클로닝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Replication Origins from Misgurnus mizolepis)

  • 임학섭;김무상;이형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9-220
    • /
    • 1995
  • 미꾸라지의 간으로부터 핵을 분리하여, 저농도 염추출 및 제한효소 처리로 핵기질(nuclear matrix)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핵기질을 Proteinase K로 분해한 후, phenol-chloroform 추출로 크기가 약 0.3kb-15kb의 분포를 나타내는 핵기질 부착 DNA (nuclear matrix attachment regions : MARs)를 얻었다. 효모 URA 3 유전자를 가진 2.13 kb Eco47 III 단편을 제한효소 Ssp I 으로 절단된 pUC19 플라즈미드 벡타에 결합시켜, ARS (autonomously replication sequence) 클로닝을 위한 pURY19 플라즈미드 벡타를 만들었다. 이 pURY19 벡타는 Saccharomyces cerevisiae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물고기의 효율적인 발현 벡타 개발을 위해, 이 system을 이용하여, S. cerevisiae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 가능한 미꾸라지의 ARS를 클로닝하고자 하였다. 분리 된 MARs를 pURY19 벡타에 결합시 킨 다음, E. coli $DH5\alpha$에 형질전환시켜 $pURY19N_{l-62}$를 얻었다. MAR Libraries $(pURY19N_{1-62})$를 각각 $Ura^-\;S.\;cerevisiae$에 형질전환시켜, S. cerevisiae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 가능한 M. mizolepis 유래의 복제원점들 (ARSs)을 분리하여, Sanger's dideoxy-chain termination method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모든 clones들은 AT-rich하였으며, 특히 $pURY19N_6$에는 ARS concensus sequence, Topoisomerase II consensus, near A-box, 그리고 T-box들이 존재하였다.

  • PDF

RAPD기법을 이용한 갈파래목 해조류의 유전 변이 분석 (RAPD Identification of Genetic Variation in Ulvales Seaweed)

  • 조용철;박지원;진형주;남보혜;손철현;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8-392
    • /
    • 1997
  • 해조류중 우리나라 전연안에 가장 흔히 분포하는 갈파래목 녹조류인 참홑파래와 구멍갈파래, 참갈파래, 잎파래, 실파래, 가시파래등을 대상으로 RAPD방법을 이용한 각 지역 개체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조사하였다. Total DNA는 엽체로부터 LiCl를 사용한 DNA추출방법으로 분리하였으며, 추출된 DNA는 $3ng/{\mu}\ell$되게 희석한후 in vitro에서 arbitrary primer와 함께 45회 PCR amplification시켰다. 그 결과 34종류 primer들로부터 240bp에서 1.5kb의 다양한 크기로 증폭된 1227개의 전기영동상의 band를 볼 수 있었으며, Jaccard공식에 따라 그 유사도를 구하였다. 파래목의 유전적 유사도는 $7\%$에서 $36\%$범위의 유사도를 보였다. 그중 참흩파래가 다른 갈파래과들로부터 가장 낮은 유사도값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primer OPB-01 (CATCCCCCTG)을 사용하였을때 갈파래과에서 공통적인 630bp크기의 생성물을 생산하지않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 PDF

유전자 및 물질의 젤 영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Gel Images of Genes and Molecules)

  • 김영원;전병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33-36
    • /
    • 2001
  • With all the researches to define human genom and to look for some new bio-activated material in the bio-technology field recently, it is more highly needed to analyse DNA or so called Material than ever before. First, the lanes are extracted based on histogram analysis and projection technique. And then three other approaches are applied for band extraction: SB, RG-1, and RG-2. In SB method, a search line is set dividing each lane equally and vertically to find peaks and valleys. And according to them, minimum enclosing rectangle of each band is determined. In RC-1 approach, on the other hand, band areas are extracted by region growing with the peaks as seeds, avoiding the overlap with the neighboring bands. In RC-2 approach, peaks and valleys are searched in two lines that trisect the lane vertically, and the pair of peaks in the same band are determined, and then used to grow the region.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three suggested methods, we measure the location and amount of bands. The result shows that the mean deviation of the location is 0.06, 0.03, and 0.01 for SB, RG-1, and RC-2 respectively. And the mean deviation of the amount of bands is 0.08, 0.05, and 0.02 for SB, RG-1, and RG-2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G-2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appears to be the most reliable on the degree of the accuracy in measuring the location and amount of bands

  • PDF

PCR을 이용한 지하수 내의 탈질화 세균의 검출 (Detection of Denitrifying Bacteria in Groundwater by PCR)

  • 신규철;서미연;한명수;최영길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321-324
    • /
    • 2001
  • 일반적으로 지하수환경은 세균의 수가 적기 때문에 세균의 핵산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시료의 여과를 통하여 대량의 세균을 획득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여과법은 많은 시간과 인력의 낭비 뿐만 아니라 실험 과정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오염의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아니딘 열탕법을 이용하여 소량의 지하수 시료로부터 핵산증폭실험에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핵산의 추출을 시도하였다. 지하수 시료는 서울시 내의 질소화합물 요염지역, 오염 예상지역, 청정지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2개의 정점을 선별하여 총 6개의 정점으로부터 채수하였다. 구아니딘 열탕법을 이용하여 얻은 핵산으로 지하수에서 탈질화세균의 존재 여부를 검정한 결과 청정지역을 제외한 4개의 정점에서 탈질화 세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