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MZ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Baldal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DMZ 일원 박달산(경기도 파주시)의 관속식물상)

  • Jin-Heon Song;Kyung-Ryul Byun;Jong-Won Lee;Young-Min Choi;Jaesang Chung;Hee-Young Gil;Kae Sun Ch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2-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인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과 양주군 백석면에 걸쳐있는 박달산(363m) 주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파주시는 동쪽은 양주시, 서쪽은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 북부는 임진강을 경계로 북한과 접하고 있다. 남쪽은 고양시, 북쪽은 연천군에 접하고 있으며, 북위 37° 42'~38° 07', 동경 126° 41'~127° 01'에 위치한다. 박달산은 파주시 광탄면 경계에 위치하였으며, 현재 명칭은 박달나무가 많아서 박달산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예전에는 독수리가 많아서 수리봉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했다. 박달산 주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현황은 79과 211속 288종 3아종 36변종 4품종 33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5과 10속 11종 1변종 12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3속 5종 5분류군, 쌍자엽식물은 63과 154속 208종 3아종 22변종 3품종 236분류군, 단자엽식물 9과 44속 61종 13변종 1품종 7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속하는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속하는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n Maxim.),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등 2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 PDF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DMZ Barren La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tive Plants (자생식물 적용을 통한 DMZ 불모지 복원공법 연구)

  • Young-Eun Kim;Dong-Hak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5-65
    • /
    • 2022
  • 지속가능한 DMZ 일원의 생태복원 추진을 위해 DMZ 생태교란지에서 복원공법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강원도 인제군, 철원군 및 경기도 연천군의 DMZ 내(450m2)에서 진행되었으며, 흰민들레, 구절초, 매발톱, 질경이, 꿀풀이 공시식물로 사용되었다. 각 대상지의 식생유형별 시공방법에 따른 침입종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반식생기반재와 특수식생기반재로 처리된 실험구의 전체 피도, 도입종 피도, 침입종 피도, 초장, 출현종 등을 측정하였다. 전체 피도는 세 곳 모두 일반 기반재보다 특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대상지에 따라 침입종 피도가 미치는 영향은 달랐다. 도입종의 피도는 인제, 철원, 연천에서 동일하게 흰민들레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특수기반재에서 보다 높은 피도를 보였다. 폭염 및 폭우로 6월 이후 흰민들레가 감소하면서 구절초, 매발톱의 피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기반재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절초 피도가 특수기반재보다 일반기반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질경이와 꿀풀의 생장은 미미하였다. 같은 처리를 했음에도 대상지별로 소재식물의 출현 여부, 생장률, 침입종의 피도 등이 다른 것으로 보아 복원지의 환경 여건에 따라 적용해야 하는 종, 시공방법, 주변 완충지역의 범위 등에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Ung (Gyeong-gi-do, Pa-ju-si) Adjacent to the DMZ (DMZ 일원 자웅산(경기도 파주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Young-Min Choi;Jong-Won Lee;Jin-Heon Song;Kyung-Ryul Byun;Jaesang Chung;Hee-Young G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3-33
    • /
    • 2021
  • 자웅산(264.3m)은 DMZ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위치하며, 백두대간 줄기 중 한북정맥을 따라 동쪽으로는 노고산(401m), 서쪽으로는 명학산(220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1회씩 총 3회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고 화상자료와 증거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조사로부터 자웅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2과 208속 267종 9아종 22변종 4품종으로 총 30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10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6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2과 226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5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등 3과 3분류군의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로는 가시도꼬마리(Xanthium italicum Moretti),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H.Wigg.), 애기망초(Conyza parva Cronquist) 등 7과 23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조사식물 303분류군의 7.6%를 차지하였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이 미나리냉이(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IV등급이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산복사나무(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등 2분류군, III등급이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쥐손이(Geranium platyanthum Duthie),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Trautv. ex Maxim.) Maxim.) 등 7분류군이 확인되어 III등급 이상의 특정종은 10분류군으로 파악된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Range of DMZ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 Kim, Ch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4
    • /
    • pp.454-460
    • /
    • 2007
  • Korean War resulted in the fact that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neck of Korean peninsular was totally forgotten by peopl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But recently, as the concern in this DMZ has been rising inside and outside of Korea, the researches on this subject have been gradually quickening. However, the practical studies about spatial extent of DMZ are very feeble. Even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s that the most of researches had mistakes in the spatial description of MDL and DMZ, neutral territory of Han River estuary, and NLL. In this study the length of MDL, stretching till the estuary of western Lim- Jin River in Myung-Ho Ri of Goseong region on East Coast, was measured to be about Z38km (l48miles); the area of corresponding DMZ was proved to be approximately $903.8km^2$ ($907.3km^2$ in the previous studies). Such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decide the terms for calling the space dividing North and South Korea, similarly to "155-mile truce line".

  • PDF

The Flora of Janggun-bong Region (Yangju-si, Gyeonggi-do) Adjacent to DMZ (DMZ 일원 장군봉(경기도 양주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 Jaesang Chung;Jong-Won Lee;Jin-Heon Song;Young-Min Choi;Kyung-Ryul Byun;Hee-Young G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34-34
    • /
    • 2021
  • 과거 식물상에 대한 정보가 없었던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위치한 장군봉(425.0 m)의 식물상을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조사지 내 관속식물은 양치식물 8과 10속 9종 1변종 10분류군, 나자식물 3과 4속 6종 6분류군, 쌍자엽식물 62과 144속 198종 7아종 16변종 2품종 223분류군, 단자엽식물 6과 29속 38종 1아종 5변종 1픔종 45분류군으로 총 284분류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군봉 일대의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키버들 (Salix koriyanagi Kimura),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의 4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고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로는 취약종 (VU) 등급의 주목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를 포함하여 I등급 10종,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K.Koch) 등 II등급 4종,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DC.) 등 III등급 8종, IV등급에 해당하는 바위말발도리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등 총 25종이 식물구계학적특정종에 속했다. 침입외래식물은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유럽점나도나물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청비름 (Amaranthus viridis L.) 등 20분류군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의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PD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of newly discovered seven forest wetlands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Ecoregion (서부 비무장지대 일원 미보고 산림습원의 특성 및 보전 가치 평가)

  • Kim, Jae Hyun;Park, Shinyeong;Lee, Myung Hwa;Rhee, Jiyeol;Kim, Yeong Jin;Hong, Young Chuel;Cheon, Jiyeon;Kim, Seung Ho;An, Jong-B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268-287
    • /
    • 2022
  • This study reports newly discovered seven forest wetlands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Civilian Control Zone ecoregion. The wetland assessment criteria proposed by National Arboretum were adopted to evaluate four fields: vegetation and landscape, biogeochemical cycle, hydraulics and hydrology, and social-cultural-historical landscape and disturbances. Among seven wetlands located in Gimpo and Paju, five were of the fallow field type and two were of the natural type. A total of 474 plant species were recorded, including nine rare plants, such as the Carex capricornis Meinsh. ex Maxim. Three forest wetlands were sorted into A-grade, three into B-grade, and one into C-grade. Monitoring forest wetlands scattered across the border area ruled by military regulations can be challenging; still, as forest wetland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turned out, further investigations through remote sensing and cooperation by the relevant agencies will be required.

Ecological Effect Area Research of DMZ using NDVI (식생지수를 이용한 DMZ의 생태적 영향권 조사)

  • Kim, Sang-Wook;Jeong,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4
    • /
    • pp.24-3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logical effect of DMZ fo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is area. Because of the political reason, field research and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effect using field data is very difficult. Then we carried out the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effect using Landsat ETM+ and ancillary data of digital maps. Because of military disturbance and agricultural activity of common people, NDVI of DMZ was very low value except the interior area of DMZ.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DMZ, the variance of NDVI didn't show the logistic curve. This result has the reason as follows. The developing force at level plane of west and middle area reached to DMZ and we could concluded in that case of east area had been effect of regular cutting for view.

  • PDF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DMZ의 축소된 공간 범위에 대한 연구)

  • Jung, Kyu-Surk;Shin, Hyun-Tak;Kim, Sang-Jun;An, Jong-Bin;Yoon, Jung-Won;Kwon, Yeong-Han;Heo, Tae-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2
    • /
    • pp.355-363
    • /
    • 2015
  • DMZ(Demilitarized Zone) created as part of the Armistice Agreement is important zone in the way that historic and eco-cultural value as well as military and political image of this are remarkable. Furthermore, the concern of DMZ has been rising at home and abroad. Even though various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stantly spurring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the practical researches on spatial range of DMZ are very wea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factual spatial extent of DMZ from the mouth of the Imjingang River in the west to the town of Goseong in the east. This study proved the area of corresponding DMZ is approximately $570km^2$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ies and claims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ctual length of MDL(Military Demarcation Line) regarded as 155mile in this situation of Korea peninsula.

  • PDF

A Study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Native Plants to be Utilized in DMZ Barren Land (불모지 내 활용 가능한 자생식물의 발아특성 연구)

  • Kim, Dong-Hak;Kim, Sang-Jun;Yu, Seung-Bong;Bak, Gipp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4 no.4
    • /
    • pp.1-14
    • /
    • 2021
  • This study suggested suitable soil textures that is proper to propagate native plants to manage and restore barren land in DMZ. Germination tests were conducted for 16 native herbaceous plants growing in the DMZ border area in accordance with FAO-BI (Biodiversity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germination rate and T50 in vitro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xamine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oil textures, we used gravel, bed and mixed soil and investigated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under ordinary room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greenhouse.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germination rate in the greenhou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ermination rate in vitro of the species advertised due to soil textures. T50 between the in vitro and each soil tex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T50 between soil textures alone did not in all species advertised. The germination rate in vitro of Aster koraiensis,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Hosta clausa, and Hosta min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rdinary room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as the germination rate is demonstrated more than 70%,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species advertised, it is considered to have strong environmentally adaptable.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the 6 species of Leontopodium coreanum, Plantago major, Potentilla chinensis, Sedum kamtschaticum, Sedum latiovalifolium, and Veronica kiusiana demonstrated less than 50% of germination rate in vitro, it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propagate without pre-treatment. In order to use these 6 species as restoration material plants, it needs to be considered to pre-treat to improve germination rate, or to enhance the vitality of seeds by improving the seed gathering period and storage method.

T he Effects of Soil T exture and Light Conditions on the Germination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ster koraiensis Nakai (토성과 광조건이 벌개미취의 발아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 Dong-Hak Kim;Young-Eun Kim;Hyeong-Bok Cho;Mi-Young Huh;Sa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6-56
    • /
    • 2022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항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이용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주로 조경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복원을 위한 소재식물로 벌개미취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DMZ 남방한계선 철책 주변에는 군의 경계작전을 위해 반복적으로 식생을 제거한 지역(불모지)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생태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종 선정 방법은 자생종 또는 인접 지역종을 이용하는 것이다. 벌개미취는 DMZ 일원에 자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은 물론 습윤한 지역에서도 생육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성에 따른 벌개미취의 발아 특성과 광조건에 따른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DMZ 불모지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육이 건전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벌개미취의 기내발아 검정(15℃, 12/12h)과 토성(마사토, 상토, 혼합토)에 따른 종자 발아율을 비교하였고, 차광(0, 50, 75 및 95%)처리에 따른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 광-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의 발아율은 기내(79%), 마사토(74%), 상토(82%) 그리고 혼합토(77%)로 나타나 각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벌개미취의 엽면적당 건중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엽록소 a와 b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a/b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광-광합성 반응을 통해 산출한 벌개미취의 광포화점과 광합성 최대속도는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순양자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도에서 생장 시 광합성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이 제한되지 않는 불모지 환경에서 생육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