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M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8초

이단계 발암기전상에서 담잔암발생에 관한 간흡충감염의 역할 (Promoting role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on induction of cholangiocarcinoma during two-step carcinogenesis)

  • 이재현;양현모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13-18
    • /
    • 1994
  • 간흡충은 담관내에 기생하면서 만성적 감염의 결과 최종적으로 담관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험동물에서 간흡충의 감염만으로는 담관암이 발생하지 않으며, 어떠한 외적 혹은 내적 발암성의 물질들과 병합하여 담관암이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실험은 햄스터에서 간흡충의 감염과 dimethylnitrosamine(DMN)의 병합작용으로 담관암이 발생되었다는 모델을 이용하여 "발암기전의 2단계이론" 상에서 간흡충의 역할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총 90마리의 햄스터를 15 마리씩 6군으로 나누었다. $DMN{\;}{\rightarrow}{\;}CS$군의 햄스터에서는 먼저 15 ppm의 DMN을 4주 동안 음수 투여하고, 1주 후에 간흡충을 15마리씩 인공감염시켰다. 그리고 5주 후에 piaziquantel로 간흡충을 치료하였다 $CS{\;}{\rightarrow}{\;}DMN$군에서는 먼저 간홉충을 감염시키고 5주 후에 praziquantel로 치료하였으며 1주 후부터 DMN을 4주동안 투여하였다. DMN + CS군에서는 DMN과 간흠충을 동시에 투여하였으며 4주 후에는 DMN을 제거하였다. DMN군과 CS군은 각각 DMN과 간흡충만을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다. 모든 실험동물은 13주 후에 부검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인 방법으로 간장을 검경하여 진단하였다. 실험결과 담관암은 $DMN{\;}{\rightarrow}{\;}CS$군에서 3마리, DMN + CS군에서 11마리가 발생하였으며 나머지 군들에서는 암이 발생하지 않았다. 본 실험으로 2단계 발암기 전상에서 간흡충은 담관암발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였음을 알수 있었다.

  • PDF

접촉분해경유 중의 2,6-dimethylnaphthalene (2,6-DMN)의 고순도 정제 - 결정화에 의한 DMN 이성체 농축액 중의 2,6-DMN의 정제 - (High-Purity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2,6-DMN) in Light Cycle Oil - Purification of 2,6-DMN from Concentrate of DMN Isomers by Crystallization -)

  • 김수진;정화진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05-110
    • /
    • 2008
  • 증류-추출의 조합에 의해 접촉분해경유(LCO)로부터 회수한 dimethylnaphthalene (DMN) 이성체 농축액을 원료로 사용하여 결정화조작을 행해 2,6-DMN의 정제를 검토했다. 2,6-DMN의 정제에 적합한 용매의 선정을 위해 13종의 용매(acetone, cyclohexanone, ethanol, ethyl ether, ethyl acetate, isopropyl ether, methanol, n-hexane, n-heptane, pyridine, THF, toluene, methanol과 aceton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60 vol% methanol과 40 vol% acetone의 혼합용매(M/A = 1.5)가 2,6-DMN의 순도 및 수율의 측면에서 우수한 정제성능을 보였다. 결정화 온도의 상승 및 용매(M/A = 1.5)/원료(농축액)의 체적비의 증가는 2,6-DMN의 순도를 향상시켰으나, 역으로 수율의 저하를 초래시켰다. DMN 이성체 농축액을 원료(10.43 wt% 2,6-DMN)로 사용한 결정화를 통해 회수한 결정(76 wt% 2,6-DMN)을 원료로 사용하여 재차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40%의 수율로 99.7 wt% 2,6-DMN의 결정을 얻을 수 있었다.

Dimethylnitrosamine 유발 급성 간 손상 흰쥐에서 $^{99m}-Lactosylated$ Serum Albumin을 이용한 간 기능의 평가 (Evaluation of Liver Function Using $^{99m}-Lactosylated$ Serum Albumin Liver Scintigraphy in Rat with Acute Hepatic Injury Induced by Dimethylnitrosamine)

  • 정신영;서명랑;유정아;배진호;안병철;황재석;정재민;하정희;이규보;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18-427
    • /
    • 2003
  • 목적: $^{99m}-lactosylated$ serum albumin ($^{99m}Tc-LSA$)은 간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간수용체 영상용 방사성의약품으로 새로이 합성되었다. 간섬유화를 유발하는 dimethylnitrosamine (DMN)을 투여한 간 손상 흰쥐 모델에서 $^{99m}Tc-LSA$의 역동학적인 간섭취를 조사하고 간효소치의 변화와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여, LSA의 간섭취가 간기능의 변화를 반영하는지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SD계 흰쥐에 DMN를 27 mg/kg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급성 간손상을 유도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DMN을 주사한 흰쥐를 3일(DMN-3), 8일(DMN-8), 21일(DMN-21)에 $^{99m}Tc-LSA$ (1,665 mg/kg) 29 MBq를 정맥 주사하여, 30분 동안 동적 영상을 획득하고 간과 심장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간과 심장부위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얻었다. 간기능 평가를 위해 시간방사능 곡선을 이용하여 간섭취지수와 혈중제거지수를 구하였고 곡선 최적화를 시행하였다. DMN 투여군과 대조군의 간효소치의 변화와 간조직의 광학현미경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조군에서는 $^{99m}Tc-LSA$가 빠르게 간에 섭취되고 혈중에서 제거되었으나 DMN을 처리한 군에서는 간섭취가 낮았다. 간섭취지수의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해 DMN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간섭취지수가 낮았다(DMN-3: 0.842, BMN-8: 0.898, DMN-21: 0.91, 대조군: 0.96, p<0.05). 혈중제거지수의 비교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DMN 처리군에서 혈중제거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DMN-3: 0.731, DMN-8: 0.654, DMN-21: 0.604, 대조군: 0.473, p<0.05). 비선형 회귀분석에서 $R_2$값은 0.9이상으로 좋은 일치를 보였고, 대조군에서 K값이 DMN처리군에 비해 크고 (DMN-3: 0.28, DMN-8: 0.41, DMN-21: 0.46, 대조군: 0.97, p<0.05), $T_{1/2}$값은 작았다(DMN-3: 2.5, DMN-8: 1.7, DMN-21: 1.5, 대조군: 0.7, p<0.05). 간효소치의 변화는 DMN-3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상승하였으나 DMN-8, DMN-21군에서는 간효소치의 상승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조직 소견의 경우 DMN-3군에서 중심정맥 주위에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DMN-8군, DMN-21군에서는 미약한 정도의 염증세포 침윤만이 관찰되었다. 결론: $^{99m}Tc-LSA$ 간신티그래피의 간섭취 정도는 간손상과 반비례하였으며 간섭취의 변화는 조직학적 손상이 심한 정도와 간손상후 회복되는 과정을 반영하여 주었다. $^{99m}Tc-LSA$ 간신티그래피가 간손상을 평가하고 간손상후 회복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간수용체 영상용 방사성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염화탄소 투여가 Dimethylnitrosamine의 급성중독 간세포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on Structures in Hepatocytes Following DMN Induced Hepatotoxicity)

  • 강영천;남혜주;김동석;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84-94
    • /
    • 1991
  • 간에 급성 출혈성 괴사를 일으키는 dimethylnitrosamine(DMN)의 간 독작용이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시 어떤 영향을 받는 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DMN을 쥐의 복강내에 주입하였다. 또 사염화탄소 전처치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사염화탄소 투여 후 DMN을 투여하고 간조직을 적출하여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 현미경하에서 DMN 단독 투여시 12시간부터 간 소엽중심부에 심한 출혈성 괴사가 나타나서 120시간까지 지속되었다.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시 초기부터 광범위한 괴사가 나타났으나 24시간부터는 활발한 재생성변화가 나타나서 120시간에는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어서 괴사의 정도는 DMN 단독 투여군과 유사하고 회복되는 시간은 단독 투여군보다 더 빨랐다. 전자 현미경하에서 DMN 단독 투여시 초기 변화는 주로 과립성 내형질막의 분열로 나타났고,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시는 내형질막의 덩어리 형성과 수포성 팽창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전처치 후 DMN 투여시 초기에 나타난 변화는 그 양상이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시와 유사했지만 정도가 더 심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DMN의 급성중독 효과는 과량의 사염화탄소로 전처치한 경우에 재생이 더 빨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사염화탄소가 DMN에 대해 방어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인진청간탕(茵蔯淸肝湯)이 DMN 유발 간섬유화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jinchunggan-tang(Yinchenqinggan-tang) on DMN-induced Liver Damage by Applying Proteomics)

  • 박상백;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00-218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jinchunggan-tang (Yinchenchinggan-tang) on DMN-induced liver damage by applying proteomics. Materials and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nd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group (normal saline), the control group (DMN) and the sample group (DMN+IJCGT). DMN was injected i.p. once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3 weeks in the control group. Normal saline instead of DMN was administered to the normal group. In the sample group, Injinchunggan-tang (Yinchenchinggan-tang)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10 days after DMN was induced. The livers of each group were processed and analyzed by histology, Western blot, $Oxyblot^{TM}$, CBB and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Results :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liver, IJCGT reduced collagen deposition and liver damage in DMN-induced hepatic fibrosis. IJCGT increased MMP-13 protein production assessed by western blot.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DMN treatment was decreased by IJCGT.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the level of the increased proteins induced by DMN treatment such as GRP 75, 58kDa glucose regulated protein and heat shock 70kDa protein 5 were decreased by IJCGT. IJCGT was considered to have the protective effects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DMN.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the level of increased oxidized proteins such as heat shock 70 protein, mitochondrial malonyltransferase, calreticulin precursor, actin, NADP-isocitrate dehydrogenase, ankyrin repeat and SOCS box protein 11 were decreased by IJCGT. IJCGT was considered to have protective effect on the protein production induced by DMN treatment. Conclusion : Injinchunggan-tang (Yinchenchinggan-tang) exert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fibrosis and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DMN treatment in the rat liver. IJCGT was considered to have protective effects on the hepatotoxicity and protein production induced by DMN treatment.

  • PDF

결정화 조작에 의한 Dimethylnaphthalene 이성체 혼합물 중의 2,6-dimethylnaphthalene의 분리 (Separ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in Dimethylnaphthalene Isomers Mixture by Crystallization Operation)

  • 강호철;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116-120
    • /
    • 2014
  • 접촉분해 가솔린 제조공정의 부산물의 하나인 접촉분해경유(LCO)는 많은 유용 방향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2,6-dimethylnaphthalene (2,6-DMN)은 PEN 수지, 고분자 액정 등의 기초 원료로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중유에 혼합되어 연료로서만 사용되고 있는 LCO로부터 2,6-DMN 등과 같은 유용 방향족 탄화수소를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자원의 유용이용이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 본 연구는 melt crystallization (MC)과 solute crystallization (SC)의 조합에 의해 2,6-DMN의 고순도 정제를 검토했다. MC와 SC의 원료로서는 증류-추출 조합에 의해 LCO로부터 회수한 DMN 이성체 혼합물(2,6-DMN의 농도: 10.43%)과 MC로부터 회수한 결정을 각각 사용했다. SC의 용매는 메탄올과 아세톤 혼합물(60 : 40 wt%)을 사용했다. MC-SC의 조합에 의해 99.5%의 2,6-DMN 결정을 회수할 수 있었다. MC-SC는 DMN 이성체 혼합물에 함유된 2,6-DMN의 고순도 정제에 매우 유용한 조합의 하나임을 확인했다.

인진청간탕(茵蔯淸肝湯)이 DMN에 의한 간손상 proteom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jinchunggan-tang (Yinchenchinggan-tang) on DMN Liver Damage from Applying Proteomics)

  • 김효진;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3-148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jinchunggan-tang (Yinchenchinggan-tang) on DMN liver damage caused by applying proteomics. Materials and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group (normal saline), the control group (DMN) and the samplegroup (DMN+IJCGT). The DMN was induced 3 days a week for 3 weeks in the control group. The normal saline without DMN was induced by the same method in the normal group. Injinchunggan-tang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for 3 weeks after DMN was induced in the sample group. The livers of each group were processed and we investigated histology, OxyBlot,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of liver of each group. Results :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liver, the control group showed portal fibrosis with a few septa or without septa. The sample group showed no fibrosis or portal fibrosis without septa. In the OxyBlot finding, Injinchunggan-tang prevented liver damage by oxidation.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formiminotransferase cyclodeaminase (FTCD), FYVE-finger containing protein,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nd ratio of predicted : hypothetical protein LOC68668 isoform 1 were changed. Conclusions : Injinchunggan-tang exert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fibrosis and oxidation induced by the DMN in the rat liver cell, and some proteins induced by the DMN were changed by Injinchunggan-tang.

  • PDF

Activity Change of Sphingomyelin Catabolic Enzymes during Dim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ibrosis in Rats

  • Sacket, Santosh J.;Im, Dong-S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1호
    • /
    • pp.34-39
    • /
    • 2008
  • Oxidative stress may represent a common link between chronic liver damage and hepatic fibros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ctivity changes of sphingomyelin catabolic enzymes, such as sphingomyelinases and ceramidases by using dimethylnitrosamine (DMN)-treated Sprague-Dawley (SD) male rats hepatic fibrosis model as a hepatic fibrosis model. Twenty rats divided into five groups received: (1) saline; (2) DMN for 1 week, (3) DMN for 2 weeks, (4) DMN for 3 weeks, and (5) DMN for 4 weeks by intraperitoneally 10 mg/kg of body weight for three consecutive days a week. Activities of acidic and neutral sphingomyelinases and acidic, neutral and alkaline ceramidases were measured in the liver and kidney from DMN-treated rats. We found increased ceramidase activities from 2-week and/or 3-week DMN treated rat livers compared to control rat liver. Acidic sphingomyelinase and alkaline ceramid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3-week DMN-treated rat kidneys compared to control rat kidney. Therefore, sphingolipid metabolizing enzymes and sphingolipid metabolites are supposed to be involved in liver fibrosis, although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elucidate meanings of sphingolipids during the liver fibrosis

결정화조작에 의한 접촉분해경유 유분에 함유된 2,6-디메틸나프탈렌의 분리·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2,6-Dimethylnaphthalene Present in the Fraction of Light Cycle Oil by Crystallization Operation)

  • 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99-804
    • /
    • 2018
  • 결정화조작에 의해 접촉분해경유(LCO) 유분 중에 함유된 2,6-디메틸나프탈렌(2,6-DMN)의 분리 정제를 검토했다. LCO 유분을 원료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결정화 용매로 각각 사용하여 solute crystallization (SC)을 수행했다. 결정화 조작온도의 상승과 용매/원료의 체적비(S/F)의 증가는 2,6-DMN의 순도를 향상시켰으나, 역으로 수율의 저하를 초래시켰다. LCO 유분(13.9% 2,6-DMN)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SC, SC에 의해 회수한 결정과 메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 re-crystallization 1 (RC 1), RC 1에 의해 회수한 결정과 메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한 RC 2의 3단계로 결정화조작을 행한 결과, 19.5%의 수율로 99.9% 2,6-DMN의 결정을 회수할 수 있었다. SC, RC 1, RC 2의 각 조작을 통해 얻어진 실험적 결과를 이용하여 LCO 유분 중에 함유된 2-6-DMN의 분리 정제공정을 검토했다.

DMN으로 유발된 흰쥐의 간섬유화에 미치는 대산의 효과 (Cirsii Japonici Herba Extract Decreases the Dim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ibrosis in Rats)

  • 박성규;이은주;길재호;배현수;홍무창;신민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3-418
    • /
    • 2004
  • Objectives : Cirsii Japonici Herba (CJH) is one of medicinal plants that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styptic purposes in Asian countries. In order to evaluate a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JH in the liver fibrotic diseas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CJH improves a hepatic function in the dimethylnitrosamine(DMN) treated rat. Methods : CJH were orally administered to rats that has been treated with DMN. Subsequently, the amount of blood L-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L-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hydroxyproline were quantitated. Several histopathological markers for examining the degree of hepatic fibrosis were investigated by H-E and Masson-Trichrome staining. Results: DMN treatment caused a increase of relative liver weight to the body at 14 days after DMN induction, Administration of CJH with 100mg/kg and 1,000mg/kg dos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AST level elevated by DMN injection(p<0.01). But ALT level was not improved. The hydroxyproline level was reduced by a simultaneous treatment of CJH with DMN for 7 days, but not recovered completely to its normal value, CJH administration improved conspicuously the DMN-induce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such as granuloma, but cell necrosis and fibrosis were not improved with CJH 1,000mg/kg dos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JH has protective effect on liver injury and can inhibit liver fibrosis Induced by DMN in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