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malic aci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유기산의 첨가에 따른 Long Life 면의 조직감과 저장 안정성 (Effects of Organic Acids on Textur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ies of Long Life Noodles)

  • 정재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1-196
    • /
    • 1998
  • LL면 제조에 있어서 유기산의 첨가가 LL면의 색상, 조직감, 저장 안정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기산의 종류를 달리한 다음 밀가루에 0.2%를 첨가하여 LL면을 제조한 뒤 조리시험, 면의 조직감 특성, 미생물 측정 및 관능검사를 평가하였다. Hunter L값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7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unter a, b값은 모든 처리구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층밀림 압출력은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처리구 B가 20.55(kgf)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가 가장 작은 수치인 18.05(kgf)로 측정되었다. 경도도 dl-malic acid를 첨가하여 처리구 B가 25.43(kgf)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는 21.21(kgf)으로 측정되었으나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의 무게 증가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피 증가는 오히려 높게 나타나 조직이 다소 치밀함을 알 수 있었다. 용출양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16{\sim}25%$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생물수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면이 $30^{\circ}C$에서 5개월 이상 저장에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control를 포함하여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는 저장 1개월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dl-ma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 B와 dl-사과산과 초산을 1:1로 첨가한 처리구 D를 첨가하여 제조한 LL면이 4.3 및 4.0으로 젖산을 첨가한 처리구 A와 초산을 첨가한 처리구 C의 3.1, 3.2보다 좋은 점수를 얻었다.

  • PDF

우리나라 사과 일부 품종의 유기산 함량 (Organic Acids Content of the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 도영숙;황혜정;구자일;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22-927
    • /
    • 2005
  • 한국산 사과의 유기산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 강원도 원주, 충남 예산, 경북대구 그리고 전북 정주에서 1997년 가을에 수확한 쓰가루, 후지, 홍옥, 신흥 품종의 완숙과일을 재료로 하여 적정산도, HPLC에 의한 유기산총량과 개별 유기산 그리고 효소법에 따라 L-malic acid를 분석, 고찰하였다. 사과의 적정산도는 172-527mg%으로, HPLC에 의한 유기산 총량 260-739mg%보다 낮았지만 두 값 사이에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품종별 유기산총량은 홍옥 630.80mg%, 신흥의 471.04mg%, 후지 403.80mg% 그리고 쓰가루 364.23mg%의 순으로 품종에 따라 뚜렷한 함량차이를 보였으며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른 함량차이가 있었다. 유기산 분포는 malic acid 251.01-666.56mg%, quinic acid 7.2-21.49mg%, succinic acid 0-35.37mg%, citric acid 1.81-15.73mg% 그리고 fumaric acid 0.008-0.076mg%이었고 male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구성비율로 보면 malic acid가 94.76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quinic acid 2.256%, succinic acid 1.785%, citric acid 1.186%, fumaric acid 0.006% 순이었다. HPLC로 측정한 DL-malic acid 함량에 대한 효소법에 의한 L-malic acid 함량 비율은 평균 1.00(0.98-1.02)으로 그 차이는 무시할 정도로서 품종이나 산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사과주스의 유기산 분석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혜정;김성수;윤광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87
    • /
    • 2000
  •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were analyzed by HPLC using YMC-peak ODS-AQ column and enzymatic assay. Model apple juices were prepared at the laboratory and commercial apple juices were purchased from the market. Individu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as follows: DL-malic acid 62~402mg%, L-malic acid 48~360mg%, citric acid 1.81~15.74mg%, fumaric acid nd~0.50mg%. Together, these tests ga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and authenticity of a particular apple juice smaple. The presence of D-malic acid was a clear indication of adulteration because this isomer did not occur naturally. Fumaric acid and citric acid levels above trace amounts were also inconsistent with pure apple juice.

  • PDF

생마늘 페이스트의 저장 과정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 Garlic Paste during Storage)

  • 정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8-282
    • /
    • 1998
  • 생마늘의 풍미와 색상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저장하기 위하여 정제염, 말토덱스트린과 dl-사과산을 첨가한 뒤 가열 처리하여 생마늘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가공 공정을 검토하였고, 3$0^{\circ}C$와 5$^{\circ}C$의 온도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마늘 페이스트는 엽경을 제거하고 쵸핑하여 87%의 수율을 얻었으며 pH는 5.85로 측정되었다. 생마늘에 10%의 정제염, 10%의 말토덱스트린과 0.1%의 dl-사과산을 첨가한 뒤 85$^{\circ}C$의 저온에서 6개월 이상 저장할 때 풍미, 색상, thiosulfinate와 pyruvate의 함량, 관능 평가 및 품질의 변화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생마늘에 10%의 정제염, 10%의 말토덱스트린과 0.1%의 dl-사과산을 첨가한 뒤 85$^{\circ}C$에서 5분간 가열 처리하여 생마늘 페이스트를 제조한 뒤 5$^{\circ}C$이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품질 변화 없이 6개월 이상 장기 저장할 수 있었다.

  • PDF

폐리튬이온전지 NCM 양극활물질로부터 말릭산을 이용한 유가금속의 침출 (Leaching of Valuable Metals from NCM Cathode Active Materials in Spent Lithium-Ion Battery by Malic acid)

  • 손성호;김진화;김현종;김선정;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21-29
    • /
    • 2014
  • 폐리튬이온전지 NCM($Li(Ni_xCo_yMn_z)O_2$)양극활물질 내에는 코발트(15 ~ 20%), 니켈(25 ~ 30%), Mn(10 ~ 15%) 및 리튬(5 ~ 10%) 등의 유가금속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리튬이온전지 NCM 양극활물질로부터 친환경 유기산인 말릭산을 이용한 유가금속 침출 공정을 연구하였다. 주요공정인자는 말릭산 농도, 과산화수소 농도, 고액비, 반응온도 등이었으며, 침출액 내 금속농도는 ICP-OES(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 Emission Spectrometer)를 통해 분석하였다. 환원제($H_2O_2$) 첨가로 인해 유가금속의 침출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얻었으며, 최적공정인자는 말릭산 2 M, 과산화수소 5 vol.%, 고액비(solid/liquid ratio) 5 wt.%, 반응온도 $80^{\circ}C$이었으며, 침출율은 코발트 99.10%, 니켈 99.80%, 리튬 99.75%이었다.

The Effect of Low-Temperature Carbon Encapsulation on Si Nanoparticle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 Jung, Jaepyeong;Song, Kyeongse;Kang, Yong-M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7호
    • /
    • pp.2162-2166
    • /
    • 2013
  • The tailored surface modification of electrode materials is crucial to realize the wanted electronic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this regard, a dexterous carbon encapsulation technique can be one of the most essential preparation methods for th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For this purpose, DL-malic acid ($C_4H_6O_5$) was here used as the carbon source enabling an amorphous carbon layer t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Si nanoparticles at enough low temperature to maintain their own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Various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proved that the bulk structure of Si doesn't undergo any discernible change except for the evolution of C-C bond attributed to the formed carbon layer on the surface of Si. The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carbon-encapsulated Si compared to Si can be attributed to the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by the surface carbon layer as well as its role as a buffering agent to absorb the volume expansion of Si during lithiation and delithiation.

생청고추 페이스트의 저장 과정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 Green Pepper Paste during Storage)

  • 정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6-220
    • /
    • 1998
  • 생청고추의 풍미와 색깔을 유지하기 위하여 염과 산을 첨가한 뒤 가열 처리하여 생청고추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가공 공정을 검토하였고, 상온 및 저온에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청고추 페이스트는 꼭지를 제거하지 않고 쵸핑하여 95%의 수율을 얻었으며, 고추씨를 제고하여 제조하였을 때 86%의 수율을 얻어 비경제적이었으며 제품의 품질면에서도 차이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고추씨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고 사려 되었다. 생청고추 과피의 pH는 4.5~5.0으로 나타났다. 생청고추에 10%의 염, 5%의 포도당과 0.1%의 사과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청고추 페이스트는 5$^{\circ}C$의 저온에서 저장할 때 6개월 이상 풍미, 성상 및 품질의 변화를 거의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염, 포도당, 사과산 등을 첨가하고 8$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를 하여 제조한 청고추 페이스트는 생청고추의 싱싱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5$^{\circ}C$이하에서 보관시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었다.

  • PDF

분리균주에 의한 좁쌀주의 양조특성

  • 김지용;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99.2-199
    • /
    • 2003
  • 제주민속주인 좁쌀약주의 제조를 위하여 전국에서 수집된 35종의 누룩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발한 균주를 사용하여 균주와 원료배합비율에 따른 누룩을 제조한 후 양조과정에서의 발효특성을 검토하였다. 좁쌀주의 유기산 및 유리당의 분석결과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이외에 citr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fumar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와 arabinose, maltose가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외에 xylose도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i-amyl alcohol, i-butyl alcohol, n-propyl alcohol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외에 ethylacetate, acetaldehyde가 검출되었다. i-buthyl alcohol과 n-propyl alcohol은 대조구인 Dl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i-amyl alcohol은 K5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균주로 분리하여 제조한 누룩을 사용하여 좁쌀주를 양조하는 경우, 품질을 유지하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저장기간에 따른 팽이버섯 자실체의 유기산 함량 변화 (The change on organic acid of fruiting body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by storage period)

  • 전창성;윤형식;임훈태;공원식;이강효;이찬중;성기호;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92
    • /
    • 2012
  • 팽이버섯의 품종, 저장 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자실체의 유기산의 변화를 조사하여 저장기간을 판단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HPLC을 이용하여 유기산을 분석 정량하였다. 팽이버섯 자실체에 존재하는 acetic acid, butyr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DL-isocitric acid, L(+) lactic acid, D-malic acid, propionic acid, succinic acid, D-tartaric acid 등 총 10종류의 유기산을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품종에서 acet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fumaric acid 함량이 가장 낮았다. mono-carboxyl group의 유기산인 acetic acid는 품종 및 저장온도에 따른 함량에 차이도 있으면서 저장기간에 따라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butyric acid 등은 저장온도 및 품종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심하였다. Di-carboxyl group의 유기산인 fumaric acid는 저장 및 품종에 따른 차이 없이 감소하였으나, 저장기간 동안에 확인되는 함량이 1.5mg/g으로 그 함량이 적고, ASI 4149, 4166균주에서는 약간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 malic acid 등은 저장온도 및 품종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심하였다. Tri-carboxyl group의 citric acid는 저장온도 및 품종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저장기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isocitric acid는 저장온도, 품종 및 저장기간에 따라 성분함량의 변화가 심하였다.

남해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from Three Different Areas of Namhae)

  • 이수정;신정혜;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81-90
    • /
    • 2010
  • 남해 유자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남해군 설천, 창선 및 이동 지역에서 재배된 개량종 유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자의 총 중량은 120.51~176.56 g으로 창선 유자가 유의적으로 무거웠으며, 총 중량에 대한 과피의 비율도 가장 높았다. 과피의 표면색은 지역간에 차이가 작았다. 과육의 수분 함량은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당도는 창선 및 이동 유자가 설천 유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이동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및 malic acid 함량이 창선 유자에서 다소 높았으며,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는 과피에서, sucrose는 과육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향기성분 중 dl-limonene의 함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동 유자는 57.60%, 설천 및 창선 유자는 각각 71.02%, 73.04%를 차지하였다. 이와같이 남해 지역에서 재배된 유자간에 이화학적 특성의 차이는 토양, 수확시기, 재배 조건 등의 영향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