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FP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속단의 dichloromethane 분획물이 마우스 두개골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lomodis Radix(DFPR) on differentiation of Mouse Calvarial Cell)

  • 김동진;윤정호;정의원;유윤정;김윤철;유형근;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791-80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FPR on differentiation of mouse calvarial cell in vitro, to examine the possibility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10{\mu}g/ml$ of DFPR was used as experimental concentration. osteogenic medium only was assigned as control, Experimental 1 was supplemented with 10nM dexamethasone, Experimental 2 with $10{\mu}g/ml$ DFPR and Experimental 3 with l0nM dexamethasone + $10{\mu}g/ml$ DFPR. cellular activity was evaluated by MTT method at 8, 12, 16 days, expression of mRNA of ALP, osteopontin, osteocalcin, collagen type-l was detected by RT-PCR method at 4, 8, 12, 16 days of culture. extent of mineralization was observed by Von Kossa staining at 16 day of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Any acceleration of differentiation was not observed at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marker, 2) Decrease in expression of extracelluar matrix and in bone nodule form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DFPR have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differentiation on rat calvarial cell, decrease extracelluar matrix formation ,decrease bone nodule formation. Ongoing stud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etermine effect of DFPR on periodontal regeneration.

2D와 3D 영상 시청 후 나타난 사위도 및 자각증상의 변화 (Change of Phoria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Watching 2D and 3D Image)

  • 김동수;이욱진;김재도;유동식;정의태;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5-194
    • /
    • 2012
  • 목적: 2D 영상과 2가지의 방식의 3D 영상을 이용하여 시청 전 후의 사위도 변화와 자각적 안정피로를 비교하였고, 3D 영상 시청과 제작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20~30세의 대학생 41명(남 26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30분간 시청한 2D 영상, 3D-FPR과 3D-SG 영상의 시청 전후의 사위도와 자각증상을 측정하였다. 각 영상 시청 전후에 측정한 사위도 변화와 설문조사로 얻은 자각증상 자료는 대응비교와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2D 영상 시청 직후의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0.5 $\Delta$ 정도 외사위도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적 수준은 없었으며, 3D 영상 시청 직후에는 시청 전과 비교하여 원거리에서 1.0~1.5 $\Delta$ 정도, 근거리에서는 1.5~2.0 $\Delta$ 정도 유의적 수준에서 외사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원거리사위도보다 근거리사위도에서의 변화가 0.5 $\Delta$ 정도 더 많았다. 3DFPR과 3D-SG 영상 방식에 따른 변화는 0.5 $\Delta$ 미만으로 차이는 없었다. 시각적 자각 증상에서도 2D 영상에 비해 3D 영상에서 안정피로가 증가하였다. 3D 영상 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위도의 변화와 안정피로의 상관관계에서는 외사위로 증가할수록 안정피로가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3D 영상을 시청함에 따라서 안정피로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서 사위도의 변화에서는 외사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