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FA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1초

다정도 CSA를 이용한 Dual-Field상의 확장성 있는 Montgomery 곱셈기 (Scalable Dual-Field Montgomery Multiplier Using Multi-Precision Carry Save Adder)

  • 김태호;홍춘표;김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C호
    • /
    • pp.131-13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다정도 캐리 세이브 가산기를 이용한 dual-field상의 확장성 있는 Montgomery 곱셈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유한체 GFP(p)와 GF($2^m$)상의 곱셈 연산을 수행한다. 제안한 다정도 캐리 세이브 가산기는 두 개의 캐리 세이브 가산기로 구성되며, w-비트의 워드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캐리 세이브 가산기는 n = [w/b] 개의 캐리 전파 가산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b는 하나의 캐리 전파 가산기가 포함하는 dual-filed 가산기의 개수이다. 제안된 Montgomery 곱셈기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해 거의 동일한 시간 복잡도를 가지지만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제안한 연산기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연산의 종료 시 정확한 모듈러 곱셈의 결과를 출력한다. 더욱이 제안한 회로는 m과 w에 대해 높은 확장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조는 암호응용을 위한 GF(p)와 GF($2^m$)상의 곱셈기로서 매우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멜라민을 함유시킨 식품에서의 MS-전자코를 이용한 멜라민 분석 (Analysis of Melamine in Melamine-added Foods Using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 홍은정;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76-681
    • /
    • 2010
  • 멜라민을 첨가하는 제품들에 대한 기존의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자코를 이용하여 멜라민 첨가 진위 여부와 첨가 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멜라민을 분유와 커피 크림에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차이가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멜라민 농도와 DF1간의 상관관계식(분유: DF1= -0.006x(멜라민 농도)+0.327, 커피 크림: DF1= -0.006x+0.316)을 바탕으로 멜라민 함량을 적은 오차 범위 내에서 예측 가능하였다. 또한 멜라민을 urea로부터 합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cyanuric acid는 멜라민과 유사하여 기존의 분석방법으로는 쉽게 구분되지 않지만 전자코를 통하여 확연히 구분되었다. 멜라민을 분유나 커피 크림에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농도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urea 혹은 cyanuric acid 첨가 유무에 따라서는 미세한 차이는 보였지만 첨가양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유사물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멜라민 자체만의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미지의 멜라민 함량이 첨가된 1차 가공품에 대한 함유량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품의 품질관리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refused tea waste activated carbon for color removal: Equilibrium and kinetic studies

  • Wijetunga, Somasiri;Gunasekara, Chathurika DFA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14
    • /
    • 2017
  • New technologies or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moval of pollutants from wastewat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duce and test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the refused tea waste for the removal of dyes from wastewater. The objectives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produce activated carbon from refused tea waste by chemical activation, evaluate its performance for the removal of color produced from Acid Yellow 36, and the modeling of its dye removal with the kinetic study. The activation was performed in two steps namely carbonization at $375{\pm}25^{\circ}C$ and chemical activation with HCl at $800^{\circ}C$ under the absence of Oxygen. Adsorption isotherms and kinetic studies were performed with a textile dye, Acid Yellow 36, at different concentrations (20-80 mg/L). The maximum dye removal (~90%) observed at 80 mg/L dye concentration and it reduced at low dye concentrations. Maximum adsorption (71.97 mg/g) was recorded at 96 h at $29{\pm}1^{\circ}C$. Low pH increased the dye adsorption (pH=2; 78.27 mg/g) while adsorption reduced at high pH levels indicating that the competition occurs in between OH- ions and AY36 molecules for the adsorption sites in RTAC. The Langmuir isotherm model clearly explained the dye adsorption, favorably, by RTAC. Moreover, kinetic studied performed showed that the pseudo second order kinetic model clearly describes the dye adsorpti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TAC can be used for the removal of textile dyes.

금강하류의 어류상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섭식길드 파악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in the Lower Geum River and Identification of Trophic Guilds using Stable Isotopes Analysis)

  • 윤주덕;박상현;장광현;최종윤;주기재;남귀숙;윤조희;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34-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먹이망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금강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만을 대상으로 어류상, 담수역과 해수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차이, 담수어류의 섭식길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강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하구둑 기준 상류 20 km, 하류 10 km 구간에서 채집된 어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섭식길드의 분석은 담수어류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보고된 섭식길드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하구둑 상류와 하구둑 하류의 어류상은 완전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회유성 어종 (웅어, 가숭어)들만 양측에서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도 하구둑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에 서식하는 종들의 수치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경우 기수 및 해양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고 담수종의 경우 담수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부 회유성 종의경우 담수에서는 해수 신호가 해수에서는 담수신호가 감지되었는데 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판별분석 결과 섭식길드는 문헌과 약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개체 발생 단계에 의한 결과일 것으로 판단되며,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지역, 시기, 발생단계에 따라 동일 종이라 할지라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항상 고려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지역별로 개체를 분석하여 섭식길드를 제시하는것이 지역의 어류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기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정상 대조군 수면 뇌파의 탈경향변동분석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of Sleep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 김의중;안영민;신홍범;김종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41-4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면무홉증 환자와 정상 소아의 수면 구조를 비교하고 잘 드러나지 않는 차이를 뇌파의 비선형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코골이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 지수가 시간당 1회 이상으로 소아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12명(남아 10명, 평균 6.4${\pm}$3.4세)과 정상 대조군으로 연구에 참여한 15명(남아 8명, 평균 6.0${\pm}$2.2세)의 수면다원검사 자료를 비교하였다. 즉, 수면 구조 관련 변인과 뇌파 채널(C3/A2, C4/A1, O1/A2, O2/A1)에서 탈경향변동분석 과정을 거쳐 계산된 축적 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 구조에서는 1단계 수면의 비율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9.3${\pm}4.3$%로 정상 소아의 5.6${\pm}4.3$2.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렘수면 입면잠복시간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가 181.5${\pm}4.3$59.9 분으로 정상 소아의 133.5${\pm}4.3$42.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2, 3, 4단계 수면과 렘수면의 비율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아의 수면 뇌파에서 계산된 축적 지수(${\alpha}$)는 장기 시간적 연관성(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1단계에서 4단계 수면으로 갈수록 ${\alpha}$ 값이 증가 하였다. 각각의 뇌파 채널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의 축적 지수는 정상 소아의 축적 지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C3/A2: 1.36${\pm}4.3$0.05 vs. 1.41${\pm}4.3$0.04, C4/A1: 1.37${\pm}4.3$0.04 vs. 1.41${\pm}4.3$0.04, O1/A2: 1.37${\pm}4.3$0.05 vs. 1.41${\pm}4.3$0.05, O2/A1: 1.36${\pm}4.3$0.07 vs. 1.41${\pm}4.3$0.05, p<0.05).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낮은 ${\alpha}$ 값을 보인 것은 자기조직적 고비성(self-organized criticality)이 줄어든 것으로 뇌 체계에서 자체 기전에 의한 에너지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8시간에 이르는 수면 뇌파의 정량화가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상태를 반영한다면 향후 연구에서 그 유효성과 범용성을 여러 질병에서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

전자코-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의 판별 분석 (Authentication of Sesame Oil with Addition of Perilla Oil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 손희진;강진희;홍은정;임채란;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09-614
    • /
    • 2009
  •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함에 따라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였다.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들기름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미량의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들기름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기름의 볶음온도 및 시간 등의 제조조건 및 재배환경, 재배 산지, 제조회사 등의 요인에 의하여 순수한 참기름의 향기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인도산과 국산 참기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 교차 상관성 분석 (Cross Correlation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Saylight, Average Wind Speed in Gangneung Area)

  • 차호환;김재화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47-352
    • /
    • 2013
  • 본 논문은 강릉 지역에서 동일 기간에 기록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rho}_{DCCA}$를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rho}$)방법으로 구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사이 ${\rho}_{DCCA}$는 일(4~7일), 달(30일), 계절(90일), 년(360일)에서 0.57~0.48, 0.39, 0.34, 0.26,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사이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20~-0.23, -0.22, -0.17, -0.13, 공간 감마선량률과 평균풍속 사이의 ${\rho}_{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10~-0.12, -0.11, -0.05, -0.05이다. 두 번째, ${\rho}_{DCCA}$를 통하여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은 교차 상관성이 있으며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에는 교차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LED를 처리한 전지유, 무지방 우유, LTLT, UHT, HTST 처리 우유의 휘발성분 패턴 분석 (Pattern Recognition Analysis for Volatile Compounds of the Whole, Skim, UHT-, HTST-, and LTLT-Milk under LED Irradiations)

  • 김기화;홍은정;박수지;강지원;노봉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6-602
    • /
    • 2011
  • 본 연구는 우유의 지방산패가 특정 파장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토대로 어떠한 파장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지유, 무지방 우유와 LTLT, HTST, UHT 처리한 우유를 대상으로 각기 다른 파장의 LED로 처리한 후 이들의 휘발성분 생성패턴을 6일 동안 저장하면서 MS-전자코로 분석하였다. 전자코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판별함수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우유의 종류별로 전지유는 파란색 파장하에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지방은 빨강, 노랑색 파장 하에서 산패에 영향을 미쳤다. 전지유의 영향을 가장 많이 준 파란 빛 파장으로 LTLT, HTST, UHT처리한 우유의 변화 정도를 알아본 결과 LTLT 처리한 우유의 ${\Delta}DF1$값이 UHT처리한 우유와 HTST처리한 우유의 ${\Delta}DF1$값보다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보아 품질 변화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LED 처리를 함에 따라 acetaldehyde, propanal, pentanal, hexanal, heptanal, nonanal, 3-methyl butanal, 2-methyl propanal, 2-butanone, 2-pentanone, 2-hexanone, 2-heptanaone and 2-nonanone 등에 해당하는 amu값에서의 감응도 값이 변화한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이 생성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Pale ale류에 속하는 맥주 신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 김기화;박수지;김지은;동혜민;박인선;이재환;현소양;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2-147
    • /
    • 2013
  • Pale ale류에 속하는 수입산 시판 맥주 3종과 신제품 맥주를 대상으로 일반적 품질특성과 향기패턴 및 맛의 성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은 4.35%의 알콜 함량을 나타냈으며 B.U.는 3.5, 색도는 34.43(EBC), sweetness는 $2.28^{\circ}P$, pH는 3.96, 총산은 5.21, 폴리페놀은 181.22 mg/L의 함량을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의 경우 시판 맥주와는 구분되어 다른 향기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C를 이용한 총 14종의 휘발성분 중 ethyl acetate, isobutanol, isoamyl acetate, isoamyl alcohol, ethyl hexanoate 함량의 차이를 보였고 그 외 물질들은 시판 맥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혀 분석에서는 시판 맥주에 비하여 NB의 신맛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맥주의 주요한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 중 하나인 quinine을 정량 한 결과 시판 맥주에서의 농도는 1.5-1.8 mg/L 사이로 나타났다.

열처리를 달리한 시유의 전자코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t Heated Milks using Electronic Nose)

  • 홍은정;노봉수;박승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1-859
    • /
    • 2010
  • 본 연구는 MS-전자코 분석기술과 판별함수분석을 응용하여 우유의 가열조건 및 보존온도에 따른 저장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MS-전자코 분석에 의하여 mass spectrum에서 검출된 우유의 휘발성 성분들은 amu 60, 91, 92 및 93에서 얻은 ion fragments 들의 intensity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 범위의 amu에서 검출된 휘발성 물질들의 검출 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가열처리 조건에 따라 휘발성 물질의 검출 수준의 차이가 LTLT$\rightarrow$HTST$\rightarrow$UHT$\rightarrow$멸균유 순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검출된 성분들의 intensity값을 판별함수 값으로 변환하여 보존온도, 저장기간 및 열처리 조건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판별함수 값 DF1은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하는 휘발성 성분의 변화량과 높은 상관관계을 보였으며, 4,7, 및 $10^{\circ}C$의 보존 온도에서 $r^2$값은 각각 0.9965, 0.9965 및 0.9911이었다. 반면에 판별함수 값 DF2는 가열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휘발성 성분의 변화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4^{\circ}C$의 보존 온도에서 $r^2$값은 0.9861이었다. 따라서 MS-전자코 분석기술과 판별함수분석을 응용하여 우유의 가열조건 및 보존온도에 따른 저장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품질관리 모델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