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D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31초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미끼 평가 및 수원지역에서 주요 발생시기 예찰 (Evaluation of Pheromone Lure of Grapholita molesta (Lpidoptera: Torticidae) and Forecasting Its Phenological Events in Suwon)

  • 김동순;부경생;전흥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9
    • /
    • 2004
  •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Z8-12AC : E8-12AC : Z8-12OH = 95 : 5 : 1) 처리량에 따른 수컷 성충 유인수 및 페로몬 총량 1.0mg-미끼의 유인력 지속기간을 포장조건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수원지역 복숭아과원에서 연간 복숭아순나방 페로몬 유살량 및 계절초기 알 발생밀도 등 기초 생태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발생시기별 적산온도를 산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은 실험을 실시한 페로몬 처리량 0.1-4.0mg 범위에서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유인수가 감소하였다. 0.1 mg-미끼에 가장 많은 수컷성충이 유인되었고, 0.5-4.0mg 범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인수의 차이가 없었다. 1.0mg-미끼를 이용하여 20일 간격으로 미끼를 교체한 트랩과 교체하지 않은 트랩 간 수컷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약 50일까지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그 후에는 미끼를 교체하지 않은 트랩에 더 많은 수컷 성충이 유인되는 경향을 보였다. 복숭아순나방 초발생일까지 적산온도는 1월 1일부터 $8.1^{\circ}C$ 이상 평균 대기온도를 누적했을 때 약 39DD 이었다. 또한 초발일 기준 각 발생최성기까지 누적된 적산온도는 1세대 98 DD, 2세대 620DD, 3세대 1233DD, 4세대 1916DD 이었다. 1세대 성충 발생최성기에서 알 밀도 최성기까지는 약 130DD 차이가 있었고, 2세대 성충 발생최성기와 알 발생최성기는 비슷한 시기에 나타났다. 기타 복숭아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 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평행링크 DD로봇의 위치제어 (A Study o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parallelogram link DD Robot Using Neural Network)

  • 김성대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3호
    • /
    • pp.64-7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DD(Direct-drive)의 기구로서 2자유도 평행링크 기구를 사용하였다. 평행링크 기구는 2개의 모터가 각각 기저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자체의 질량이 다른 모터에 부하가 되지 않고, 링크의 수는 증가하지만 arm의 질량이 가볍게 되어, 링크 파라미터의 설정에 의하여 원심력 등의 비선형력이 없어지며 동시에 모터사이의 비간섭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평행링크 DD로븟 매니퓰레이터의 고정도 운전의 실현을 위하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학습제어계를 설계하여 학습속도의 개선과 함께 변화한 작업대상에의 적응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경회로망과 피드백제어기로 학습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 PDF

동시화된 포유동물 세포에서 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DNA중합효소와 DNA위상이성질화효소의 저해제의 효과 (The Effects of Inhibitors of DNA Polymerases and Topoisomerase on 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by Mutagens in Synchronized Mammalian Cells)

  • 엄경일;신은주;권영순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5-92
    • /
    • 1990
  • 동시화시킨 CHO세포를 재료로하여 EMS 혹은 BLM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APC, ddTTP, 그리고 NOV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의 동시화는 thymidine block방법을 사용하였다. APC, ddTTP, 그리고 NOV의 단독처리는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EMS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은 late G$_1$과 early S기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BLM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은 G$_2$기에 가장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APC를 후처리할 경우 late G$_1$기와 early S기에서 EMS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이상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ddTTP나 NOV를 복합처리하기전 NOV를 전처리하면 late G$_1$기와 early S기에서의 염색체 이상이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여러 가지 돌연변이원에 따라 각기 다른 세포내 반응이 유발되며 염색체 이상에서의 각 효소들의 활성 또한 다른 것으로 추측된다.

  • PDF

Linkage Disequilibrium of Dopamine D2 Receptor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 Kang, Byung-Yong;Oh, Sang-Duk;Lee, Kang-Oh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49-53
    • /
    • 2004
  • The genetic basis of hypertension is complex, and has been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dopamine D2 receptor gene (DD2R). Because association studies using the candidate gene approach may provide important clues regarding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and establish basis for further study, we performed the association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DD2R gene and hypertension in Koreans. Eighty nine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86 age-matched subjects with normal blood pressure were enrolled.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leukocytes. PCR-RFL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three polymorphic Taq I sites in the DD2R ge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otype, allele and haplotype distributions of any polymorphisms in the DD2R gene between two groups, respectively (P>0.05), although significant linkage disequilibriums among these polymorphic sites were detected by pair-wise analysis (P<0.05). Therefore, our negative result suggest that the three Taq I RFLPs in the DD2R gen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Koreans.

An advanced tool, droplet digital PCR (ddPCR), for absolute quantification of the red-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 Lee, Hyun-Gwan;Kim, Hye Mi;Min, Juhee;Kim, Keunyong;Park, Myung Gil;Jeong, Hae Jin;Kim, Kwang Young
    • ALGAE
    • /
    • 제32권3호
    • /
    • pp.189-197
    • /
    • 2017
  • To quantify the abundance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natural seawaters, we developed the innovative procedure using a droplet digital PCR (ddPCR) with C. polykrikoides-specific primers targeting the internal transcription sequence (ITS). The abundance of C. polykrikoides was estimated by the specific copy number of target ITS DNA segments per cell in cultures and natural water samples. The copy number per C. polykrikoides cell as acquired by ddPCR was $157{\pm}16$, which was evaluated against known cell numbers through a simplified protocol preparing DNAs. The abundances of C. polykrikoides in the waters of different locations estimated by ddPCR agreed with the number of cells visually counted under a microscope. This protocol was used to measure the abundance of C. polykrikoides close to and further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August of 2016 and 2017. The practical application showed that this method can reduce time for analysis and increase accuracy.

약용버섯번데기 동충하초 MET7903의 특이적 자실체형성 유전자의 선별 (Screening of Fruiting Body Formation-Specific Gene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Cordyceps militaris MET7903)

  • 윤방웅;정기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45-148
    • /
    • 2004
  • 이 연구는 약용버섯 번데기 동충하초로부터 특이적 자실체 형성 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DNA는 버섯의 분화 4단계 균사체, 원기, 미성숙 자실체, 성숙한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각각의 total RNA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특이적으로 발현된 유전자의 선별은 cDNA와 랜덤한 primer set을 이용한 DD-PCR에 의해 수행되었고, pGEM 클로닝 벡터를 이용하여 6개의 partial 유전자 서열을 확인하였다. 6개의 DD-PCR product는 보고된 유전자와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NCBI BLAST search를 사용하여 GenBank에서 비교하였고, 6개의 유전자는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

외부광잡음에 의한 실내외 가시광 무선통신 성능 변화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door/Outdo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nfluenced by External Noise Light)

  • 양세훈;김덕래;김현승;손용환;한상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595-1600
    • /
    • 2011
  • IM/DD 방식을 이용한 가시광 무선 통신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키는 인공광과 태양광에 의한 잡음 레벨을 분석하였다. 통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LED에 QPSK로 변조된 50ksymbol/sec의 신호를 2MHz의 부반송파에 전송하였으며 PD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EVM과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또한 차광막을 이용하여 신호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IM/DD방식으로 실외 가시광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과일식과 걷기 운동이 UCP2 유전자 다형성 특성에 따른 여대생의 신체 조성 및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Fruit Diet 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according to UCP2 Genotype in Female Collegians)

  • 윤미은;강병용;이상업;이재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63-47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ruit diet 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in female collegians according to their uncoupling protein 2 (UCP2) genotypes. Nin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SahmYook University. 4 subjects carried the ID genotype, 5 the DD genotype, and none of the subjects carried the II genotype. After 10 days of the program, BM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ID genotype and the DD genotype. Mean total energy intake from fruit diet was 888.1 kcal. Fat mass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subjects with the ID genotype. Hemoglob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subjects with the DD genotype.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fruit diet and exercise could decrease the BMI in subjects with the ID and DD genotypes and increase the hemoglobin level in those with the DD genotype.

Estimation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haracteristics using a novel stacking ensemble approach

  • Kaloop, Mosbeh R.;Bardhan, Abidhan;Hu, Jong Wan;Abd-Elrahman, Mohamed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3권5호
    • /
    • pp.499-512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iciency of ensemble machine learning for predicting the lightweight-aggregate concrete (LWC) characteristics. A stacking ensemble (STEN) approach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dry density (DD) and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Fc-28) of LWC using two meta-models called random forest regressor (RFR) and extra tree regressor (ETR), and two novel ensemble models called STEN-RFR and STEN-ETR, were constructed. Four standalone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gradient boosting regression, K neighbor regression, and support vector regression were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s. For this purpose, a sum of 140 LWC mixtures with 21 influencing parameters for producing LWC with a density less than 1000 kg/m3, were u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multiple performance criteri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TEN-ETR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the DD and Fc-28 of LWC. Moreover, the STEN-ETR approach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technique in prediction DD and Fc-28 of LWC with minimal prediction error. In the validation phase,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STEN-ETR model in predicting DD and Fc-28 was found to be 96.79% and 81.5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cement, water-cement ratio, silica fume, and aggregate with expanded glass variables is efficient in modeling DD and Fc-28 of LWC.

실크 세리신 단백질을 이용한 유기 철분제의 제조 및 철분 결핍쥐에서의 생물학적 유용성 (Manufacturing of Iron Binding Peptide Using Sericin Hydrolysate and Its Bioavailability in Iron Deficient Rat)

  • 조혜진;이현순;정은영;박소연;임우택;이정용;연성호;이진채;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46-1451
    • /
    • 2010
  • 세리신을 철분과 결합력이 우수한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효소 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세리신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철분과 결합력을 검토하였다. 고분자인 세리신 단백질 분말을 효소 처리하지 않은 control과 비교한 결과 Flavourzyme(16.2 mg/mL)을 처리한 경우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Flavourzyme 세리신 가수분해물에 각각 1,000 ppm과 2,000 ppm의 $FeSO_4$을 넣어 교반한 후 80%에탄올 침전 후 얻은 상등액과 침전물을 Fe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기철분 1,000 ppm의 철분의 양은 상등액($7.8\;{\mu}g/mL$)에 비해 침전($191.5\;{\mu}g/mL$)이 높은 값을 나타내며 유기철분 2,000 ppm 역시도 상등액($8.5\;{\mu}g/mL$)에 비해 침전($411.0\;{\mu}g/mL$)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주간 철분 결핍 식이를 투여한 쥐를 4군으로 분리한 후 형태가 다른 3종의 철분을 1주간 투여한 결과 체중증가량이나 식이섭취율 및 식이효율을 측정한 결과 모든 투여군에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체내 흡수된 철분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혈청($2.0\;{\mu}g/mL$)과 간($47.9\;{\mu}g/mL$) 모두 무처치 대조군(DD)에서 가장 낮은 철분 농도가 관찰되었다. 형태를 달리한 철분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무처치 대조군보다 철분의 농도가 혈청 및 간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세리신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철분 투여군은 간에서 $80.1\;{\mu}g/mL$, 혈청에서 $4.2\;{\mu}g/mL$의 철분 농도가 관찰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헴철 투여군에서는 간에서 $70.6\;{\mu}g/mL$, 혈청에서 $3.2\;{\mu}g/mL$의 철분 농도가 관찰되었으나 두 투여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무기철분을 투여한 군(DD+II)보다는 간에서의 철분 함량($67.9\;{\mu}g/mL$)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기철분이나 헴철보다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는 무처치 대조군(8.9 g/dL)에 비해 철분 처치군(DD+HI: 12.2 g/dL, DD+OI: 12.6 g/dL, DD+II: 12.0 g/dL)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철분의 형태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