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L-organism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 중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Found in Serpentinite Soil)

  • 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0
    • /
    • 2003
  • 충남 홍성군 광천 사문암 토양지역의 석면폐광석(KS1)과 인근 토양(KG, KS2)은 pH8.5-9.2를 나타내어 초염기성 토양임이 확인되었다. KSI과 KS2 토양으로부터 통상농도의 alkaline 배지(AL)와 AL 배지를 $10^{-2}$로 희석한 DAL배지를 사용하여 평판법으로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AL 배지에서보다 DAL배지에서 10-1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75균주에대해 통상농도의 AL 배지에서의 중식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상농도의 AL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AL세균군]과 AL배지에서는 증식이 저해되고 DAL 배지에서만 증식 가능한 [DAL세균군으로 크게 나누었다. DAL세균(42균주)은 $10^{-3}$ AL 배지(약 6mg C/L)에서도 증식 가능한 저영양성세균(oligotrophic bacteria)으로 사문암 토양 중 50% 이상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7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해석한 결과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3균주), $\beta$-subdivision (7균주), $\gamma$-subdivision (2균주),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19균주)와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14 strains)의 계통군을 나타내었다. 이들 세균중 AL세균군(34균주)은 high G+C gram positive bacteria 에 속하는 streptomyces과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에 속하는 Bacillus로 구성되었다. 한편, DAL세균군(42균주)은 high G+C 및 low G+C gram positive 계통군 이외에도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Afipia와 Ralstonia,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Variovorax,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에 속하는Pseudomonas로 구성되어 계통학적으로 다양한 세균임이 확인되었다.

세침흡인도말로 진단된 국한성 폐장효모균증 (Localized Pulmonary Cryptococcosis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 Report of a Case -)

  • 박찬금;류근신;김완섭;전석철;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3-107
    • /
    • 1997
  • 저자들은 최근 면역기능이 저하되지 않은 50세 남자환자의 폐장에 국한되어 발생한 효모균증을 세침흡인 도말소견으로 진단하고 이의 세포도말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세침흡인 도말배경내에는 녹색 내지는 염색되지 않으며 굴절되어 보이는 다양한 크기의 둥글거나 난원형이면서 그 주변에 투명한 운륜을 갖는 균체가 다수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균체의 크기는 $5{\sim}15{\mu}m$이었으며 Gomori methenaminesilver 염색상 발아성 홀씨가 잘 관찰되었다. Mucicarmine 염색상 피막은 연분홍색으로 염색되었다.

  • PDF

Hematological Study on the Effect of Mercury Chloride and lonizing Radiation in Immature Rats

  • Kim, Ji Hyang;Kim, Jin Kyu;Lee, Byoung Hun;Yoon, Yong Dal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63-67
    • /
    • 2003
  • Mercury, one of the most diffused and hazardous organ-specific environmental contaminants, exists in a wide variety of physical and chemical states. Although the reports indicate that the mercury induces a deleterious damage, little has been known from the investigations of its effects in living organi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rcury chloride and ionizing radiation. Prepubertal male F344 rats were administered mercury chloride in drinking wat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wo weeks after whole body irradiation, organ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induced injury. Serum levels of GOT, GPT, ALP, and LDH were check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hematolog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in plasma. In conclusion, the target organ of mercury chloride seems to be urinary organs and the pattern of damage induced by mercury differs from that by irradiation.

  • PDF

MOM-Bentonite 투수성반응벽체를 이용한 PCE로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 (Remediation of PCE-contaminated Groundwater Using Permeable Reactive Barrier System with M0M-Bentonite)

  • 정성래;이달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73-80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study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permeable reactive barrier (PRB) for the removal of tetrachloroethylene (PCE) from the groundwater. PRB column tests were conducted using reactive material with Moringa Oleifera Mass - Bentonite (Mom-Bentonite). Most of the PCE in the groundwater was degraded and/or captured (sorpted) in the zone containing activated material (MOM-Bentonite). The removal rate of PCE from the groundwater was 90% and 75% after 30 days and 180 days, respectively. The effect of micro-organisms on the long-term permeability and reactivity of the barrier is not well understood. MOM-Bentonite PRB system in this research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an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acceptable technology for the in situ remediation of PCE-contaminated groundwater.

우상부의 공동성 폐 병변 (A Case with Single Cavitary Nodule in Right Upper Lung)

  • 최진원;박익수;최완영;신동호;박성수;이정희;전석철;박문향;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99-204
    • /
    • 1992
  • A 46 years old male showed radiologically a single cavitary nodular lesion in right upper lung, which extended to the regional chest wall. This finding has to be made into differential diagnosis of numerous pulmonary diseases including infections such as mycobacterial, fungal or bacterial, granulomatous diseases, and neoplasms. For the definite diagnosis,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guided by biplane fluoroscopy was performed. The aspirates contained several sulfur granules, in the center of which many gram positive, filamentous organisms were compactly intermingled. Such a findings was compatible with pulmonary actinomycosis. Now the lesions is cleared out by medical treatment with amoxicillin for 3 months.

  • PDF

탱커선 전용의 최적화된 밸러스트수 교체 관리 (Optimized Ballast Water Exchange Management for Tanker)

  • 홍충유;장형준;권성진;최영달;김동언;박제웅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30
    • /
    • 2003
  • Many port states such as New Zealand, the USA, Australia and Canada have strict regulations to prevent ships which arrive in their port from discharging polluted ballast water which contain harmful aquatic organisms and pathogens. They are notified that transfer of polluted ballast water can cause serious injury to public health and damage to property and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ey perceived that the ballast exchange in deep sea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gether with submitting the ballast management plan which contains the effective exchange method, ballast system and safety consideration. In this study, we make an effort to develop optimum ballast water exchange management and in result of that, it provide more convenient and stable process for preparing ballast water management plan.

  • PDF

생식생물학에세 프로테오믹스의 응용 (Potential Importance of Proteomics in Research of Reproductive Biology)

  • 김호승;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1-9
    • /
    • 2004
  •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이라고도 함)의 잠재적 중요성은 간질환, 심장질환, 몇몇 종류의 암 등의 의학, 생식 독성, 발생 독성, 생체 독성 연구 분야에서도 명백하게 제시되었다. 그러나 단백질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 연구를 각각의 분야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아직까지 빈약하다. 프로테오믹스는 기능을 갖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종합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고, 질병, 약물투여, 쇼크,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 생물학적인 동요(perturbation)에 의하여 변하는 단백질들의 발현 양상 변화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생체내 유전자 발현의 궁극적인 양상을 규명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전자, 단백질 및 질병간의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기존의 biomarker는 다른 질병 표지자와 연관성이 높아 직접적인 biomaker와 정확한 연관을 판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량 발굴 탐색(high-throughput screening)이 가능한 2차원 전기 영동 분석과 MALDI-TOF또는 protein chip array와 SELDI-TOF에 의한 단백질 분자 구조 분석 기술 및 이들을 지원하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발전을 이용하여, 생식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 발굴 및 정성 정량적 연구에 적절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생식과정 중 배아 발생 및 조직 기관 발생 중 유전자 발현의 변화,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 호르몬 및 독성 물질의 작용 기전, ecotoxicogenomics지표 marker의 변동 분석, 중간대사물질체학(metabolomics)에의 이용 등등의 연구에 필수적인 방법으로 발전할 것이다.

  • PDF

PCR-DGGE를 이용한 친환경 농법 적용 고추경작지 내 진균의 군집 다양성 분석 (PCR-DGGE Analysis of the Fungal Community of Red-pepper Fields Utilizing Eco-friendly Farming Methods)

  • 정병권;김광섭;송진하;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2-2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DGGE를 사용하여 친환경 농법을 적용한 고추경작지에서 서식하는 진균의 군집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추출한 DNA는 DGGE 분석을 위해 진균의 universal primer인 ITS 1/4 primer set를 사용하여 nested-PCR을 수행하였으며, 증폭된 산물을 사용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 진균의 군집을 나타내는 band의 수는 고추 정식 전에는 3-4개에 불과했으나 고추를 정식한 후에는 전체 처리구에서 평균 15개로 조사되어 작물의 정식이 진균의 밀도 및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구 별로는 윤작과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동시에 적용한 고추 경작지에서 band 수가 18개로 나타나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작지의 화학농약 처리구에서는 band의 수가 14개로 나타나 처리구 중에서 진균의 다양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성 진균의 DNA를 marker로 사용하여 각 처리구 별로 패턴을 비교한 결과, 연작지에서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R. solani AG-1 (IB)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우점종을 조사한 결과, 고추 정식 전에는 Paraphaeosphaeria quadriseptata, 정식 후에는 Mortierella chlamydospora, Cucurbitaria berberidis 및 Chaetomium globosum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구 간의 유사성 분석에서는 연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와 윤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농약 처리구 역시 경작체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