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 opposita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둥근마·단마의 괴경비대 및 성분특성 (Tuber Enlargement and Chemical Components of Yams (Dioscorea opposita Thunb.))

  • 장광진;박병재;박종인;박주현;김선림;박철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50-62
    • /
    • 2004
  • 둥근마(Dioscorea opposita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단파마를 우리나라에서 재배 시 그 가능성과 제기관의 생육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두 D. opposita와 괴경의 수량성 및 성분특성을 비교하여 재배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1. 둥근마의 괴경형성은 정식 60일 정도에서 일어나, 그 후 지속적으로 비대생장이 일어나 160일까지 비대한 후 등숙하였다. 200일째 단마의 괴경중이 512g으로 둥근마 498g보다 약간 높았으나 건물중은 108/127g으로 둥근마가 높아 모양과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2. 둥근마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 함량에서 단마(2.10%)보다 3.62%로 높았으며 섬유, 지방의 함량이 낮았다. 수분함량은 64.53%로 단마(79.38%)보다 건물량이 높았다. 3. 둥근마의 경도를 보면 2787.6로 단마의 4946.9 보다 약 2배정도 낮고, 색도 중 명도(L)는 둥근마가 77.37으로 단마보다 높았다. 4. 둥근마의 괴경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은 diosgenin의 표준물질과 일치하는 피크를 얻었으며, retention time은 약 5.9에서 나타났다. 둥근마의 괴경에서 diosgenin은 3.32%의 함량을 나타낸 반면 단마에서는 2.61%로 낮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분자표지를 이용한 마(Dioscorea spp.)의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mong Dioscorea, spp. Using Molecular Markers)

  • 장광진;최익영;박주현;박종인;윤병성;김남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45-54
    • /
    • 2002
  • 마(Dioscorea spp.)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51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도입재배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한 종간, 계통 간을 AFLP 분석하였고 생육 패턴을 시험하였다. 1. AFLP분석의 분자마커를 이용한 도입마의 유사성 분석에서 62% 수준에서 도입마는 다른 종간에 유의성이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에서도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 중 D. alata는 일부 수집 지역별로 그룹이 형성되었다. 2. 일본의 쿠마모도(Kumamoto)지방에서 수집된 D. alata의 계통들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지역의 마 유전자원의 이동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Indonesia, palau Is., 파푸아뉴기니아에서의 수집종들의 유연성이 높은 것은 한 지역의 계통이 여러지역으로 이동된 것으로 사료되다. 3. D. nipponica에 속하는 부채마는 다른 종과 변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전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된다.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의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alata L.)

  • 전수경;최소영;임경란;이종필;박준홍;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4
  • 열대마로 알려진 Dioscorea alata L.는 전 세계 650여종의 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적도, 아적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하고 있다. 실제 중국과 인도에서는 주요 식용자원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기존의 단마 및 장마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는 열대마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대마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열대마의 주아(영여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마 및 열대마 영여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단마 영여자와 비교하여 열대마 영여자의 영양특성 및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열대마 영여자는 특유의 황색과 함께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단마 영여자와는 달리,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1.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트롬빈, 프로트롬빈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열대마 영여자가 새로운 항혈전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산 장마(Dioscorea oppasita cv. Jang-Ma)에서 분리한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Isolated from Chinese Yam in Korea)

  • 강동균;곤도토루;신종희;신혜영;성정현;강상구;장무웅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07-115
    • /
    • 2003
  • 경상북도 안동, 의성, 군위, 대구의 장마 재배포장에서 모자이크와 괴저반점을 보이는 장마잎을 채집하였다. 이들 이병 잎 조직을 시료로 하여 D N 법 및 ISEM법에 의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각각의 시료에서 ChYNMV 항혈청에 반응한 660nm의 사상형 입자가 확인되었다. 장마 잎에서 부분 정제한 바이러스에서 RNA를 추출하여 이것을 주형으로 ChYNMV 특이적 프라이머와 oligo-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외피단백질 유전자와 3‘-말단 비전사부위를 포함하는 약 1.2kbp의 3’-말단을 증폭하였다. 외피단백질 아미노산서열은 Macluravirus로 알려진 ChYNMV (A B044386)와 97.9%의 상동성을 보여 장마에서 분리한 바이러스를 ChYNMV로 동정하였다. ChYNMV와 다른 Macluavirus의 외피 단백질 아미노산서열을 비교한 결과, M말단 영역에서 가장 많은 변이를 확인하였고 Macluravirus 속에는 잘 보존된 영역이 존재하였다.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trength on the Shoot and Bud Formation from the Shoot Apex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 Shin, Jong-Hee;Kang, Dong-Kyoon;Park, Sang-Zo;Lee, Bong-Ho;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03-106
    • /
    • 2004
  • Plantlet regeneration from the shoot apex was studied in three different genotypes of th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Jnagma and Danma, Dunggunma.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inorganic salts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on bud induction and shoot growth were examined. The combinations of 0.2 mg/L BAP + 0.2mg/L kinetin, 0.01mg/L NAA + 0.2 mg/L kinetin and a single treatment of 0.2mg/L BAP were equally effective for bud and shoot formation from the shoot apices in the three cultivars. Auxin (2,4-D, NAA) treatment enhanced calli formation from the cultured apices. Also, the shoot apices of the cv. Dunggunma produced more callus and buds on the culture medium (MS) containing 0.05mg/L NAA and 0.5-1.0mg/L SAP. Lower salt strength of medium inhibited shoot elongation bu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shoot and bud induction from the shoot apice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obtain disease-free plants of the Chinese yam.

Characterization and diagnosis of YMV-K strains infecting Chinese yam(Dioscorea opposita Thunb. cv. Dung-Gun-Ma) in Korea. (oral)

  • D. K. Kang;H. Y. Shin;J. H. Sung;Park, J. H.;M. U. Chang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7.2-127
    • /
    • 2003
  • YMV-K strains were purified from D. oppostita Thunb. tv. Dung-Gun-Ma showing mosaic symptom on their leaves. YMV-K strains were filamentous particles of 780nm in length and induced cytoplasmic disorder such as inclusion body formation.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5'-UTR, Pl and CP of YMV-K strains shared 80.8, 64.7 and 98.3% identity respectively to JYMV J1 in the mean value. Purification of YMV-K strains according to JYMV purification method(S. Fuji) was conducted to product antiserum. With antiserum against YMV-K strains, the Various diagnosis methods such as IC-RT-PCR, DIBA, RIPA and indirect-ELISA were used to detect YMV-K strains in Chinese yam plant.

  • PDF

Development of Gradient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Method and Its Application for the Isolation of 3,5-Dimethoxyphenanthrene-2,7-diol and Batatasin-I from Dioscorea opposita

  • Yoon, Kee-Dong;Yang, Min-Hye;Chin, Young-Won;Kim, Yoen-Jun;Kim, Hye-Ryung;Choi, Ki-Ri;Park, Ju-Hyun;Kim, Jin-W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144-150
    • /
    • 2009
  • Gradient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GCPC)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solate 3,5-dimethoxyphenanthrene-2,7-diol (DMP) and batatasin-I (BA-I) from the dichloromethane soluble extract of Dioscorea opposita. In this method, the lower phase of n-hexane-methanol-water system (HMW, 10 : 9 : 1, v/v) was used as a mobile phase A (MpA) and water was used as a mobile phase B (MpB). This gradient CPC method is comparable to that of reversed-phase HPLC method in that the stationary upper-phase of HMW (10 : 9 : 1 v/v) works as if it were reversed-phase silica gel due to its hydrophobic property, while the lower phase (MpA) and water (MpB) functioned as hydrophilic mobile phases.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mobile phase was 20% MpA/80% MpB and maintained for 150 min to obtain DMP (1.2 mg), and then MpA was increased up to 50% to elute BA-I (1.7 mg). The purities of DMP and BA-I were 94.1% and 98.3% with the recovery yields of 83% and 86%,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linear-gradient CPC. The CPC peak fraction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ir retention time to those of authentic samples of DMP and BA-I and their spectroscopic data ($^1$H NMR and $^{13}$C NMR) to those of literature values.

Effects of the Extract Yam Powder Addition on Yogurt Properties during Storage

  • Lee, Sun-Young;Ahn, Joung-Jwa;Kwak, Hae-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3
    • /
    • 2011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ioscorea opposita Thunb. (yam) powder-added yogurts (1, 3, 5, and 7%, w/v) were examined when stored at $4^{\circ}C$ for 16 d. When the yam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H increased with 16 d storage. The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 all yogurt samples showed an increase during storage period, and the highest counts were appeared with 7% yam powder addition. The dramatic decrease was found in viscosity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yam powder-added yogurt samples. No change was found in allantoin and diosgenin contents for 16 d storage periods. A significantly strong bitterness and astringency and decreased viscosity were found with 5 and 7% yam powder addition. However, less than 3% yam powder-added yogurt sampl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 was the highest in 3% yam powder-added yogurt throughout the storage.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s (1 and 3%, w/v) of yam powder could be used to produce yam powder-added yogurt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enhance functional components from the supplementation.

Phenanthrene Derivatives, 3,5-Dimethoxyphenanthrene-2,7-diol and Batatasin-I, as Non-Polar Standard Marker Compounds for Dioscorea Rhizoma

  • Yoon, Kee-Dong;Yang, Min-Hye;Nam, Sang-Il;Park, Ju-Hyun;Kim, Young-Choong;Kim, Jin-Wo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78-383
    • /
    • 2007
  • Phenathrene derivatives, such as batatasins, are well-known constituents in Dioscorea Rhizoma. Although phenanthrenes have been reported as representative compounds in this plant, standard markers for quality control have been focused on the polar constituents (saponins and purine derivatives). Herein, simple, rapid and reliable HPL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3,5-dimethoxyphenanthrene-2,7-diol (DMP) and batatasin-I (BA-I) as non-polar standard maker compounds of Dioscorea Rhizoma. DMP and BA-I were analyzed under optimized HPLC conditions [column: Columbus $5{\mu}$ C18 100A ($30{\times}4.6mm$ i.d., $5{\mu}m$; mobile phase: $H_2O$ with 0.025% $CH_3COOH$ (v/v) for solvent A and $CH_3CN$ with 0.025% $CH_3COOH$ (v/v) for solvent B, gradient elution; flow rate: 2 mL/min; detection: 260 nm), and each experiment was finished within 13 min. Good linearity was achieved in the range from 0.5 to $10.0{\mu}g/mL$ for each compound, and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in the acceptable levels. The recovery test were performed with three different Dioscorea Rhizoma samples (D. opposita, D. batatas and D. japonica), and showed its accuracy values in the range of 97.2 - 102.8% for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MP and BA-I. The content levels of DMP and BA-I were ranged under 0.0020%.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mounts of DMP and BA-I are easily determined with conventional HPLC-UV-DAD method although the content levels were lower than those of saponins and allantoin in Dioscorea Rhizoma. This HPLC method could be used for quality control of various Dioscorea preparations.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