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Galactos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3초

Amyloglucosidase Catalyzed Syntheses of Bakuchiol Glycoside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Manohar, Balaraman;Divakar, Soundar;Sankar, Kadimi Uday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1760-1766
    • /
    • 2009
  • Enzymatic syntheses of water soluble Bakuchiol glycosides were carried out in di-isopropyl ether organic media using amyloglucosidase from Rhizopus mold. The reactions were carried out under conventional reflux conditions and in supercritical $CO_2$ atmospheric conditions. Out of the eleven carbohydrate molecules employed for the reaction, D-glucose, D-ribose and D-arabinose gave glycosides in yields of 9.0% to 51.4% under conventional reflux conditions. Under supercritical $CO_2$ atmosphere (100 bar pressure at 50 ${^{\circ}C}$), bakuchiol formed glycosides with Dglucose, D-galactose, D-mannose, D-fructose, D-ribose, D-arabinose, D-sorbitol and D-mannitol in yields ranging from 9% to 46.6%. Out of the bakuchiol glycosides prepared, 6-O-(6-D-fructofruranosyl)bakuchiol showed the best antioxidant (1.4 mM)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0.64 mM).

Bacillus licheniformis로부터 생산된 ${\alpha}-Galactosidase$의 가수분해 활성 (Hydrolysis Activity of ${\alpha}-Galactosid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 김현숙;이경섭;소재호;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8-333
    • /
    • 2004
  • [ ${\alpha}$ ]-갈락토올리고 당인 melibiose, raffinose와 stachyose의 ${\alpha}-1,6$으로 결합된 D-galactosyl 잔기를 완전히 가수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된 Bacillus licheniformis YB-42의 ${\alpha}-galactosidase$는 사멸기에 도달하였을 때 배양상등액에서 최대활성을 보였다. ${\alpha}$-갈락토올리고 당의 가수분해 정도를 TLC와 환원당 생성량으로 분석한 결과, ${\alpha}-galactosidase$는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 순서로 가수분해 활성이 높았다. 반응산물인 당을 첨가하여 반응하였을 때 첨가 된 반응산물에 따라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galactose에 의한 저해도가 가장 높았다. 첨가된 당의 농도 (20 mM)가 기질과 동일할 때는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도가 미미하였으며 5배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도 가수분해 활성의 저해정도가 높지 않았다. 한편 소량의 효소로melibiose를 가수분해 하였을 때 반응초기에 TLC 상에서 기질보다 이동도가 낮은 물질이 생성되었으며, 이로보아 B. licheniformis YB-42의 ${\alpha}-galactosidase$는 당 전이활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대두분 추출액을 ${\alpha}-galactosidase$로 처리한 후 최종 반응산물을 분석한 결과, 대두분에 존재하는 raffinose와 stachyose가 완전히 가수분해 되었다.

Direct Fermentation of D-Xylose to Ethanol by Candida sp. BT001

  • LEE, SANG-HYEOB;WON-GI B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6-62
    • /
    • 1994
  • A yeast strain, BT001, which can directly ferment D-xylose to ethanol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s, and then identified as Candida sp. Cultural conditions for the optimum ethanol production, along with the effects of aeration on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Aeration stimulated the cell growth and the volumetric rate of ethanol production, but decreased the ethanol yield.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the ethanol production were $33{\circ}^C$ and 6.0, respectively. In a shake flask culture, this strain produced 52.3 g ethanol per liter from 12%(w/v) D-xylose after incubation for 96 hours. Ethanol yield was 0.436 g per g D-xylose consumed. This corresponds to 85.8% of theoretical yield. Also, this yeast strain produced ethanol from D-galactose, D-glucose and D-mannose, but not from L-arabinose and L-rhamnose. Among these sugars, D-glucose was the fastest in being converted to ethanol sugars.

  • PDF

국내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증류식 소주용 효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Yeast for Soju (Distilled Spirits)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 최한석;강지은;정석태;김찬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6-1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증류식 소주용 효모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N4)의 26S rDNA-D1/D2 염기배열은 Saccharomyces cerevisiae 표준균주(NRRL Y-12632)와 100%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다극출아에 의해서 증식하였다. Glucose, galactose, maltose, sucrose를 발효할 수 있으며 trehalose, raffinose, methylglucoside를 자화할 수 있었다. $40^{\circ}C$ 이상에서는 증식하지 못했으며 50% glucose와 10% NaCl 농도에서 성장할 수 있었다. 염기배열, 형태관찰 및 생리적 특성을 종합하여 분리균을 S. cerevisiae로 동정하였다.

낙엽송(落葉松) 추출성분(抽出成分) 이용(利用)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tives i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on) Grown in Korea)

  • 조남석;이종윤;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2-21
    • /
    • 1982
  • Red pine and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Gordon) grown in Korea have been the main species of coniferous resources in Korea. Especially, planting area of Japanese larch has been increased continueously in the recent years due to its superior plant type and rapid growth rate and its stocks reached approximately 4.32 million cubic meters at the present time. Although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done for the utilization of the larch wood in various ways, still many problems are existed in its chemical applications due to a large proportion of soluble extractives. In this study, chemical composition of larch extractives and chemical structure of its major component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basic structure of major component, gas-liquid chromatography for separation of some completely methylated alditols as their acetates on a 3% - ECNSS-M on Gas Chrom Q. column was used. Proportion of extractives of Japanese larch wood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nifers and major component of the soluble extractives was arabinogalactan, a schematic structural formula which was presented in Figure 2. The molar ratio of arabinose and galactose was 1:4.5. The main chain of arabinogalactan was composed of 1,3 linked ${\beta}$-D-galactopyranose residues, each of which carried a side chain, attached to the C-6 positions. The exact nature of all of the side chains is not known, but the majority of these side chain was composed of 1, 6 linked ${\beta}$-D-galactopyranose residues, with 2~3 such units present per average chain. Some of the galactose units in the main chain had a residue of 3 - 0 - ${\beta}$-L-arabinopyranosyl-L-arabinofuranose. In addition, a few terminal residues of D-glucuronic acid also was confirmed, attached to C-6 position of the D-galactopyranose residue. It could concluded that the main structure of highly branched arabinogalactan from Japanese larch extractive was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other larch species.

  • PDF

효소분해와 HPLC를 이용한 황산콘드로이틴나트륨의 정량 (Determination of Sodium Chondroitin Sulfate by Enzymatic Digestion and HPLC)

  • 강성호;신훈;장순기;윤형중
    • 분석과학
    • /
    • 제7권2호
    • /
    • pp.245-251
    • /
    • 1994
  • 혼합물 중에서 미량 존재하는 황산콘드로이틴나트륨을 정량하기 위하여, Chondroitinase ABC를 사용하여 효소반응을 시킨 후 얻어지는 ${\Delta}Di-6S$(2-acetamido-2-deoxy-3-0-(${\beta}$-D-gluluco-4-enepyranosyluronic acid)-6-0-sulf-D-galactose)를 지표성분을 설정하여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2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검출한계는 $1{\mu}g/ml$였다. 본 분석법을 재제에 적용하였을 때 캅셀제는 $100.01{\pm}1.58%$, 점안제는 $99.89{\pm}1.80%$로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Paenibacillus woosongensis의 만난분해 효소활성 (Mannanolytic Enzyme Activity of Paenibacillus woosongensis)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7-400
    • /
    • 2010
  • 만난의 분해활성을 갖는 Paenibacillus woosongensis의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mannanase, ${\beta}$-mannosidase와 ${\alpha}$-galactosidase 활성이 관찰되었다. 배양상등액 내의 locust bean gum를 분해하는 mannanase는 pH 5.5와 $60^{\circ}C$, para-nitrophenyl-${\beta}$-D-mannopyranoside를 분해하는 ${\beta}$-mannosidase는 pH 6.5, $50^{\circ}C$, para-nitrophenyl-${\alpha}$-D-galactopyranoside를 분해하는 ${\alpha}$-galactosidase는 pH 6.0-6.5와 $50^{\circ}C$에서 각각 최대활성을 보였다. 배양상등액의 만난 분해효소는 mannotriose, mannotetraose, mannopentaose, mannohexaose와 같은 만노올리고당을 분해할 뿐 아니라 mannobiose도 분해하였다. 또한 melibiose, raffinose, stachyose 등의 ${\alpha}$-1,6 결합형 galacto-oligosaccharides를 분해하여 galactose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woosongensis는 galactomannan을 완전히 분해하는데 필요한 3종류 효소를 모두 생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두(Glycine max L.)의 렉틴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ctin in Soybean(Glycine max L.))

  • 박원목;이용세;박상호;김성환;윤경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0-126
    • /
    • 1989
  • 본 실험은 대두(Glycine max L.) 방사품종의 종자단백질에서 렉틴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렉틴의 분리방법은 (NH$_4$)$_2$SO$_4$의 50~80% 포화침전단백질을 Carboxymethyl cellulose column과 Sephadex G 100 column을 거쳐서 분리, 정제되었다. 순도의 검정은 2~30% polyacrylamide porosity gradient gel을 사용한 전기영동법으로 단일 band를 확인하였고 또한 분자량은 11%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에 의하여 134,000 dalton임을 추정하였으며 45,000 dalton의 3개의 subunits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Schiff reagent에 의하여 분홍색 반응을 일으켰으므로 이것은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당단백질은 토끼와 사람의 적혈구 모두에서 적혈구응집 반응이 일어났으며 사람의 혈액형중에서 적형구응집 정도는 A>B>O>AB형의 순서로 응집이 잘 일어났다. 당류에 의한 적혈구응집저해는 N -acetyl-D-galactoseamine 과 D-galactose에 의하여 일어났다.

  • PDF

콩 종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택과의 관계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 Coat and Their Relationship to Seed Lustre)

  • 김선림;지희연;손종록;박남규;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23-131
    • /
    • 2005
  • 콩 종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종실광택과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종피 표면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결과 L값이 높은 콩의 종피는 표면이 매끄럽고 pore의 크기가 작았으나 L값이 낮은 콩의 종피는 표면이 거칠고 pore가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종피두께가 $70{\mu}m$에 달할 때 까지는 종자의 광택이 증가되지만 그 이상에 달하면 오히려 종실광택이 감소되었고, 종피두께가 두꺼울수록 수분흡수율이 낮으며, 특히 수분흡수 초기에 경향이 뚜렷하였다. 3. 종실광택이 높을수록 수분흡수율은 증가되는데, 수분흡수 초기에는 종실광택의 영향이 작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종실광택이 밝은 품종일수록 수분흡수율이 높았다. 4. 종피의 단백질은 종실광택과 부상관이 있었으나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은 종실광택과 상관이 없었다. 5. 종피의 조지방은 종실광택과 부상관적 요인으로 작용하나 종피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은 종피의 광택과 정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종피의 광택은 지방산중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이 높을수록 종실이 밝았다. 6.종피의 조섬유 함량은 종실광택과 이차선형관계가 인정되어 종실광택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7. 종피의 중성단당류로는 fucose, rhamnose, glucose, mannose, galactose, arabinose, xylose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중 arabinosefl xylose는 종실광택과 정상관이 있었으나 조성비가 가장 높은 galactose는 유의성이 없었다.

생쥐 부정소 부위별 당쇄 분포의 차이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Mouse Epididymis)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67-173
    • /
    • 2001
  •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을 이용하여 생쥐 부정소 조직내 당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당쇄의 측쇄 말단의 $\alpha$-L-fuc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EA I은 체부 및 미부 부정소를 제외한 두부 부정소 선단의 세정관 상피를 강하게 표지하였으나 관강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모두 표지되어 $\alpha$-L-fucose 잔기를 갖는 부정소 항원들은 부정소 선단부에서 주로 합성된 후 분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당쇄 말단의 $\alpha$-D-galact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SL-I은 두부 부정소를 제외한 체부와 미부 부정소 상피의 투명세포의 세포질과 섬모 및 기저세포를 표지하였다. 다당 사슬 및 복잡한 구조를 갖는 glycan의 당쇄의 N-acetyl-giucosamin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sWCA는 부정소 부위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부와 미부 부정소의 투명세포는 주세포에 비해 더 강하게 표지되어 sWGA 표지는 투명세포 기능분화의 표식자로 추측된다. UEA I 및 sWGA에 의한 관강의 표지 강도는 체부보다는 미부에서 약하게 관찰되어 미부 부정소 관강내에 $\alpha$-L-fucose 및 N-acetyl-glucosamine 잔기의 절단과 관련된 효소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하면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N-acetyl-glucosamine 잔기를 갖는 당쇄의 분포가 상피세포의 종류 및 부정소의 길이를 따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자의 성숙을 조절하는 부정소 각 절편 및 특정 절편 내 소관상피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