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eta-hydroxybutyric aci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Candida rugosa 변아주를 이용한 D-\beta-Hydroxybutyric Acid 발효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D-\beta-hydroxybutyric Acid Fermentation Using a Mutant of Candida Rugosa IFO0750)

  • 경수현;신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55-360
    • /
    • 2000
  • Candida rugosa IFO0750의 UV-변이주를 제조하여 butyric acid를 D-$\beta$-hydroxybutyrin acid(이하 D-$\beta$-HBA)로 전환하는 데 이용하였다. 후보 변이주 중 활성이 가장 높은 Candida rugosa CM42를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한 후 NMR 분석, polarimeter 분석 등을 통하여 생성된 물질이 D-$\beta$-HBA 임을 확인하였다. Chemostar 배양을 이용하여 D-$\beta$-HBA 발효 생산의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였으며, 균체의 활성을 나타내는 비생산성의 최대치는 균체의 비증식 속도를 0.06, 발효조 내의 glucose와 butyric acid의 농도를 각각 10g/L와 8.7 g/L로 각각 유지 할 때 얻어졌다. 회분식 배양 중에 glucose와 butyric acid를 공급하여 발효조 내의 glucose 및 butyric acid 농도를 최적조건으로 유지하는 fed-batch 발효를 수행하였다. 배양 180 시간 후에 D-$\beta$-HBA 농도가 약 12.4 g/L에 도달하였으며 회분식 발효에 비하여 4.7배 증가하였다.

  • PDF

메탄올로부터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생산과 배지성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Growth Medium and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roduction from Methanol in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 Choi, Joon-H;Kim, Jung H.;M. Daniel;J.M. Lebeault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2-396
    • /
    • 1989
  • Facultative methylotroph인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0.5% (v/v) 함유한 최소 합성배지를 이용하여 pH 6.8과 3$0^{\circ}C$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배지 내의 여러 성분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이로부터 최대증식속도를 얻을 수 있는 최적 합성배지 조성을 확립하였다. 배지조성 중 질소원이 결핍되면 세포의 증식이 감소하며 Fe$^{+2}$ 또는 Mn$^{+2}$ 이온의 결핍은 세포의 비증식속도를 감소시켰다. 탄소원인 메탄올은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세포의 비증식속도가 감소하는 메탄올의 기질 저해성을 확인하였으며, 4%(v/v) 이상의 메탄을 농도에서는 세포의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러한 메탄올의 기질 저해성은 간헐식 유가배양법을 이용하여 극복하고 PHB의 축적을 촉진하는 영양분 제한(nutrient-deficiency) 실험을 수행하였다. 합성배지의 영양분 중 NH$_{4}^{+}$, SO$_{4}^{-2}$, $K^+$ 또는 PO$_{4}^{-3}$ 이온을 결핍시켰을 때 M. organophilum의 PHB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칼륨이온을 결핍시켰을때 세포의 건조 중량에 대한 PHB 함량은 최대 58%를 얻었다.

  • PDF

Effects of a specific blend of essential oils on apparent nutrient digestion, rumen fermentation and rumen microbial populations in sheep fed a 50:50 alfalfa hay:concentrate diet

  • Khateri, N.;Azizi, O.;Jahani-Azizabadi,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370-378
    • /
    • 2017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pecific mixture of essential oils (MEO), containing thyme, clove and cinnamon EO,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nutrient appar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in fistulated sheep. Methods: Six sheep fitted with ruminal fistulas were used in a repeated measurement design with two 24-d peri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ng MEO at 0 (control), 0.8, and 1.6 mL/d on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rumen microbial population and blood chemical metabolites. Animals were fed with a 50:50 alfalfa hay:concentrate diet. Results: Ruminal pH,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 molar proportion of individual VFA, acetate: propionate ratio and methane production were not affected with MEO. Relative to the control, Small peptides plus amino acid nitrogen and large peptides nitrogen concentration in rumen fluid were not affected with MEO supplementation; while, rumen fluid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at 0 and 6 h after morning feeding in sheep fed with 1.6 mL/d of MEO was lower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0.8 mL/d of MEO. At 0 h after morning feeding,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sheep fed 0.8 mL/d of MEO relative to 1.6 mL/d and control diet. Ruminal protozoa and hyper ammonia producing (HAP) bacteria counts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MEO in the diet. Relative to the control,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red and white blood cells, hemoglobin, hematocrit, glucose, beta-hydroxybutyric acid,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blood urea nitrogen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concentration.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n, organic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not influenced by MEO supplementation. Conclusion: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of MEO may have limited effects on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protozoa and HAP bacteria count, blood cells and metabolites.

Effects of feed intake restric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function, anti-oxidation capability and acute phase protein synthesis of ovine liver

  • Yang, Huan;Wang, Ying;Ma, Chi;Sun, Chuan;Liu, Yingchun;Wu, Kaifeng;Li, Ming;Borjigin, Gerelt;Gao, Fe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17-223
    • /
    • 2019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 intake restric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function, anti-oxidation capability and acute phase protein synthesis of ovine liver. Methods: Eighteen time-mated ewes with singleton fetuses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restricted group 1 (RG1, 0.18 MJ ME/kg $W^{0.75}$ d, n = 6), restricted group 2 (RG2, 0.33 MJ ME/kg $W^{0.75}$ d), n = 6) and a control group (CG, ad libitum, 0.67 MJ ME/kg $W^{0.75}$ d, n = 6). The feed restriction period was from 90 days to 140 days of pregnancy. Results: The ewe's body weight, liver weights, water, and protein content of liver in the restricted groups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but the liver fat contents in the RG1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G group (p<0.05). The increased hepatic collagen fibers and reticular fibers were observed in the restricted groups with the reduction of energy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nonesterified free fatty acids in the RG1 and RG2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G group with the reduction of energy intake (p<0.05), but there were decreased concentrations of lipoprotein lipase and hepatic lipase in both restric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In addition,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beta}$-hydroxybutyric acid, triglycerides, malondialdehyd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catalase were found in the RG1 group, and the concentrations of cholinesterase in the RG1 group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For the concentrations of acute phase proteins, the C-reactive protein (CRP) in the RG1 group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aptoglobin relative to the controls (p>0.05). Conclusion: The fat accumulation, increased hepatic fibrosis, antioxidant imbalance and modified synthesis of acute phase proteins were induced in ewe's liver by maternal malnutrition during late pregnancy, which were detrimental for liver function to accommodate pregnancy.

탄소원과 질소원의 비가 PHB 발효특성치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tios Carbon Source to Nitrogen Source on the Yields of PHB Fermentation Variables)

  • 백예영;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365-371
    • /
    • 1994
  • 포도당의 초기농도 10, 20, 25, 30, 40, $50g/\ell$$NH_4Cl$의 초기농도 0.33, 0.4, 0.5, 1.5, 3, $50g/\ell$ 의 조 합으로 형성된 발효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과 질소 원의 초기 조성비 C/N이 각종 발효 변수의 수율 및 PHB 축적량에 마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보았다. 탄소원의 소비량에 대한 균체 수율 $Y_{X/X}$는 C/N비가 증가함에 따라 대단히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C/N비 70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35( g cel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잔여균체 수율 $Y_{RX/S}$C/N비가 증가하면 감소하며 C/N비 65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065( g residua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그러나 PHB의 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여 C/N비 40 내지 60 사이에서 최대수율 0.35( g PHB/g glucose)를 나타내었다. 균체증가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C/N비 70 이상에셔는 일정한 값 0.83( g PHB/g cell mass)을 유지하였다. 또한 잔여균체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도 C/N비 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탄소원이 더이상 소모 되지 않는 상태에셔의 건조균체량에 대한 PHB 축 적률은 C/N비에 따라 상승하여 최대값 81%에 도 달하였다. 이 경우에 대한 C/N값은 67 근방이었으 며 이 이상의 C/N비에 대한 PHB의 축적률은 81% 로 일정하였다.

  • PDF

새로운 메탄올 자화세균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a New Methylotrophic Isolate)

  • 이호준;김시욱;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12-218
    • /
    • 1998
  • 세포외 다당류를 분비하는 새로운 methylotrophic bacteria를 분리하여 세균의 특징과 그 세균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주는 그람음성의 간균으로 편모가 없는 비운동성 세균이며, DNA의 G+C 함량은 53-56%이었고, plasmid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메탄올과 메틸아민만을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탄소동화경로로는 ribulose monophosphate pathway를 이용하는 절대 methylotrophic bacteria이었다. 성장을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5^{\circ}C$와 6.5이었고, 0.5%(v/v)의 메탄올이 포함된 배지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였다(세대시간=2.4시간). 분리균주는 절대 호기성 세균으로 질소원과 산소가 결핍된 조건에서 다량의 세포외 다당류를 분비하였다. 다당류 생산을 위한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6.5이었고, 1.0%(v/v)의 메탄올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지내의 탄소 대질소비가 57.4일 때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정제된 다당류는 포도당과 galactose로 이루어져 있었다. 에탄올 처리전의 다당류는 낮은 pH에서 더 높은 점도를 보였고, 온도와 염류농도의 변화에도 비교적 안정하였다. 에탄올 처리후의 다당류는 xanthan gum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pH, 온도, 염류농도의 변화에 대해 점도변화가 크지 않았다. 냉동건조된 다당류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을 때, 에탄올 처리전의 다당류는 얇은 막이 겹친 구조를 하고 있었고, 에탄올 처리후의 다당류는 굵은 섬유상의 모습을 띠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