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chrome Oxidase I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1초

Genetic Diversity of Hard Ticks (Acari: Ixodidae) in the South and East Regions of Kazakhstan and Northwestern China

  • Yang, Yicheng;Tong, Jin;Ruan, Hongyin;Yang, Meihua;Sang, Chunli;Liu, Gang;Hazihan, Wurelihazi;Xu, Bin;Hornok, Sandor;Rizabek, Kadyken;Gulzhan, Kulmanova;Liu, Zhiqiang;Wang, Yuanzh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103-108
    • /
    • 2021
  • To date, there is no report on the genetic diversity of ticks in these regions. A total of 370 representative ticks from the south and east regions of Kazakhstan (SERK) and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XUAR) were selected for molecular comparison. A fragment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x1) gene, ranging from 631 bp to 889 bp, was used to analyze genetic diversity among these ticks. Phylogenetic analyses indicated 7 tick species including Hyalomma asiaticum, Hyalomma detritum, Hyalomma anatolicum, Dermacentor marginatus, Rhipicephalus sanguineus, Rhipicephalus turanicus and Haemaphysalis erinacei from the SERK clustered together with conspecific ticks from the XUAR. The network diagram of haplotypes showed that i) Hy. asiaticum from Almaty and Kyzylorda Oblasts together with that from Yuli County of XUAR constituted haplogroup H-2, and the lineage from Chimkent City of South Kazakhstan was newly evolved; and ii) the R. turanicus ticks sampled in Israel, Almaty, South Kazakhstan, Usu City, Ulugqat and Baicheng Counties of XUAR were derivated from an old lineage in Alataw City of XUA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 Hy. asiaticum, R. turanicus and Ha. erinacei shared genetic similarities between the SERK and XUAR; and ii) Hy. marginatum and D. reticulatus show differences in their evolution.

제한절편 길이 다형성(RFLP) 분자마커를 이용한 납자루아과 담수어류 3종의 난과 치어 종 동정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Species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Egg and Fry of the Three Korean Bitterling Fishes (Pisces: Acheilognathinae) using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 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52-358
    • /
    • 2018
  • 본 연구는 PCR 기반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제한절편 길이 다형성) 분자기법을 활용하여 난 및 치어 대상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의 동정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납자루아과 어류의 종별 산란양상 및 번식생태 이해에 대한 기여가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 선행된 문헌자료를 확인하고 납자루아과 어류가 2종 이상 동서하고 있는 지역을 확인하여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는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줄납자루(A. yamatsutae) 및 각시붕어(Rhodeus uyekii)로 총 3종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와 동서하고 있는 숙주조개(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를 채집하여 숙주조개 속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를 확보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을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DNA COI과 cyt b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각각 종별로 특이성을 지닌 부위(단일염기변이; Single Nucleotide Variation: SNV)에 맞는 제한효소를 선정하였고, 숙주조개 속 난 및 치어를 대상으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RFLP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현지조사 시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의 독특한 제한절편 길이 양상을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묵납자루, 줄납자루 및 각시붕어의 종을 판별할 수 있는 RFLP 마커를 개발하였으며, 숙주조개 난 및 치어를 대상으로 정확한 종의 동정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각각 납자루아과 종별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향후 이들 자연개체군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 및 보전 방법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칡추출물이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erariae thubergiana Bentham Extract on Brain Tissue in Alcohol-Treated Rats)

  • 김명주;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69-675
    • /
    • 2000
  • 칡추출물이 알코올성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을 구명하기 위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게 갈화와 갈근을 수준별 (I;1.2 g/kg B.W., II;2.4 g/kg B.W.) 로 5주간 급여한 후 \ulcorner 열수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와 유리기 생성 및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ADH 활성응ㄴ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시 에탄올만 투 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LDH 활성은 갈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는데 1수준군의 증가정도가 현저하였다. P450 함량과 AD, AH 활성은 대조 군에 비하여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갈근 급여군의 감소효과가 현저 하게 나타났다. AO와 XO 활성은 갈화 및 갈근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 는데 특히 갈근추출물 1수준군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칡 열수추출물 급여시 증가하였으며 CAT와 GSH-Px 활성은 에탄올 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갈근 열수추출믈 I 수 준 급여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갈화 및 갈근 열수추출물 급여는 뇌조 직 중의 에탄올 대사효소계의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유리기제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 산화효소계를 활성화하여 에탄올 투여에 인한 뇌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의 식품원료 진위 판별에 적용 (Application for Identification of Food Raw Materials by PCR using Universal Primer)

  • 박용춘;진상욱;임지영;김규헌;이재황;조태용;이화정;한상배;이상재;이광호;윤혜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7-324
    • /
    • 2012
  • 본 연구는 식품원료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일반 프라이머를 이용한 DNA barcode 기법을 도입하였다. 동물성식품원료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DNA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CO1490/HCO2198 및 VF2/FISH R2)와 cytochrome b(cyt b) 부위 검출을 위하여 디자인된 프라이머(L14724/H15915)를 사용하였다. 상기 3 종류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가축류 6종(소, 돼지, 염소, 양, 말 및 사슴), 가금류 4종(닭, 오리, 칠면조 및 타조), 어류 7종(명태, 대구, 청대구, 청어, 송어, 다랑어 및 우럭)을 대상으로 PCR 후 전기영동하여 예상되는 PCR 산물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가축류 6종에 대하여는 LCO1490/HCO2198, VF2/FISH R2 및 L14724/H15915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 COI 및 cyt b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가금류 4종은 LCO1490/HCO2198 및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만 COI이 검출되었다. 또한 어류 7종은 VF2/FISH R2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에만 COI 부위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식물의 경우 엽록체 DNA 부위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3 종류의 프라이머(trnH/psbA, rpoB 1F/4R 및 rbcL 1F/724R)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 5종(마늘, 양파, 무, 녹차 및 시금치)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3종류의 프라이머에서 PCR의 산물을 모두 확인하였으며 trnH/psbA 프라이머의 경우 식물 종마다 PCR 산물의 크기는 다르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종의 식품원료별 일반 프라이머 및 PCR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생산된 PCR 산물을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유전자은행에 있는 염기서열과 DB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식품에 사용된 원료의 진위여부 판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이성 홍국이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onascus Koji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Bromobenzene in Rats)

  • 오정대;윤종국;유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65-972
    • /
    • 2004
  • 홍국이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에 2% 및 4% 홍국 첨가식이로 1개월 간 성장시킨 다음 체중 1 kg당 400 mg의 bromobenzene을 1일 1회 복강으로 3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 및 4% 홍국 첨가식이로 성장시킨 흰쥐에 있어서 체중증가율은 표준식이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간 기능 및 병리조직검사에서도 홍국 섭취로 인한 간 조직의 병태생리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동물에 bromobenzene을 투여 시 간 손상 정도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가장 경미하게 나타났다.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bromobenzene에 의한 간손상이 경미하게 나타난 원인을 구명하고자 간 손상 실험모델에bromobenaene을 재투여시, 간 조직 중 cytochrome P-450 dependant aniline hydroxyl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는 유의한 증가(p<0.01)를 보였으나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에 대한 간 조직 glutathione 함량 감소율에 있어서는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 조직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은 3군간에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반응속도적 측면에서는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V$_{max}$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bromobenzene 투여에 의한 간 조직의 cytochrome P-450 dependant aniline hydroxylase 증가율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xanthine oxidase 활성은 3군간에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특히 대조군 및 bromobenzene 투여군 모두superoxidas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표준식이군 및 4% 홍국 첨가식이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2% 홍국 첨가식이군에서 bromobenzene에 의한 간 손상이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2% 흥국 첨가식이의 섭취로 인한 bromobenzene 대사 및 유해산소 해독의 촉진에 기인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다.

한국산 1미기록종, Acanthaphritis unoorum (농어목, 꼬리점눈퉁이과)의 어란 및 자치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Acanthaphritis unoorum (Perciformes, Percophidae) in Korean Waters)

  • 허성현;반태우;김진구;지환성;문성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7-73
    • /
    • 2019
  • We presented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 eggs, larvae and juvenile of Acanthaphritis unoorum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with bongo nets from Korean waters during the period May 2017-July 2018. We collected 18 individuals including eggs (n= 4, 0.77-0.85 mm in egg diameter), preflexion larvae (n= 6, 4.11-6.31 mm in standard length, SL), flexion larvae (n= 4, 6.60-7.82 mm SL), postflexion larvae (n= 3, 8.94-13.46 mm SL), and one juvenile (n= 1, 14.67 mm SL). The mitochondrial (mt) DNA 16S rRNA sequences of the eggs, and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of the larvae were identical to those of A. unoorum adults (genetic distances <0.01). The A. unoorum larvae and the juvenile that we collected we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those of Dactylopsaron dimorphicum, but the A. unoorum specimens were readily distinguishable by the presence of lateral melanophore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A. unoorum in Korean waters.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for A. unoorum: "O-ri-bu-ri-nuntung-i".

한국 제주 연안에서 채집된 전갱이과(Carangdiae) 어류, Caranx papuensis의 첫 기록 (New Record of the Brassy Trevally, Caranx papuensis (Carangidae, Perciformes) in Jeju Island of Korea)

  • 김현정;오도현;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9-206
    • /
    • 2024
  • 전갱이과(Carangidae) 어류에 속하는 1개체가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에서 2023년 10월 16일에 낚시로 처음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측선이 제1 등지느러미 아래에서 완만하게 굴곡되어 있는 점, 흉부에 무린 영역이 존재하는 점, 새파수가 26개인 점 등에서 Caranx papuensis로 동정되었다. 또한 mtDNA COI 영역 619 bp를 분석한 결과 일본산 C. papuensis와 유전거리 0.54%로 잘 일치하였다.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국명으로 측선을 따라 황색 줄을 가지는 특징에 의거 "황줄전갱이"를 제안한다.

스티렌이 흰쥐의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yrene on Hepat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Rats)

  • 이종렬;김동훈;이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78-687
    • /
    • 2021
  • 스티렌은 플라스틱과 같은 생활용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건강에 위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스티렌이 간 조직 중 항산화계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0 mg/kg, 200 mg/kg 및 400 mg/kg 용량을 4일 동안 1일 2회 복강 투여하였다. 혈청 ALT 및 AST 활성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1.2배 (p<0.05) 및 약 43.3%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투여용량이 증가할수록 간손상이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MDA 함량 변동은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37.1% (p<0.05) 증가하였고, XO 활성도는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약 15.2% 증가하였고, CYPdAH 활성도는 약 40.4% (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계 효소인 GPx, CAT, SOD 및 GST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약 33.0% (p<0.05), 약 41.2% (p<0.05), 약 47.2% (p<0.05) 및 약 27.6%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GSH 함량은 200 mg/kg 투여군에 비해 400 mg/kg 투여군에서 34.5% (p<0.0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소모된 GSH 함량은 스티렌과 스티렌 중간대사산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스티렌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과잉의 활성산소종과 독성 중간대사산물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되었고, 이는 해독에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와 불균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섬진강-광양만 하구 기수 재첩 (Corbicular japonica)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r japonica) from Seomjin River to Gwangyang Bay, South Korea)

  • 김지훈;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12-220
    • /
    • 2022
  • 재첩은 하구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섬진강 하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재첩은 담수와 해수생태계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종이다. 재첩은 외부형태만으로는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서식 재첩의 종 동정을 위해 형태적 관찰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기반 DNA 바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첩 간 다른 두 종을 확인하였으며, COI 염기서열의 다중배열 분석결과 약 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재첩과 내 다양한 종들과 계통수 분석으로 계통유 전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 C. fluminea와 하나의 계통군으로 묶여졌고 진화적 거리는 0.003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재첩속인 C. leana와 0.089, C. fluminalis와 0.096으로, 재첩과 내 3종과는 약 0.2로 C. japonic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화적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이고, 그중 한 개체가 C. flumine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NA 바코딩을 이용한 섬진강 하류 지역에 서식하는 재첩의 COI 시컨스를 통해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하여 형태학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종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al-time PCR 분석법을 이용한 옥돔과 옥두어의 종 판별법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al-time PCR to Determine Branchiostegus japonicus and B. albus Species Based on Mitochondrial DNA)

  • 정인영;서용배;양지영;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31-1339
    • /
    • 2017
  •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존재하는 시토크롬C 산화효소 서브유닛 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의 D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종 판별은 수산물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과 어류 다양성 보존을 위해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소비되는 옥돔과 가짜 옥돔으로 둔갑하는 옥두어의 종 판별을 위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옥돔과 옥두어, 두 종의 종 판별과 검증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게놈의 DNA 염기서열 차이를 이용하여 real-time PCR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의 생물정복학적 분석에서 옥돔과 형태학적 옥돔 유사종인 옥두어, 두 종 사이에 COI 유전자 내에서 상당히 유사한 DNA 서열 부분과 일부 서열 변화 부분이 확인되었다. 명확하게 종 판별을 하기 위해 COI 유전자 내에서 일부 변화된 서열에서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다. 10 개체의 옥돔과 옥두어에서 게놈 DNA을 추출하여 옥돔과 옥두어의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시스템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러한 real-time PCR 시스템을 이용한 genomic DNA 기반의 분자 기술은 동물 조직의 분류학적 분류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옥돔판별을 위해, 옥돔 DNA에서 옥돔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Ct 평균값($21.85{\pm}3.599$)과 옥두어 DNA에서 옥돔 종 특이 프라아머를 이용한 Ct 평균값($33.49{\pm}1.183$)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옥두어판별을 위해, 옥두어 DNA에서 옥두어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Ct 평균값($22.49{\pm}0.908$)과 옥돔 DNA에서 옥두어 종 특이 프라아머를 이용한 Ct 평균값($33.93{\pm}0.479$)을 통해 옥돔과 옥두어의 각 종 특이 프라이머의 효율성, 특이성 및 교차 반응성 측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제안된 방법은 10개의 상용 샘플로 검증이 되었다. 따라서, threshold cycle (Ct) value와 같은 real-time PCR 결과 분석에 의해 종 판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