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e Length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2초

광폭교차로에서 2단 횡단보도 설치 효과분석 (The Effect of Staggered Pedestrian Crossings at Wide Width Intersections)

  • 김동녕;홍유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35
    • /
    • 2011
  • 광폭의 도로에서는 횡단거리가 길어 보행자의 녹색시간이 길게 할당된다. 부도로의 교통량이 적을 때에도 보행자의 최소녹색시간으로 인해 일정시간 이상의 녹색신호시간을 보장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신호주기가 길어지고 주도로의 g/C 비율이 감소하게 되어 교차로 전체의 지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2단 횡단보도의 설치 효과를 차량 측면과 보행자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차량당 제어지체를 TRANSYT-7F와 VISSIM을 활용하여 산출하였고 그 결과 2단 횡단보도의 차량당 제어지체가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최소 14.9%에서 최대 85.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자 측면에서는 해석적 방법으로 두 횡단보도의 보행자 평균 횡단시간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VISSIM을 통한 평균 보행자지체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해석적 방법으로 보행자 평균 횡단시간을 산출한 결과, 두 횡단보도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ISSIM을 활용하여 보행자 지체시간을 산출한 결과,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2단 횡단보도의 평균 보행자 지체가 13.4%~22.3%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 및 기하조건이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우에는 일반 횡단보도에 비해 2단 횡단보도가 차량 및 보행자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소플라본의 투여가 골질량이 감소된 저체중과 정상체중 여대생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 백수경;승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54-166
    • /
    • 2003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both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e variation in premenopausal women who had decreased bone mass, the 24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the underweight group, consisting of 13 subjects, and the other was the normal weight group consisting of 11 subjects. For each group,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f 90 mg/day on both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e variation during 3 menstrual cycl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recall, and analyses of blood and urine were assessed from baseline to post-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21.8 years old and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was 23.2 years old.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two groups at baseline were as follows: Onset of menarche, menstrual cycle, and menstrual leng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Serum protein, total, HD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Ca, P, Mg, Cu, and Zn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Serum estradiol, SHBG, LH, and FSH level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Lumbar spine BMD by T scores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Serum osteocalcin, urinary DPD, and urinary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comparative results for the two groups at post-treatment were as follows: From baseline to post-treatment, the intake of energy, nutrients and isoflavone in food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Serum protein, total cholesterol, HD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Serum Ca, Cu, and Z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groups and serum Mg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underweight group. Serum estradi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groups, but serum SHBG, LH, and FSH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in either group. Lumbar spine BMD by T score of the under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15%, but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Serum osteocalcin of the under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28%, while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40%. Urinary DPD of the normal weigh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o 12%. The results show that the BMD of the underweigh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Therefore, the underweight group had a disadvantage in obtaining maximum bone mineral density. The results also show that isoflavone supplementation during 3 menstrual cycl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and affected bone metabolism markers in premenopausal underweight wome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ufficient intake of isoflavone could be helpful in preventing decreases in bone mass among premenopausal women, especially underweight women.

Osteonectin Interacts with Human Nebulin C-terminus in Skeletal Muscle

  • Park, Eun-Ran;Kim, Hyun-Suk;Choi, Jun-Hyuk;Lee, Yeong-Mi;Choi, Jae-Kyoung;Joo, Young-Mi;Ahn, Seung-Ju;Min, Byung-In;Kim, Chong-R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3-272
    • /
    • 2007
  • Nebulin is a giant actin binding protein (600-900 kDa) which is specific to skeletal muscle. This protein is known to regulate thin filaments length in sarcomere as a molecular template. The C-terminus of nebulin is located in the Z-disc of muscle sarcomere and is bound to other proteins such like myopalladin, titin, archvillin, and desmin. The N-terminus of nebulin binds to tropomodulin at the pointed ends of the thin filaments. In recent research, nebulin not only found in brain but also expressed in heart, stomach, and liver. So, the roles of nebulin in non-muscle tissue have been studied. However, lack of information or studies on nebulin binding proteins and nebulin function in brain are available so far. Therefore, the current study have investigated a novel binding partner of Nebulin C-terminus by using yeast two-hybrid screening with human brain cDNA library. Nebulin C-terminus, containing simple repeats, serine rich and SH3 domain, interacts with osteonectin C-terminal region. The specific interaction of nebulin and osteonectin were confirmed in vitro by using GST pull-down assay and reconfirmed in vivo by using transfected COS-7 cells with EGFP-tagged nebulin and DsRed-tagged osteonectin. Consequently, this study identified SH3 domain in nebulin C-terminus specifically binds to extracellular Ca-binding (EeC domain in osteonectin. Also, nebulin C-terminus fusion protein colocalized with osteonectin EC domain fusion protein in transfected COS-7 cells. The current study found the interaction between nebulin and osteonectin in human brain for the first time and suggested the nebulin in brain may be associated with osteonectin, as a regulator of cell cycle progression and mitosis.

  • PDF

운전 조건을 고려한 승용차용 요소첨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의 내부 유동 해석에 관한 연구 (Internal Flow Analysis of Urea-SCR System for Passenger Cars Considering Actual Driving Conditions)

  • 문성준;조낙원;오세두;이호길;박경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3호
    • /
    • pp.127-138
    • /
    • 2016
  • 디젤 차량의 유해배출가스인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서는 정화성능이 우수한 요소첨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오일러리안-라그랑지안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요소첨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의 수송현상에 따른 화학반응과 다상유동 특성을 수치적으로 예측한다. 이때, 수치적인 분무형상은 가시화실험에서 측정된 분사속도, 분무관통길이, 분무반경, 평균액적지름과 비교를 통해 보정되었다. 그리고 해석 결과는 실제 엔진 및 차량 시험에서 측정한 질소산화물 저감효율과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상대오차 5% 이하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검증된 전산모델은 요소첨가 선택적 촉매환원장치의 내부유동해석에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압력강하와 속도증가 특성을 분석하고, 암모니아의 농도균일도와 과잉분포 위치를 예측한다.

PRRS 바이러스 ORF5a 단백질의기능학적역할 (ORF5a Protei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is Indispensable for Virus Replication)

  • 오종석;이창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15
  •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 바이러스의 ORF5a 단백질이 바이러스 생장에 필수적인 단백질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PRRS 바이러스 감염성 클론을 이용하여 ORF5a 단백질 유전자를 결손시킨 변이 클론을 제작하였다. 야생형 PRRS 바이러스 감염성 클론과 ORF5a 단백질이 결손된 변이 클론을 BHK-tailless pCD163 세포에 transfection시킨 결과 변이클론에서감염성있는바이러스가숙주세포로부터만들어지지않았다. 이결과가 ORF5a 단백질발현의부재때문인지검증하기위해서 BHK-tailless pCD163-tailless 세포에 ORF5a 단백질을안정적으로발현하는세포주를제작하였고이세포주에동일한 transfection 실험을한결과세포에서공급되는 ORF5a 단백질발현에의해감염성있는바이러스가만들어지는것을확인하였다. 이로써 ORF5a 단백질이 PRRS 바이러스가 생장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류자극 및 전기장 처리가 현미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on Brown Rice Germination)

  • 임기택;김장호;선우훈;홍지향;정종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2호
    • /
    • pp.100-10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on brown rice germination. The brown rice stimulated by electrical current stimuli,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a pulse type,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were observed (Type I, II and III). Treatment Type I was a method of semi-soaking brown rice with electric current stimuli of 0.13 V/cm, 0.19 V/cm, and 0.25 V/cm into Petri-dishes for 72 hours. Type II was a method of semi-soaking brown rice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a pulse type(DC 1 V, 1 Hz, 5%, and duty cycles of 5%, 20%, and 35%) into Petri-dishes for 72 hours. Type III was a method of water-soaking with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for 60 hours.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at 15 kV/cm were also conducted for 2.5 min, 7.5 min, and 10 min, respectively.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electric current stimuli with 0.13 V/cm, 0.19 V/cm, and 0.25 V/cm were increased by about 10-15%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i of pulse type(DC 1 V, 1 Hz, 5% duty cycle) were increased by about 10∼1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best effective treatment among high-voltage electric field treatments was the 10 min group at 15 kV/cm.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sprout growth of brown rice germinated by this treatment of 10 min at 15 kV/cm were increased by about 10∼20%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s of electric current stimuli and high-voltage electric field accelerated the germination rate and sprout growth of brown rice by about 10∼1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인체 암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cyclooxygenase-2 및 telomerase의 활성 저하 (Genistein-induced Growth Inhibition wa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and Telomerase Activity in Human Cancer Cells.)

  • 김정임;김성윤;서민정;임학섭;이영춘;주우홍;최병태;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84-8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인 genistein의 처리에 따른 암세포의 증식억제에서 telomerase 및 COX-2 활성의 변화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가지 종류의 암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genistein 처리에 의하여 암세포들의 증식억제에서 백혈병 세포인 U937 세포의 감수성이 감장 높게 나타났으며, genistein 처리에 따라 telomere 조절인자들의 발현이 대부분 억제되었으며, telomerase의 활성도 매우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genistein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OX-2의 발현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른 $PGE_2$의 생성 역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나, COX-1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genistein의 항암 활성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MIKE SHE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for the Gyeongan-cheon Watershed with MIKE SHE Modeling System)

  • 김철겸;김현준;장철희;임상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459-4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인 경안천 유역 (유역면적 $260km^2$)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을 위해, 완전 분포형 모형인 MIKE SHE를 적용하였다. 모형 입력자료로서 DEM 토지이용도, 정밀토양도 등과 같은 GIS 자료를 구축하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 입력자료를 생성하였다. 유역 최종 출구점인 경안 수위표 지점에서의 유출자료를 활용하여 모형 보정과 검증을 수행한 결과, 관측치의 경향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내 운영되고 있는 마평 지하수위 관측소의 관측지하수위와 모의치를 비교한 결과도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고, 기존의 감수곡선법에 의해 계산된 값과 비교한 결과 비슷한 모의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모형을 통한 지하수위 모의 및 함양량 모의에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함양량의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 파악에 유의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복하중 시험 시 발생하는 암석의 미소파괴음 특성과 손상도 평가 (Acoustic Emission Property and Damage Estimation of Rock Due to Cyclic Loading)

  • 장현식;마연실;장보안
    • 지질공학
    • /
    • 제16권3호
    • /
    • pp.235-244
    • /
    • 2006
  • 한국원자력연구소 내에서 시추된 화강암 코어시료를 대상으로 1550회의 반복하중을 가할 때 미세균열의 발달 정도를 미소파괴음(AE)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반복하중 조건에서 미소파괴음은 반복횟수에 따라 두 가지 type의 발생 특성을 보였다. 첫 번째 type은 반복횟수가 적었을 때 나타나는 특성으로 낮은 에너지와 분산된 주파수가 특징이며, 두 번째 type은 반복횟수가 많았을 때 나타나는 특성으로 높은 에너지와 일정한 주파수가 특징적이다. Type 1은 시료내의 공극이나 미세균열이 닫히거나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type 2는 하중을 가할 때에는 미세균열이 전단되거나 닫혔다가 하중이 제거될 때에는 전단으로부터 회복하거나 미세균열이 열리면서 발생하는 미소파괴음의 특성으로 판단된다. 또한 반복횟수 50, 150, 350, 750, 1550회 때 탄성파(P파) 속도와 Felicity 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탄성파속도는 반복횟수가 증가하여도 변화가 없었으나 Felicity 비의 경우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여 시료가 반복하중에 의해 손상을 받고 있음을 지시하였다. 따라서 암석의 손상정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미소파괴음 측정을 통한 Felicity 비가 탄성파속도보다 더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동해안 홍조 지누아리사촌(Grateloupia acuminata) 식물의 조직배양 (Tissue Culture of Grateloupia acuminata (Rhodophyta) from the Eastern Coast of Koea)

  • 김형근;박중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6-221
    • /
    • 2006
  • 유용 해조류인 지누아리사촌(Grateloupia acuminata Okamura) 사분포자체의 실내배양에서 조직 절편의 재생과 각상체의 성장에 대한 온도와 조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직절편에서 얻은 재생엽에서 사분포자를 얻고 이것은 기부반상근과 직립엽체로 발전하였다. 온도별 반상근의 성장은 배양 1주후에 온도 $25^{\circ}C$ 조도 $80{\mu}mol{\cdot}m^{-2}{\cdot}s^{-1}$의 조건에서 $275{\mu}m$로 가장 좋았다. 그러나 고온도의 조건에서는 3주후에 더 이상 생장하지 않았다. 반상근에서 직립엽체로 발전하는데 온도 $10^{\circ}C$에서는 3주 걸린 반면 $5^{\circ}C$에서는 4주간 걸려 저온도에서 성장이 천천히 나타났다. $15^{\circ}C$의 동일 온도조건에서 조도의 영향은 $80{\mu}mol{\cdot}m^{-2}{\cdot}s^{-1}$의 조건에서 반상근의 성장과 분화가 잘 이루어졌다. 통기배양에서 직립엽체는 4개월 후에 6.5cm크기의 엽체로 자랐다. 또한 사분포자에서 암, 수배우체가 형성되었으며 여기에서 사분포자체를 확보하게 되므로 배양실험을 통해 지누아리사촌의 생활사 과정을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