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Vulnerability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전력 IT Cyber Security 취약성 검토 (Consideration of Cyber Security Vulnerability in Power IT)

  • 김학만;박재세;정동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3-204
    • /
    • 2008
  • Power IT is very important infrastructure in the country. In general, Power IT is disclosed to cyber attacks. To enhance cyber security in Power IT area, first of all, vulnerability in the area should be defined.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yber security vulnerability in Power IT and introduce the vulnerability. Also, we suggest the research areas for enhancing cyber security in Power IT.

  • PDF

취약성 매트릭스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 및 방어 모델링 (Cyber Attack and Defense Modeling Using Vulnerability Metrics)

  • 이장세;지승도;최규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20
    • /
    • 2004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modeling of cyber attack and defense using vulnerability metrics. To do this, we have attempted command level modeling for realizing an approach of functional level proposed by Nong Ye, and we have defined vulnerability metrics that are able to apply to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and performed modeling of cyber attack and defense using this. Our approach is to show the difference from others in that (i) it is able to analyze behaviors of systems being emerged by interaction between functional elements of network components, (ii) it is able to analyze vulnerability in quantitative manner, and (iii) it is able to establish defense suitably by using the analyzed vulnerability. We examine an example of vulnerability analysis on the cyber attack and defense through case study.

  • PDF

취약성 매트릭스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 및 방어 모델링 (Cyber Attack and Defense Modeling Using Vulnerability Metrics)

  • 이장세;지승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1-198
    • /
    • 2003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modeling of cyber attack and defense using vulnerability metrics. To do this, we have attempted command level modeling for realizing an approach of functional level proposed by Nong Ye, and we have defined vulnerability metrics that are able to apply to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and performed modeling of cyber attack and defense using this. Our approach is to show the difference from others in that (ⅰ) it is able to analyze behaviors of system emerged by interaction with functional elements of components composing network and each other, (ⅱ) it is able to analyze vulnerability in quantitative manner, and (ⅲ) it is able to establish defense suitably by using the analyzed vulnerability. We examine an example of vulnerability analysis on the cyber attack and defense through case study.

  • PDF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한 군(軍) 정보화자산관리시스템과 연계한 군(軍) 취약점 관리 방안 (Military Vulnerability Management Plan based on Military IT Asset Management System for Cyber Threat Response)

  • 김종화;임재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1-116
    • /
    • 2018
  • 우리 군(軍)의 사이버 공간은 적으로부터 지속적인 위협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군(軍) 정보화 자산에 대한 취약점을 조기에 식별하고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군(軍)은 취약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취약점 관리에 대한 각 국의 동향과 군(軍) 취약점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軍) 정보화 자산에 대한 효율적인 취약점 관리를 위해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와 군(軍) 정보화자산관리시스템을 연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공격 그래프 기반의 공격 대상 예측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Predicting Attack Target Based on Attack Graph)

  • 고장혁;이동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9-92
    • /
    • 2020
  • As the number of systems increases and the network size increases, automated attack prediction systems are urgently needed to respond to cyber attacks. In this study, we developed four types of information gathering sensors for collecting asset and vulnerability information, and developed technology to automatically generate attack graphs and predict attack targets. To improve performance, the attack graph generation method is divided into the reachability calculation process and the vulnerability assignment process. It always keeps up to date by starting calculations whenever asset and vulnerability information change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ttack target prediction, the degree of asset risk and the degree of asset reference are reflected. We refer to CVSS(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for asset risk, and Google's PageRank algorithm for asset reference. The results of attack target prediction is displayed on the web screen and CyCOP(Cyber Common Operation Picture) to help both analysts and decision makers.

국방 네트워크 환경에서 ATT&CK 기반 취약점 완화 체계 구축 방안 (Vulnerability Mitigation System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ATT&CK in M ilitary Internal Network Environment)

  • 안광현;이한희;박원형;강지원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5-141
    • /
    • 2020
  • 국방부는 주기적인 사이버방호 훈련을 실시함에 따라 사이버작전의 전력과 역량을 보강하고 있다. 하지만 적 사이버공격 능력 수준을 고려할 때 군의 사이버방호 능력 수준은 현저히 낮으며 군용 네트워크망에 대한 사이버위협을 대응할 수 있는 보호대책과 대응체계가 명확하게 설계되어 있지 않아 민·관의 사이버보안 능력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는 실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를 참조하여 국방 네트워크망 취약점 완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요소로 군 특수성을 지닌 군 내부망 주요 위협 정보 및 국방정보시스템 보안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공격자의 의도파악과 전술, 기법 및 절차 정보(ATT&CK)를 적용하여 국방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효율적으로 보호 해주는 군 내부망 취약점 완화 체계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SW 취약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진단원의 교육 양성 연구 (Research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Analyzer for Security Enhancement of SW Vulnerability)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45-950
    • /
    • 2017
  •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으로 인하여, 국가의 사이버 인프라와 실물 금융자산 에 대한 해킹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인터넷 정보제공과 사이버 금융결제 및 사이버 인프라를 통제하고 운영하는, 운영체제 및 실행시스템을 구성하는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분석하고, 보안성을 강화해야 사이버 인프라의 보안성이 강화되고, 실제 국가와 국민의 실제 생활에 보안성이 강화된다.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제도 분석과 소프트 웨어 개발보안 진단 분석 및 소프트웨어 취약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취약점 진단원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교재개발과 진단원 시험문제 개발 및 진단원의 파일럿 테스트, 그리고 진단원의 투입인력 비용기준을 연구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소프트웨어 취약점 진단원을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진단가이드를 제시하여, 국가와 국민 생활의 사이버 인프라의 소프트웨어 보안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원전 사이버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 개발을 위한 규제요건 분석 (Regulatory Requirements Analysis for Development of Nuclear Power Plants Cyber Security Vulnerability Inspection Tool)

  • 김승현;임수창;김도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25-730
    • /
    • 2017
  • 원전의 안전 유지를 위한 계측제어계통에 일반적인 IT 자원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IT 자원이 갖는 잠정적인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원전 사이버 보안 침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원전의 가동 중단뿐만 아니라 국가적 재난에 이르는 심각한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국내 원자력 규제기관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 사이버 보안 규제지침을 개발하고 규제 대상 및 범위를 확대시키고 있지만, 원전의 일반적인 보안 문제뿐만 아니라 원전 취약점에 특화된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G.5.71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 중 취약점 점검과 관련된 42개 항목을 선별하여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제안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취약점 점검 도구를 개발한다면 원전 사이버 보안 취약점 점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네트워크 취약성 분석을 위한 확장된 사이버 공격 트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xtended Cyber Attack Tree for an Analysis of Network Vulnerability)

  • 엄정호;박선호;정태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9-57
    • /
    • 2010
  • We extended a general attack tree to apply cyber attack model for network vulnerability analysis. We defined an extended cyber attack tree (E-CAT) which extends the general attack tree by associating each node of the tree with a transition of attack that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cyber attack. The E-CAT resolved the limitation that a general attack tree can not express complex and sophisticate attacks. Firstly, the Boolean expression can simply express attack scenario with symbols and codes. Secondary, An Attack Generation Probability is used to select attack method in an attack tree. A CONDITION-composition can express new and modified attack transition which a aeneral attack tree can not express. The E-CAT is possible to have attack's flexibility and improve attack success rate when it is applied to cyber attack model.

분석적 방법을 적용한 원전디지털자산 취약점 평가 연구 (A Study on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the Digital Assets in NPP Based on Analytical Methods)

  • 김인경;권국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539-1552
    • /
    • 2018
  •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화로 인한 사이버위협 노출로 보다 확고한 사이버보안 체계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주기적인 취약점 분석 및 평가를 통한 적합한 보안대책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전시스템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둔 특성 및 취약점 분석을 위한 제반사항 구축에 많은 비용 및 시간 등이 필요하여 기존의 취약점 분석 환경 및 분석 도구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전디지털자산 취약점 분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일반적인 취약점 분석 방법들을 비교하여 기존의 취약점 분석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원전디지털자산에 적합한 취약점 평가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시범 적용한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