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ting Direction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3초

철골구조물 발파해체 시공사례 (A Case Study on Explosive Demolition of a Steel-Frame Structure)

  • 박훈;노유송;남성우;장성옥;김래회;석철기
    • 화약ㆍ발파
    • /
    • 제39권2호
    • /
    • pp.27-36
    • /
    • 2021
  • 최근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불용하는 철골구조물의 해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철골구조물 해체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본 시공사례는 구조적 노후화와 기능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철골구조물인 ore bin과 coke bin 해체에 발파해체공법 중 전도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철골구조물을 발파 절단하기 위해 장약용기를 사용하였다. 발파해체 결과, ore bin과 coke bin은 예측된 방향으로 정확히 전도되었으며, 주변 시설물에 피해 없이 발파해체를 완료하였다.

안동시 풍천면 안동단층계 주변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 around Andong Fault System, Pungcheon-myeon, Andong, Korea)

  • 강지훈;이덕선
    • 암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94
    • /
    • 2008
  • 안동시 풍천면 지역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 쥬라기 화성암류, 백악기 퇴적암류 (하산동층, 진주층, 일직층), 그리고 백악기 화성암류 (반려암체, 암맥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몇몇 주요 단층들이 발달한다. 이들은 백악기 경상분지와 선캠브리아기-쥬라기 기반암류(영남육괴)의 경계단층에 해당하는 동북동 방향의 안동단층, 이에 평행한 남후단층, 북북서 방향의 매봉단층, 남남동 방향으로 볼록한 활형의 광덕단층, 북북동 방향의 하회단층 등이다. 이 논문에서는 층리, 절리, 단층, 끌림 습곡에 대한 상세한 기하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들 주요 단층 주변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활형의 광덕단층과 그의 동부 연장선상에 발달하는 하회단층 주변에서 측정된 층리의 극점 배열로부터 상부가 남남동 방향으로 충상하는 단층운동에 수반된 광역적인 끌림습곡작용이 인지되며, 광덕단층의 서부와 하회단층에서는 비교적 폭이 좁고 광덕단층의 중부와 동부에서는 비교적 폭이 넓은 약 150 m-300 m 폭의 광덕 끌림습곡대가 설정된다. 이는 이전 연구결과와 달리 하회단층과 광덕단층은 하나의 단층으로써 그 운동성과 운동시기가 광덕단층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연구지역에는 두 종류의 방향 단층[(동)북동${\sim}$동서 방향(단충 I), 서북서${\sim}$북북서 방향(단층 II)과 네 종류의 방향절리 [동서(I), (북)북서 (II),북북동 (III), 북동 (IV) 방향 절리]가 인지되며, 이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네 번의 변형단계를 걸쳐 형성되었다 (1) Dn 단계; 동서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 (광덕절리)의 형성과 동서 방향의 산성질 암맥의 관입작용, (2) Dn+1 단계, (북)북서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I) (매봉절리) 형성, 산성질 암맥의 렌즈상 부딘작용, 광덕절리의 사교이동성 역단층운동 (단층 I-광덕단층 형성)과 이에 수반된 광역적인 광덕 끌림습곡대 형성, (3) Dn+2 단계; 북북동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II) 형성, 매봉절리의 우수 주향이동 단층운동 (단층 II-매봉단층 형성)과 이에 수반된 Dn+1 구조물의 연장성 단절작용, (4) Dn+3 단계; 북동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V) 형성과 단층 II의 우수향 성분이 우세한 사교이동성 단층으로의 재활동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봉단층은 안동단층과 광덕단층의 충상 지구조운동과 관련된 인열단층이라기 보다는 이들 단층보다 후기에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낙동강수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Outflow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Plume)

  • 김기철;김재중;김영의;한건모;최광규;장성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5-313
    • /
    • 1996
  • 1993년과 1994년에 낙동강 하구둑 하류부에서 낙동강수 플륨의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몇개 단면을 설정하여 CTD관측을 행하였다. 하구둑 건설전에는 낙동강수는 낙조시 상하의 entrainment혼합이 활발히 일어나 장자등과 나무싯등 부근에 이르기도 전에 완전히 혼합되어 빠져나갔지만 본 조사자료에서는 낙동강수는 표층에서 1m 정도의 깊이의 플륨의 형태로 장자등과 나무싯등 사이를 빠져나가 훨씬 남쪽까지 내려감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하구둑에서 조시에 따라 주로 낙조동안 강수가 방출이 되고 낙조류의 방향과 플륨의 방향이 어느 정도 일치하기 때문이며 또한 internal Froude number가 썰물시 0.22- 0.35, 밀물시 0.14로서 상하층의 성층상태가 썰물과 밀물시 모두 아주 안정적인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도 알 수 있다. 플륨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다대포와 가덕도남단를 잇는 단면에서 3개의 저염축이 발견되었는데 가장 저엄축은 주된 플륨을 나타내며 하구둑 건설 후 을숙도를 설계하여 새로 만든 수로를 나와 장자등과 나무싯등을 거쳐 나옴을 알 수 있다. 가덕도 부근의 저염은 patch 형태로 밀물에 의해 이류된 강수플륨의 영향이다. Coriolis 효과를 나타내는 Rossby deformation radius는 조시에 따라 달라지는데 창조시에 Coriolis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 가덕도 부근에서 등염분선을 가덕도쪽으로 깊어지게 한다. Internal wave형태의 형상이 썰물시 단면에 나타나 Richardson number를 구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는데 즘 더 자세한 관측 및 분석이 필요하다.

  • PDF

비 집수면적 산정기법에 따른 사면 안정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Slope Stability Using Specific Catchment Area Calculation)

  • 이기하;오성렬;안현욱;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43-656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증가 및 무분별한 유역개발에 의한 산사태 발생빈도 및 재해복구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에 발생한 서울시 우면산 지역을 대상으로 뿌리 점착력을 고려한 GIS기반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무한사면안정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습윤지수의 공간분포화를 위해 비 집수면적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세가지 기법(일방향 흐름기법, 다방향 흐름기법, 무한방향 흐름기법)를 이용하여 비 집수면적을 산정하고, 각 기법에 따른 대상유역내의 격자별 사면안전율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한 사면안정 해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공간집중형 습윤지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면산 지역의 사면안정 해석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사면안전율 분석결과, 거주지 주변의 절개지 부근과 산지정상부근의 급경사지에서 불안정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IFD와 집중형 습윤지수에 의한 불안정지역은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SFD와 MFD에 의한 불안정지역은 앞선 두 가지기법에 비해 작게 산정되었다.

Direction of Tissue Contraction after Microwave Ablation: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in Ex Vivo Bovine Liver

  • Junhyok Lee;Hyunchul Rhim;Min Woo Lee;Tae Wook Kang;Kyoung Doo Song;Jeong Kyong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호
    • /
    • pp.42-51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issue contraction after microwave ablation in ex vivo bovine liver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Ablation procedures were conducted in a total of 90 sites in ex vivo bovine liver models, including the surface (n = 60) and parenchyma (n = 30), to examine the direction of contraction of the tissue in the peripheral and central regions from the microwave antenna.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2.45-GHz microwave systems (Emprint, Neuwave, and Surblate) were used. For surface ablation, the lengths of two overlapped square markers were measured after 2.5- and 5-minutes ablations (n = 10 ablations for each system for each ablation time). For parenchyma ablation, seven predetermined distances between the markers were measured on the cutting plane after 5- and 10-minutes ablations (n = 5 ablations for each system for each ablation time). The contraction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nd the sphericity index (SI) of the ablation zon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systems using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In the surface ablation experiment, the mean longitudinal contraction ratio and SI from a 5-minutes ablation using the Emprint, Neuwave, and Surblate systems were 28.92% and 1.04, 20.10% and 0.53, and 24.90% and 0.45, respectively (p < 0.001).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ngitudinal contraction and SI was noted, and a similar radial contraction was observed. In the parenchyma ablation experiment, the mean longitudinal contraction ratio and SI from a 10-minutes ablation using the three pieces of equipment were 38.60% and 1.06, 32.45% and 0.61, and 28.50% and 0.50, respectively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contraction propertie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dial contraction properties. Conclusion: The degree of longitudinal contr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icrowave ablation equipment, which may affect the SI of the ablation zone.

엔진 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합금파일의 절삭각에 따른 근관성형 효과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ICACY OF ROOT CANAL WALL DEBRIDEMENT OF ROTARY NI-TI INSTRUMENTS WITH DIFFERENT CUTTING ANGLE)

  • 전인수;윤태철;박성호;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6호
    • /
    • pp.577-586
    • /
    • 2002
  • 본 연구는 엔진구동형 Ni-Ti 합금 파일의 삭제날 각의 차이가 근관 성형 후 근관 내 절삭 면에 형성되는 도말층의 분포, 형태 및 상아세관 내로의 침투 정도 등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건전한 36개의 단근관을 갖는 발치된 사람의 단근치를 선택하고 positive cutting angle을 갖는 HEROShaper 파일과 negative cutting angle로 된 ProFile 파일을 이용하여 근관성형 후 절단면에서의 도말층의 양, 분포 형태 및 상아세관내로의 침투 빈도를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사진촬영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용된 엔진구동형 합금 파일의 삭제날 각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군에서 도말층이 형성되었다. 2. 근관 성형 후 절삭면상에 나타난 도말층 형태는 삭제날 각의 차이에 따라 형태학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ositive cutting angle과 radial land가 없는 니켈-티타늄 전동통파일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도말층 형성을 보였다(p < 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삭제날의 각이나 radial land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된 모든 엔진구동형 파일에서 도말층이 형성된 것으로 미루어 근관 성형 시 liquid EDTA와 같은 chealting agent의 사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야생 흰진달래의 조경식생화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Use of Wild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albiflorum as Landscape plant)

  • 이기의;이우철;조현길;유시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3-85
    • /
    • 1991
  •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albiflorum, native species is a shrub that has white flowers on May to June, and rare species endangered by people's rash digging or cutting. But its physiologic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 are not being known at all. Therefore, this study was executed to utilize this species as the planting material for landscaping by analysing its habitat environment and growth form, and also experimenting its seed and vegetative propagation, and it field culture and util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levation, gradient and direction of this species were 295-1,350m, 10-36$^{\circ}$, northwest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species is shade-liking plant that grows under forest cover of average 51.33%. 2. The soil pH and water content of its habitat were 5.4, 25.41% respectively. The organic matter content was 6.29% that was higher than 3.2%, the average organic matter content of forest soil in Korea. 3. Representative plant community within which this species was living w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its main neighboring species were Lindea obtusiloba, Fraxinus sieboldiana, Rhus trichocarp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ododendron mucronulatum. 4.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this species were 39.18mm, 12.60mm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ed that generally its leaf size was larger than that of R. micranthum, R.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R.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smaller than that of R. mucronulatum and R. schlippenbachii. 5. The whole size of its pollen was, as 59${\times}$61$\mu\textrm{m}$, the largest of plants of Rhododendron family including R. mucronulatum and R. mucronulatum var. ciliatum. 6. The result of seed germination experiment at intervals of 5$^{\circ}C$ from 15$^{\circ}C$ to 30$^{\circ}C$ present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94.7% at 20$^{\circ}C$ numerically, but high percent germination at all temperature level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eed of this plant proved to be sun-liking seed at requiring dormancy in germination. 7. Through seed germination experiment by 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such as GA. Thiourea and Kinetin under dark con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GA treatment on germination increase and acceleration was the highest. 8. In greenwood cutting, rooted rate by treatment of various concentration of IBA and NAA on clay and vermiculite bed was not wholly high, but 100ppm plots of both IBA and NAA of clay bed showed relatively good rooted rate. 9. As result of field culture experiment for finding out optimum growth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growth conditions such as height, number of leaves, fresh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the best at night/day temperature of 20/25$^{\circ}C$ and under 1/2sun. Also, the photosynthetic rate was the highest at 25$^{\circ}C$.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optimum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this plant are 25$^{\circ}C$ (day temperature), 50% of natural light respectively.

  • PDF

한국산 소나무의 지역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s According to Provinces)

  • 김민지;서정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00-106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주요 용재로 사용되고 있는 소나무의 생장지역에 따른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역 간 비교를 위해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고성), 영서(홍천), 영남(봉화) 세 지역을 선정하였다. 같은 연도에 형성된 연륜을 사용하기 위해 연륜연대학의 크로스데이팅법으로 벌채연도를 분석한 결과, 고성, 홍천 및 봉화 산 목재의 벌채연도가 각각 2014, 2012, 2014년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벌채연도를 토대로 각 지역에서 채취된 소나무의 미성숙재(수부터 20번째 연륜까지), 심재(연륜 생성연도: 1955~1964y), 변재(연륜 생성연도: 2002~2011y)를 대상으로 가도관 길이와 직경을 측정하였다. 산지 간 가도관 길이는 미성숙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심재와 변재부에서는 봉화, 홍천 고성 산 순으로 나타났다. 가도관 직경의 경우도 봉화 산이 높게 나타났다. 가도관 길이의 방사방향변이는 약 20년 전후에 증가하다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현미경을 이용한 목재해부학적 관찰에 따르면 세 지역 모두 전형적인 소나무의 특성을 보였다.

역방향 영상재생을 이용한 끼어들기 차량 자동추적 (Using play-back image sequence to detect a vehicle cutting in a line automatically)

  • 류지형;김영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95-101
    • /
    • 2014
  • 본 논문은 도로상에서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이미지 시퀀스를 역방향으로 재생하면서 광류추정을 기본으로 하는 KLT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어떤 기준이 되는 순간부터 시간의 역방향으로 재생하는 이미지 시퀀스를 사용하여 추적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본 논문의 중요한 아이디어이다. 기준이 되는 순간은 일반적으로 인식카메라가 번호판을 잘 읽을 수 있는 순간이다. 또한 추적 물체의 가장 큰 이미지를 얻는 시점이기도 하다. 추적하려는 물체의 이미지가 클수록 광류 추정을 위한 추적의 특징점을 더 많이 찾을 수 있으며 특징점이 많으면 추적의 결과도 좋다. 인식카메라로 차량의 번호판을 읽은 다음 끼어들기 위반이 의심되면, 광역을 촬영하는 추적카메라의 동영상에서 이 차량의 역방향 이미지 시퀀스를 추출한다. 본 논문은 추적에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정방향 이미지 시퀀스와 본 논문이 제안하는 역방향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추적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역방향 이미지 시퀀스를 이용한 본 추적의 알고리즘을 자동단속장비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법랑소주 방향에 따른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NAMEL RODS)

  • 조영곤;김종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344-351
    • /
    • 2005
  • 본 연구는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에 대한 3단계, 2단계 및 단일 단계 접착제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였다. 발거된 상$\cdot$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였다. 시편 중 협면과 설면 중앙부의 최 외층을 법랑소주의 말단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고, 내측에서 얻어진 시편을 법랑소주의 측면이 노출된 시편으로 이용하였다. 사용된 접착제에 따라 4개의 군 (1군 All-Bond 2, 2군: Single Bond, 3군: Tyrian SPE/One-Step Plus, 4군: Adper Prompt L-Pop)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당 법랑소주의 말단과 측면이 노출된 시편을 각각 7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접착제와 Tygon tube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에서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의 전단하중을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과 4군이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2군은 1군, 3군, 4군보다 그리고 4군은 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모든 군에서 법랑소주 말단에 대한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법랑소주 측면에 대한 결합강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