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Off

검색결과 2,212건 처리시간 0.028초

탄성초음파에서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using Elasticity Score and Strain Ratio in Elastogpraphy)

  • 이진수;양성희;김창수;안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4
    • /
    • 2017
  • 본 연구는 갑상샘 탄성초음파에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를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결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탄성초음파를 시행한 5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갑상샘 결절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5단계의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차이분석은 카이제곱검정과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통해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최적의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탄성도 점수의 동질성 비교와 변형비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0), ROC 곡선분석에서 양성과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AUC 0.842, 0.700, cut-off 값 3, 2.49로 결정되었다(p=0.001). 따라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는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초음파영상을 이용한 간탄력도 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Liver Fibroscan Test Using Ultrasound Image)

  • 안현;이진수;임인철;양성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05-212
    • /
    • 2017
  • 만성간질환(Chronic diffuse hepatopathy)의 진단은 간경화, 간부전,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유병율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임상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진단 영상을 바탕으로 간탄력도검사(Fibroscan)를 통해 지방간, 만성간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학적 검사, 간탄력도 검사 측정값(kPa)을 분석하였으며 ROC 곡선분석을 이용하여 지방간 및 만성간질환을 예측을 위한 간탄력도 측정값의 cut-off value를 결정하였다. 혈청학적 검사에서 Bililubin, PT(prothrombin time)은 질병예측에 관련성이 없었으며(p=0.243, p=0.115), 혈당과 중성지방수치는 지방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간탄력도 측정값은 정상 대조군, 지방간, 만성간질환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만성간질환 예측을 위한 cut-off value는 10.3 kPa(AUC 0.98, Sensitivity 94.94%, Specificity 94.93%)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정량적인 평가로 만성간질환 환자의 진단에 일차적인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부유형 해양 광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자외선과 초기 미세조류 접종 농도와의 상관관계 규명 (Verific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Ultraviolet Radiation and Initial Microalgal Cell Density Using a Floating Marine Photobioreactor)

  • 김지훈;박한울;정성균;김수권;김희윤;박용성;홍한마루;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5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ultraviolet radiation and initial cell density (ICD) of microalgae using a floating marine photobioreactor (PBR). To examine the effect of ultraviolet (UV) radiation in sunlight on biomass productivity as a function of ICD, 0.5-L floating PBRs covered with or without UV cut-off film were placed in an outdoor rectangular tank containing 200 L of water. At the lower ICDs, 0.01 and 0.05 g/L, biomass productivities in the PBRs without UV cut-off film decreased by $278{\pm}21%$ and $222{\pm}3%$ compared with those with the fil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presence of UV cut-off fil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iomass productivities at the higher ICDs, 0.25 and 1.25 g/L. When the differences in biomass productivity made by the UV cut-off film were plotted against the sum of cell projection area per light receiving area of the PB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UV on biomass productivity can be negligible when the sum of cell projection area is equal to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PBR. These results show that photoinhibition caused by UV radiation could be eliminated via operating the PBR with a proper ICD.

철도연변 절취 토사사면에 대한 강우에 의한 침투를 고려한 사면안정해석법의 적용성 평가 (Adequacy Evaluation of Stability Analyses Considering Rainfall Infiltration on Railroad Cut-off Soil Slopes)

  • 이수형;황선근;사공명;김현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37-1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99개 철도연변 사면에 대한 현장 조사를 통해 사면의 파괴 유형 및 보강 실태를 분석하고, 조사된 사면 중 절취 토사사면으로 분류된 14개의 사면에 대하여 강우의 영향을 고려한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표층유실 형태의 얕은 파괴를 검토하기 위해 강우에 의해 지표에 임시적으로 형성되는 지하수위를 가정한 무한사면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침투해석 결과와 지하수위를 지표 근처로 가정하는 방법을 통해 강우를 고려한 한계평형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파괴 기록과 안정성 해석으로 예측된 파괴 형태를 비교함으로써 적용된 해석방법들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철도연변의 절취 토사사면에서는 얕은 깊이의 표층파괴가 주로 발생하였으나, 한계평형해석법으로는 이를 적절히 예측할 수 없었다. 강우에 의한 표층파괴를 보다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의한 안정성 저하 효과로서 모관흡입력의 감소로 인한 간극수압의 증가뿐만 아니라, 지반의 침투능보다 큰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유출수에 의한 침식을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Impact of Tumor Length on Survival for Patients with Resected Esophageal Cancer

  • Mirinezhad, Seyed Kazem;Jangjoo, Amir Ghasemi;Seyednejad, Farshad;Naseri, Ali Reza;Mohammadzadeh, Mohammad;Nasiri, Behnam;Eftekharsadat, Amir Taher;Farhang, Sara;Somi, Mohammad Hosse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691-694
    • /
    • 2014
  • Background: Tumor length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EC) has recently received great attention. However, its prognostic role for EC i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rognostic value of tumor length in EC patients and offer the optimum cut-off point of tumor length by reliable statistical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71 consecutive patients with EC who underwent surgery. ROC cur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ut-off point for tumor length, measured with a handheld ruler after formalin fixation. Correlations between tumor length and other factors were surveyed,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were evaluated by univariate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71 patients, with a male/female divide of 43/28 and a median age of 59.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squamous/adenocarcinoma, 65/6; median tumor length, 4 (0.9-10); cut-off point for tumor length, 4cm. Univariate analysis prognostic factors were tumor length and modality of therapy. One, three and five year OS rates were 84, 43 and 43% for tumors with ${\leq}4cm$ length, whereas the rates were 75, 9 and 0% for tumors >4 cm.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umor length and age, sex, weight loss, tumor site, histology, T and N scores, differentiation, stage, modality of therapy and longitudinal margin involvement. Conclusions: Future studies for modification of the EC staging system might consider tumor length too as it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urther assessment with larger prospective datasets and practical methods (such as endoscopy) is needed to establish an optimal cut-off point for tumor length.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Evaluation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isk Factors Using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for Early Pregnancy in the US Imaging)

  • 김창수;양성희;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35-40
    • /
    • 2017
  • 본 연구는 임신초기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임산부의 복부 피하지방두께(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SFT)와 임신중기 발현되는 임신성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초기 ASFT를 측정한 후 임신중기 GDM 선별검사(50 g OGTT) 140 mg/d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산정하고 산모연령,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량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이용하여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를 결정하였다. 산모연령,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중기 GDM과 관련성이 없었으며,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초기 ASFT는 정상군과 GDM 고위험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는 2.23 cm(AUC 0.913, Sensitivity 76.19%, Specificity 93.72%)로 결정하였다. 임신초기 초음파로 측정된 ASFT는 임신중기 GDM 예측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유용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ASFT는 GDM을 조기에 인식하는데 있어서 보조적인 진단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운증후군위험도 예측에서 통합선별검사를 이용한 파라미터의 유의성 (Guideliness of the Parameters Using Integrated Test in Down Syndrome Risk Prediction)

  • 이진원;고성진;강세식;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49-555
    • /
    • 2016
  •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위험도의 예측을 위해 통합선별검사를 실시한 산모를 대상으로, 각 표지자의 유의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초음파로 측정한 NT 영상, 산모혈청 PAPP-A, AFP, uE3, hCG, 인히빈 A의 상관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NT, uE3, hCG, 인히빈 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ROC분석에서 인히빈 A의 AUC가 0.851로 다운증후군의 가장 큰 예측인자로 분석되었으며. cut-off value 1.33 MoM(민감도 87.5%, 특이도 71.5%)으로 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통합선별검사에서 인히빈 A가 다운증후군을 예측하는 가장 유용한 인자로 나타났다. 이에 각 표지자(parameter)들의 cut-off value를 바탕으로 통합선별검사의 단점을 보완한다면 다운증후군 선별의 독립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컷오프 구간에 정착된 대구경 확대머리철근에 대한 횡보강근의 효과 (Effects of Transverse Reinforcement on Headed Bars with Large Diameter at Cut-off Points)

  • 정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82-90
    • /
    • 2018
  • 원자력 발전소에는 No.36(D36)이상의 대구경 철근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대구경 철근으로 갈고리 정착을 할 경우, 기준에서 요구하는 구부림 및 갈고리 길이로 인해 설계 및 배근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대머리 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2008년 개정된 ACI 318에서는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식을 도입하였으며, 제정 배경 연구를 근거로 하여 횡보강근의 영향력을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확대머리 철근이 겹침이음이나 컷오프 구간에서 사용될 경우, 인장재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를 밀어내는 힘이 발생하여 횡보강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크게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휨을 받는 부재 내에 정착된 확대머리 철근의 정착성능에 대한 횡보강근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횡보강근의 간격을 변수로 한 대구경 확대머리 철근의 정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컷오프 구간을 모사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확대머리 철근으로는 D43의 대구경 철근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횡보강근이 없는 실험체의 경우 정착구간의 쪼갬파괴에 이어 단부의 하중이 확대머리 부근의 콘크리트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면서 상부 피복 콘크리트가 부재에서 탈락하는 취성적인 파괴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확대머리 철근의 발현강도가 항복강도의 절반밖에 못 미치는 매우 낮은 내력을 보였다. 이에 반해 횡보강근이 배근된 실험체의 경우 경우 횡보강근이 실험체 단부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저항함에 따라 실험체 내력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Double-Pass System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for Analysis of the Multifocal Function of a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Acrysof ReSTOR®) Compared to a Monofocal Intraocular Lens (Acrysof IQ®)

  • Hwang, Ho Sik;Shin, Hye Young;Joo, Choun-Ki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2호
    • /
    • pp.110-117
    • /
    • 2014
  • In this study, we objectively determined whether the ReSTOR as a multifocal IOL (intraocular lens) has a multifocal function compared to the IQ as a monofocal IOL in vivo by OQAS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Eighteen patients who had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ReSTOR (27 eyes) and 15 patients with IQ (21 eyes), were included inthis study.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CDVA), 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CDVA),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UCNVA)and distance corrected near visual acuity (DCNVA) were measured. After setting the artificial pupil size to 3 mm, we performed 'Optical quality'. We inputted defocus diopters of (objective spherical refraction)(far), (objective spherical refraction-1.25 D)(intermediate),(objective spherical refraction-2.5 D)(near), and (objective spherical refraction-3.5 D)(very near) into 'selected spherical refraction' simulating the optical quality at far, intermediate, and near distance. We changed the pupil size to 5 mm and repeated the same measurements. The UCDVA and CDV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But, the UCNVA and DCNVA of the ReSTOR group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IQ group (p=0.000, p=0.000). For 3 mm pupil, at far distanc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ut off and point spread function (PSF) width at 50% of ReSTOR were worse than those of IQ (p=0.039, p=0.020). At intermediate distance, MTF cut off, Strehl ratio and PSF width at 50% of ReSTOR were worse than those of IQ (p=0.001, p=0.001, p=0.000). At near distance, MTF cut off of ReSTOR was worse than that of IQ (p=0.033). At very near distance, MTF cut off and Strehl ratio of ReSTOR were worse than those of IQ (p=0.002, p=0.002), but PSF width at 50% of ReSTOR was better than that of IQ. For 5 mm pupil, most parameters at each dist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Only PSF width at 50% of ReSTOR were worse than those of IQ at intermediate distance (p=0.013). It was impossible to show the multifocal function of ReSTOR compared to the IQ byOQAS.

The Prevalence Rate of Tuberculin Skin Test Positive by Contacts Group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ctive Tuberculosis After School Outbreaks

  • Kim, Hee Jin;Chun, Byung Chul;Kwon, AmyM;Lee, Gyeong-Ho;Ryu, Sungweon;Oh, Soo Yeon;Lee, Jin Beom;Yoo, Se Hwa;Kim, Eui Sook;Kim, Je Hyeong;Shin, Chol;Lee, Seung H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4호
    • /
    • pp.349-355
    • /
    • 2015
  • Background: The tuberculin skin test (TST) is the standard tool to diagnose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in mass scree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n optimal cut-off point of the TST+ rate within tuberculosis (TB) contacts to predict the active TB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 in school TB outbreaks. Methods: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was used to identify active TB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initial TST (cut-off, 10 mm). The 7,475 contacts in 89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ident TB group (43 schools) and no incident TB group (46 schools). LTBI treatment was initiated in 607 of the 1,761 TST+ contacts. The association with active TB progression was examined at different cut-off points of the TST+ rate.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3.9{\pm}0.9years$. Thirty-three contacts developed active TB during the 4,504 person-years among the TST+ contacts without LTBI treatment (n=1,154). The average TST+ rate for the incident TB group (n=43) and no incident TB group (n=46) were 31.0% and 15.5%, respectively. The TST+ rate per group was related with TB progression (odds ratio [OR], 1.0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1.050; p=0.037). Based on the TST+ rate per group, active TB was best predicted at TST+ ${\geq}$ 16% (OR, 3.11; 95% CI, 1.29-7.51; area under curve, 0.64). Conclusion: Sixteen percent of the TST+ rate per group within the same grade students can be suggested as an optimal cut-off to predict active TB develop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s TB outbrea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