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oriented curriculum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5초

창의적 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창의성 촉발의 탈중심적 및 사건적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Fusion of Creative Education)

  • 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25
    • /
    • 2015
  •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가 정착되면서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 영역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게 되고 모방형 인재가 아닌 미래성장 동력인 창조적 인적자본의 육성을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환경은 여전히 입시교육 위주의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정책과 학생들의 흥미나 즐거움을 유발하지 못하는 학교교육으로 인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글로벌 지식사회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물론 자유학기제 등을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더불어 학교는 창의적 융합교육 환경을 조성해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지식사회에 상호 관계적 연계성을 중요시하는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이후 현대철학 사상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탈중심적 사유를 통한 창의성 촉발을 중요한 생성론적 특징으로 언급한 철학자 질 들뢰즈의 교육과 공간담론의 개념적 사유로 창의적 교육공간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상호 연관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구조주의적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현대 철학적 사유를 통한 창의적 학교는 구성원들의 탈중심적인 협력 중점의 융합적 교육과정 및 학교 운영의 자율성이 중심이 되는 창의성 교육환경, 즉 환경공간의 속성으로서 다변화적 지원공간, 유동적 실외공간, 연계적 중심공간, 사건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종류 및 규모 공간, 개방적 공간 및 융합적 공간이 다양한 교육공간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짐을 볼 수 있다.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irection and Tasks for Innovating School System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27-136
    • /
    • 2017
  • 이 연구는 다가온 4차 산업혁명시대와 지능정보사회를 맞은 한국 사회의 핵심적 정책 아젠다 중 하나인 학교교육 체제 개혁을 위한 몇 가지 방향과 대안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학교교육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중심 체제이고, 20세기 초반의 공장제식 학교교육의 특징을 굳건히 하면서 획일적 교육 및 학습 관행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교육계 종사자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과도한 추종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지식의 도구화와 학습의 탈맥락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4차 산업혁명기가 요구하는 공감하고 협력하면서도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할 줄 아는 인간을 양성해내는 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혁하기 위한 교육 혁신의 과제로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검토하고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수권체계를 선진형 교사수권체계로 변화시키고, 둘째, 교사의 자율성을 잠식하는 관료적 교사단체제를 해체하고 전문적 교사단 체제를 정립하며, 셋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정에서 교과영역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교원양성교육과정의 철저한 개선이 시급하고, 넷째, 과도한 교육행정관료제의 완화와 함께 교육법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며, 다섯째, 학교교육 지원행정을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만 5세 대상 놀이중심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The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evelopment of a Play-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s)

  • 박지은;홍미선;조정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9-59
    • /
    • 2022
  • 본 논문은 만 5세 대상 인공지능(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AI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사항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ADDIE 모형의 1단계인 분석단계를 중심으로 AI 교육의 교육적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만 5세 대상 AI 교육은 놀이로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유아교육 내용과 AI를 융합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성찰을 반영할 수 있는 AI 교육의 평가도구가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놀이중심의 AI 교육환경 지원 및 유아교사 대상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비교과 교육과정의 AI 교육 등을 고려하여 지속해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향후 만 5세 대상 놀이중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 대상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학습자의 연령별, 단계별 AI 교육 접근방안을 제시할 것을 기대한다.

대학생의 창의융합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교육과정 활동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n-Face-to-Face Wearable Technology Curriculum Activities: Improving Creative Convergence Learn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 이지선;윤은주;김민정;김혜림;임호선;김윤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27-33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과정 활동을 개발 및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서울특별시 A대학 1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5개의 사전연구결과들을 토대로 8차시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교육과정 활동 적용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및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의융합 학습역량 사전·사후 검사와 심층 인터뷰는 유의미한 부분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 향상을 위해 개발된 비대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교육과정 활동의 적용에서 시공간적 비구애성이라는 온라인 학습의 최대 장점과 각 분야 전문교수자들과의 실시간 비대면 질의문답을 통한 상호작용이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의융합 학습역량을 향상시켰다. 이 점은 대학교육에서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대학교육의 고질적 병폐인 전공의 벽을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창의융합 인재육성 및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뉴테크놀로지 적용에 고심하고 있는 현 대학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협동프로젝트 교과과정을 위한 다차원 수행평가지원 시스템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Assessment Support System for Collaborative Project Course)

  • 김지혜;조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45-3652
    • /
    • 2009
  • 프로젝트식 교과과정인 협동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체제적이고 합리적인 평가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결과 지향적인 평가를 벗어나 학습자에게 스스로 문제점에 대해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다차원 수행평가지원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협동프로젝트를 이수하는 모든 과정을 평가함으로써 평가자와 피평가자 모두 평가 결과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행평가의 이해와 적용 (Understanding and adap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 임병빈;연준흠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149-189
    • /
    • 1999
  •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any metho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knowledge that a student possesses. Assessment may influence decisions about grades, placement, instructional needs, and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assessment is to identify how the students think and know, to diagnose the difficulties they face, and to reflect the result of assessment on teaching. But the traditional multiple-choice test failed to evaluate and teach higher-leve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this context, performance assessment is being required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to get better understanding about what the students can do as well as what they know. This article points out some weaknesses of traditional assessments, and comment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 presents mo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and some examples. It is certain that performance assessment is student-centered and future-oriented. But performance assessment can't be the surest and best way of evaluating the students' abilities. We are just on the way of another experimental stage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ology. More supplementary analyses and further improvements are needed.

  • PDF

대학에서의 영문법 교육 (University Grammar of English in Korea)

  • 박승윤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2권4호
    • /
    • pp.537-553
    • /
    • 2002
  •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teaching of English grammar at Korean universities. We first discuss whether English grammar should be taught at universities, and, if it is, what kind of English grammar needs to be taught. We propose that the English grammar we teach to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be eclectic in the sense that the traditional grammar established by Jespersen and others be the major source of instruction, supplemented, if necessary, by school grammar and also by linguistically oriented grammars such as generative grammar or cognitive grammar. Then we discuss the content of the English grammar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 (i) present perfect vs. past, (ii) will vs. be going to, (iii) must vs. have to, (iv) may vs. can, (v) infinitives vs. gerunds, (vi) conative constructions, and (vii) the passive.

  • PDF

환경기초시설을 활용한 환경교육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埋立場을 中心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 Focus on the sanitary landfill -)

  • 곽홍탁;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2호
    • /
    • pp.91-102
    • /
    • 2000
  • N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recommends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survey and discuss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nvestigation of case studies, experiments, role play, and field-experienc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a good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ly sound attitude an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but here has been very limited research concerning models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In this study a kind of such a basic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developed basic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was applied to the case utilizing landfill faciliti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landfill program to the Bangcheon-ri landfill, in Daegu, was also presented with related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ies. And various aspects in the program was discussed.

  • PDF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관한 인식- Q 방법론적 접근 - (Percep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ward Happiness: A Q-Methodological Approach)

  • 조계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8-18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yp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toward happiness.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4 selected Q-statements from each of 41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 Four types of perception of happiness in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Type I is a family support vs. emotion type, Type II is a self satisfaction vs. perception type, Type III is a relation oriented vs. action type, and Type IV is a self regulation vs. belief type.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obtaining happiness by pursuing a satisfactory life through creation of valu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appine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happiness might be included in nursing curriculum.

제7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업성취도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ducat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 노태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13
    • /
    • 2011
  •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implemented in 2004, features student-oriented, selective educational programs with a wide range of optional subjects. In 2005, reflecting this revised National Education Proces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egan allowing individual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s for examination they would like to take. As a result, the deviations of the college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in some subjects have noticeably widened. This study shows academic abilities of the students on some subject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200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th that of the Basic Academic Ability Evaluation Test for freshmen in engineering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Lastly, this paper presents some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better accommodate students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s lower than what is expected by th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