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theory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8초

Analysis of the Program for Training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ocusing on College Curriculum

  • Ahn, Yumin;Shin, Yoonj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404
    • /
    • 2020
  • This study identified and examined earth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programs in Korea. Major courses provided by 11 universities and their course requirements were analyzed,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basic courses, other major requisite, and elective courses are provided in geology, astronomy, and atmospheric science. oceanography, geophysics, earth environmental science, and natural disaster and energy resources had fewer major requisite courses provided in addition to basic courses, and few elective courses were offered. Second, many course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earth science, while others focused on general science and there were few courses that covered education theory regarding the specific subject. Third, science course application requirements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in general or of earth science specifically. From the above results, additional studies are proposed to reflect on the current state and supplement these programs.

헬리콥터 비행교육 과정에서 비행훈련과 모의비행훈련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between Flight Training and Flight Simulator Trainingin Helicopter Flight Training Course)

  • 나유찬;조영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3
    • /
    • 2022
  • As the demand for simulated flight training and interest in new technology training increase,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flight simulator training and actual flight training subjects to confirm efficient flight simulator training curriculu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flight simulator trai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flight training performance and in particular had a relatively large effect on the air maneuver, traffic pattern, cross country flight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oretical major classes that affect flight simulator training to verify the correlation, found that principle of air navigation, air traffic service, and helicopter flight theory were affected in ord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iculum and ground lesson that should be focused on effectively performing flight simulator training in the helicopter private pilot course.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Curriculum with Changing Curriculum Development Perspective)

  • 유태명;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9
    • /
    • 2009
  •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이 수용되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수업에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지원 체계가 요청된다. 본 연구자는 가정과 교사의 혁신역량 강화와 교실수업 능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차원의 연수가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안한 바 있다(이수희 유태명, 2008).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직전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그리고 평가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비하고 동시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질 높은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강의를 위한 원고를 집필하고 실습 및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를 개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서 2008년 1월 21에서 29일 기간 중 4일의 오프라인(30시간)과 별도로 1월 23일에서 27일까지 5일의 온라인 활동으로 구성된 연수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4명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단원을 고려하여 6팀으로 구성하고 멘토교사를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단계에서 연수 참여자로부터의 서면평가와 집단면담, 전문가로부터의 서면평가를 통해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를 받았다. 연수 참여자는 연수내용, 강사 및 운영방식에 만족하였으나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였다. 개인적인 수업설계의 기회를 원하는 연수 참여자도 많았다. 전문가의 경우 연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설계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용어의 통일, 내용구성의 순서, 실습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의 제안과 평가 내용은 연수교재의 수정 보완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실제적 도움이 되었다.

  • PDF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기반으로 (Development of Regional Problem Solv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 최용석;박종석;백보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87-203
    • /
    • 2022
  •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환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우리 사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지역문제에서 기회를 발견하고 창의적 도전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청년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로 상업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지역문제 해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 모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을 적용하였으며, 총 10인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역량 모형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델파이 방법론을 추가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23개의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이 확정되었으며, 역량별 지식(K)-기술(S)-태도(A)는 각각 5개, 9개, 9개로 구성되었다. 이를 Dunham의 문제해결 6단계 모형에 적용하여 Phase 1 문제 발굴, Phase 2 문제 분석, Phase 3 계획, Phase 4 조치, Phase 5 평가 순으로 모듈식 학습지원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자안된 이론적 모형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및 학습지원책을 개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직업교사 전문화 및 직업과학 학과발전에 기반한 중국 직업교육 교사양성 전망 -UNESCO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표준'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fostering of china based on vocational teachers specialization and vocational disciplines)

  • 유자룡;조지군;남승권;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0-8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직업교육 교사 양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표준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4년 UNESCO에서는 국제학술 교류를 촉진할 뿐 아니라 교사와 훈련지도자 등 직업교육 및 훈련 영역 전문 인원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 표준'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르면 교육과정 표준을 도입한 대학교는 전문 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하며, 다른 학교의 상황 및 학생 능력과 학력인증체제 등의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표준은 국제 직업교육과학 발전의 최신 경향을 포함하며 아울러, 한 국가 내의 여러 고등학교 간에 혹은 여러 국가의 고교 간에 연합교육 학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UNFSCO는 교육과정 표준을 통하여 직업교육 학습이론과 직업과학 등 직업교육 기초학과의 교육학습과 연구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하며 직업교육의 교사소양을 제고하고 직업교사의 전문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 직업교육 석사과정을 설치한 대학교는 20여 개이며, 매년 모집하는 학생의 수는 2,000여 명이다. 각 대학의 직업교사 석사과정 계획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및 교육학습과 같은 실제적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 대한 설치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표준에서는 응용 이론의 교육 학습과 연구를 보다 중요시하고, 구체적 영역에 대한 실천과 교육 학습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 표준과 관련된 선진국의 앞선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중국 직업교사 양성모델과 학과 체계의 탐색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중국 직업교사 양성과정의 전공 및 교육과정 설치에 유용한 여러 가지 점을 시사해 준다.

  • PDF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분석 연구 (A study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restructure the theological college curriculum)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7권
    • /
    • pp.63-84
    • /
    • 2024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현장에서 신학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의 반성적 성찰과 교회와 사회 속에 영향력 있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현재 신학대학의 학부와 신학대학원, 신학석사, 신학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 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발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설문 참여자 중 무작위로 6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설문결과 첫째,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는 6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목회 실천적 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77.5%인데 반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에서 목회 실천적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45.5%로 필요성을 인식한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신학교육과정이 미래 사회를 위한 목회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73.7%가 부정적인 응답을 했다. 마지막으로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시급하게 변화되어야 할 것에는 신학교육내용, 신학교육방법, 신학교육목적 순으로 조사됐다. 결론 및 제언 : 대전환의 시대 속에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변화의 물결 앞에 신학교육과정도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변화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신학교육과정은 이론 중심의 지식 전달에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러나 새로운 시대의 신학교육은 대전환 시대 속에서 교회와 목회자가 역동적으로 살아낼 수 있는 목회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회 현장과 맥랑성을 가질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중심의 교육과정과 방법론에서 다양한 목회 문제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주의 기반의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대전환 시대 속에 변화되는 목회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천중심적 신학교윢과정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A Case Study of Disaster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PDCA Theory

  • Shin, Dong-Wo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245-256
    • /
    • 2021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by applying PDCA's theory by subdividing it into a case analysis technique for construction sites by PDCA's theory. For this study, acciden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each type of disaster in the construction site were considered, and safety accidents were reduced through the PDCA theory through prior research.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derived improvement plans by applying PDCA techniques to plan, implement, confirm, review, and improve disaster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plan, first of all, measures shall be taken to prepare a safety management plan, to verify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and to verify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by the field manager. In the implement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afety education history system to strengthen the safety education curriculum to suit the site, as long-term work is impossible for field workers depending on field condition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stallation of safety facilities, including "work scaffolding" and "conducting prevention facilities" at construction sites. In management review and improvement,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needs to be expanded first°.

의과대학생을 위한 체제적 진로상담 모델과 전략 (A Systematic Career Advising Model and Strategies for Medical Students)

  • 이영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193-204
    • /
    • 2022
  •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medical schools is to support medical students in deciding upon their future career path or choosing their speci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eer advising model and strategies for medical students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ntroduces some main career theories: super's career development theory, career decision-making theory,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ecosystem theory. The second part proposes a systematic career advising model using the results acquir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is model considers a medical school as a social system that consists of two domains (internal and external). This social system is considered as a complex where various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policies and culture, curriculum and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perceived specialty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healthcare systems. The third part suggests some career advising strategies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that medical schools can apply.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for designing career advising courses for medical students, integrating various career advising programs and resources of medical schools, and evaluating the outcomes of career advising programs at an institutional level.

Linking Social Network to Education: The Potentials and Challenges

  • RHA, Ilju;BYUN, Hyunjung;KIM, Younyoung;HONG, Seoy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1-25
    • /
    • 2012
  •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Social Network Sites or Services (SNS), it has quickly gained popularity with more than seven hundred million users all over the globe. The SNS emerged as one of the strongest cultural influences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SNS would provide both chances and challenges for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was to explore the way education react and adapt to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 and SNS. It tried to provide major theoretical grounds that bridge education and social network. In the due process, the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sruptive and sustainable aspect of SNS technology. Consequently, four major theoretical ground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Gibson's theory of affordance, Vygotsky's social constructivism, Rha's human visual intelligence theory, and the network theory. By investigating these theories, the educational potentials of social network and SNS were emerged. The SNS was viewed as a new medium with abundant potentials of expanding the learning space, empowering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ing, and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group intelligence. Finally, some future implications and challenges of SNS were suggested.

프레이리(Freire) 교육론이 중등학교 가정과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실천방안 (Implications of Freire's Education Theory and Corresponding Action Plans for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현진;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07-42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Freire's education theory for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HEedu). We conducted a review of books written by Freire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education theory into 9 categories. Based on these categories, we concretely explored the forms in which Freire's education theory could be applied in this area of educ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Home Economics (HE) teachers. We also searched for activities that can be carried out by HEedu agents and the support that can be given by social institutions. The implications of Freire's education theory for HEedu are that education should exhibit love and respect for human beings, be ethically and democratically responsible, enable people to dream as well as hope, support consciousness and praxis by reflection, stimulate epistemological curiosity in learners' lives and experiences, promote subjectivity, autonomy and self-reliance, engage in dialogue to bring about a change in relationships rather than viewing dialogue as a skill, and stimulate political engagement. Freire's education theory therefore has multiple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mission, and content of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perspectives, and directions regarding the role of HE teacher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in developing a persuasive curriculum for HEedu that can help learners restore subjectivity and love for human beings and their society by expanding the horizons of HEedu philosophy from the critical science of Habermas to Freire's educa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