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pear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Lipid Components of the Cultur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in Korea

  • Moon Soo-Kyung;Kang Ji-Yeon;Kim Kyeong-Dae;Kim In-Soo;Jeong Bo-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89-194
    • /
    • 2005
  • Protein,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cluding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HUFAs), were analyzed in the soft parts, which we differentiated as the adductor muscles and 'other portions,' from the cultured pearl oyster after the pearl was harvested and before the nucleus was graf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ies of the soft parts. Total lip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1.25-1.26\%$) than in the adductor muscles ($0.58­0.65\%$) in both pearl oyster samples, whereas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latter ($15.5­18.7\%$) than in the former ($11.2-13.9\%$; P<0.05). The percentage of total lipids (TLs) consisting of phospholipids (PLs) was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60.4-68.3\%$) than in the other portions ($40.6-47.0\%$), but the percentage of nonpolar lipids (NLs)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The prominent lipid classes were free sterol (FS) and triglyceride (TG) in the NLs and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Ls. The adductor muscles contained high levels of FS and all PL classes, while the other portions contained high levels of all NL classes, especially TG (but not FS; P<0.05).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22:6n-3 ($17.2-24.9\%$), 16:0 ($8.35-15.8\%$), 20:5n-3 ($7.95-14.9\%$), 18:0 dimethyl acetal (DMA, $4.79-13.5\%$), 18:0 ($4.50-6.16\%$), and 20:4n-6 ($4.36-5.43\%$). The percentages of 22:6n-3, 20:4n-6, and 18:0 DMA were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than in the other portions of both pearl oyster samples, while those of 20:5n-3 and 16:0 were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P<0.05). The levels of these food compon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or were higher, especially the protein content, indicating that the soft parts of pearl oysters, which are currently wasted, have food value.

경남 통영 해수양식진주의 광택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Mineralogical Studies on Luster of Seawater Cultured Pearls, Tongyeong, Korea)

  • 조현구;김순오;도진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6
    • /
    • 2015
  • 통영산 해수양식진주를 광택과 모양에 따라 광택이 좋고 둥근(LR; Luster Round) 진주, 광택이 나쁘고 둥근(LLR; LackLuster Round) 진주, 바로크(LLB; LackLuster Baroque) 진주, 이핵(LTN Lackluster Two Nucleus) 진주로 세분하여 비중 측정, 현미경관찰,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관찰 등을 통해 진주의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택이 좋은 진주는 광택이 나쁜 진주에 비해 비중이 약간 낮았지만 모두 상업적인 진주의 비중 내에 포함된다. 진주층 단면의 두께는 광택이 좋고 둥근 진주는 0.3 mm 정도로 균질한 반면, 광택이 나쁘고 둥근 진주는 각각의 진주층 두께는 균일하나 광택이 좋고 둥근 진주에 비해 두께가 얇다. 이핵 진주와 바로크 진주는 한 진주 내에서도 진주층 두께 편차가 상당히 큰 경향을 보였다. 진주의 표면은 광택이 좋은 진주가 광택이 나쁜 진주에 비해 아라고나이트 결정의 성장선이 좁고 선명하다. 광택이 좋은 진주는 광택이 좋지 않은 진주보다 아라고나이트 결정층의 결함이 적으며 배열이 평행하며 두께가 더 얇고, 표면과 내부에서 두께 차이가 작다. 능주층이 있는 경우 능주층과 진주층에서 아라고나이트 이외에 방해석이 포함되며, 광택이 나쁜 경우 방해석 함량이 매우 높다. 능주층이 없는 진주에서는 광택 여부에 상관없이 방해석이 없고 모두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감마선 조사된 남양진주의 검지 II (Detection of gamma irradiated South Sea cultured pearls II)

  • 최현민;이보현;김영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5-169
    • /
    • 2012
  • 방사선 조사된 남양진주는 광투과 검사, 확대 검사, 형광반응 검사 등의 보석학적 검사방법으로는 감별이 어렵지만, ESR 분석을 통해 조사된 남양진주와 조사되지 않은 남양진주의 감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른 $CO^-_2$ radical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주층과 핵을 분리하여 분석하였으며, 핵보다는 진주층에서 $CO^-_2$ radical이 더 명료하게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수용액중의 Rhodamine 6G 염료의 콘키오린 층에 대한 흡착평형 (Adsorption Equilibrium of Rhodamine 6G onto the Conchiolin Layer from Aqueous Solution)

  • 신춘환;송동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195-1201
    • /
    • 2005
  • In order to develop a dye coloring technology on Conchiolin layer in cultured pearls, appropriate dyes were selected, their solubilities in various solvents were studied, and adsorption and de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Solubilities of several basic dyes known to suitable for the pearl coloring, i.e., Rhodamine 6G(R6), Rhodamine B(RB) and Methylene Blue(MB), in several solvents (distilled water,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were investigated. Among these dyes, R6 was chosen as a dye for single component adsorption and desorption experiment due to the relatively good solubility in various solvents tested. Solubilities of dyes were judged to be enough to color the pearls since dye concentrations in pearl coloring are, in general, not so high. The internal surface area of the pearl layer is believe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dye adsorption, the single-point internal surface area of the pearl layer measured at the nitrogen relative pressure of 0.3 was found to be $0.913m^2/g$, and the BET internal surface area, $1.01m^2/g$ The most probable diameters of micropores and macropores were found to be $40{\AA}$and $5000{\AA}$ respectively, from the pore size distribution data. Adsorption isotherm was well fitted to the Langmuir isotherm model, resulting in q=$\frac{1.62C}{1+1.09C^{.}}$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약 및 조직배양 반응 (Response to Anther and Tissue Cultures of Corn, Pearl Millet and Buckwheat Genotypes)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2-146
    • /
    • 1989
  •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약 또는 조직배양기술의 향상을 위한 유전자형 및 문제점들을 찾아내어 개선하기 위하여 1988년 작물시험장 약 및 조직배양 연구실에서 실시한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약배양에서 FR1141/FR16 교잡종이 N6배지에서, Fla 2BT 73/S 6013 교잡종은 5$^{\circ}C$에서 7일간 저온전처리를 한 후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callus가 형성되었으나 27 공시 교잡종의 전체 37,450 약중에서 단지 두 개만이 callus가 형성되었다. 2. 옥수수 수원 19호의 미숙배를 MS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모두 callus가 형성되었으며 이 callus로부터 녹색체 분화율은 8.6%이었다. 3. 옥수수 수원 99호 등 20품종의 미숙웅수배양에서는 FR1141/FR16, B68/A116N//KS15, KS16/KS17, Ga209/DN578, SDB126/Ga209 교잡종 등에서 callus 형성율이 비교적 높았다. 4. 진주조$\times$Napier grass 종간교잡종의 조기배양에서 간의 조기ㅐ양에 적합한 절간신장부위의 절편크기가 2.5~4.0mm 이었고 callus 형성율이 50~100%로 비교적 높았다. 5. 메밀 신농 1호 식물체 분화율은 27%이었다. Epicotyl에서 유도한 callus에서 1개 식물체가 분화하였다. 6.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유전자형$\times$배지 및 환경 상호작용이 있어 유전자형에 따라서 약 및 조기배양반응이 크게 달랐다.

  • PDF

UV-Vis와 ED-XRF를 이용한 자연 색상의 담수 흑 양식진주 분석 (UV-Vis and ED-XRF Analyses of Natural Black Colored Pearls from Freshwater Cultured Shells)

  • 김혜연;박종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3-251
    • /
    • 2008
  • 진주의 감별기법상 UV-Vis의 흡수 스펙트럼 분석과 반사율 분석은 흑진주의 색깔이 자연 그대로인지 아니면 처리에 의한 결과인지를 구별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ED-XRF을 이용한 미량 원소 분석은 진주가 해수산인지 담수산인지 여부와 은염 또는 염색 처리 유무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염 또는 염색 처리되지 않은 여러 종류(담수양식진주, 아코야양식진주, 타히티흑양식진주)의 진주에 은염처리를 한 결과, 은 이온 고유의 스펙트럼이 진주 고유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주어 UV-Vis흡수 스펙트럼이 변화되었다. 또한 반사율도 은염처리하기 전보다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연 색상의 타히티흑양식진주의 경우 400 nm, 500nm, 700 nm의 고유 흡수 스펙트럼을 갖고 있었으며, 자연색상의 담수흑양식진주의 경우 380-400 nm, 480-500 nm 두 개의 특징적인 흡수 스펙트럼으로 나타났다. 자연 색상의 담수흑진주에서는 자연 색상의 타히티흑진주와는 달리 700nm의 흡수 스펙트럼이 관찰되지 않았다. 직접 은염처리한 진주 9 개를 ED-XRF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진주 층에 침투된 은의 함량이 점차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중에서 구입한 흑진주 18 개를 분석한 결과, 은 이온의 상대 함유량이 약 0.1%를 경계로 은염 또는 염색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아코야 진주의 양식 및 특성평가 (The cultiv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koya pearls)

  • 박라영;김판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2-156
    • /
    • 2005
  • 아코야 진주의 양식은 수산화아파타이트로 제조한 바이오 진주핵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양식된 아코야 진주는 대부분 크림색을 나타내었으며, 다양한 진주층에서 빛의 활동으로 인한 광택과 오리엔트효과는 매우 뛰어났다. 진주층은 아라고나이트형 탄산칼슘임을 XRD 분석 결과로부터 알았다. 그리고 SEM 관찰 결과, 아라고나이트형 탄산칼슘과 콘키올 린은 규칙적인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바이오 진주핵을 이용하여 양식한 아코야 진주의 특성은 섭 조개로 만든 진주핵으로 양식한 아코야 진주와 동일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바이오 진주핵은 진주의 크기, 형상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코야 진주의 양식에 매우 유리하다.

감마선 (Co-60) 조사에 의한 진주 핵의 영향 (Effects of ${\gamma}$-Ray Irradiation on the Color of Pearl Nucleus)

  • 김혜연;민봉기;정우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7-252
    • /
    • 2011
  • 감마선 (Co-60)의 처리 유무에 따른 진주의 영향을 연구하고자 진주 핵의 색 변화를 분석하였다. 담수산 조개로 만든 진주 핵에 감마선 (Co-60) 을 조사하게 되면, 진주 핵의 색은 조사선량에 따라 갈색에서 흑갈색 내지는 검은 회색으로 변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Co-60) 을 조사하지 않은 진주 핵 2개와 선량별로 조사된 4종류의 진주 핵 8개를 분석 재료로 사용하였다. UV-vis에서는 선량별로, 육안으로 확인되는 진주 핵의 컬러 변화 분석을 한 결과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반사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고, X-선 회절분석에서는 감마선 (Co-60) 의 조사선량이 증가하여도 진주 핵의 결정구조가 변하는 것은 관찰되지 않았고 결정성 (crystallity) 이 높아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전자스핀공명분석으로는 처음으로 진주 핵의 감마선 (Co-60) 조사여부를 증명하였다. 감마선 (Co-60) 이 조사되지 않은 천연 핵에서는 대칭적인 ESR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감마선 (Co-60)이 조사된 진주 핵에서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특징적 비대칭의 스펙트럼과 g-value를 갖고 있어 천연의 핵과 조사된 핵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 (Co-60)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비대칭성이 높아지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Co-60) 처리 유무에 따른 진주의 색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진주 핵의 색 변화에 대한 원인 규명 및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Enhancement of flood stress tolerance for upland-adapted cereal crops by the close mixed-planting with rice

  • Iijima, Morio;Awala, Simon K;Hirooka, Yoshihiro;Yamane, Koj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44-44
    • /
    • 2017
  • Recently, the occurrences of extreme flooding and drought, often in the same areas, have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wetland species could help upland species under flood conditions; that is, the roots of wetland crops may supply $O_2$ to the roots of upland crops by a series of experiments conducted in both humid Japan and semi-arid Namibia (See Iijima et al, 2016 and Awala et al, 2016). Firstly, flooding tolerance of upland-adapted staple crops-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and sorghum (Sorghum bicolor) mix-cropped with rice (Oryza spp.) was investigated in glasshouse and laboratory experiments in Japan. We found a phenomenon that strengthens the flood tolerance of upland crops when two species-one wetland and one drought tolerant-were grown using the mixed cropping technique that results in close tangling of their root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close mixed-planting". This technique improved the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of the upland crops subjected to flood stress ($O_2$-deficient nutrient culture). Oxygen transfer was suggested between the two plants mix-cultured in water, implying its contribution to the phenomenon that improved the physiological status of upland crops under the simulated flood stress. Secondly, we further tested whether this phenomenon would be expressed under field flood conditions. The effects of close mixed-planting of pearl millet and sorghum with rice on their survival, growth and grain yields were evaluated under controlled field flooding in semi-arid Namibia during 2014/2015-2015/2016. Single-stand and mixed plant treatments were subjected to 11-22 day flood stress at the vegetative growth stage. Close Mixed-planting increased seedling survival rates in both pearl millet and sorghum. Grain yields of pearl millet and sorghum were reduced by flooding, in both the single-stand and mixed plant treatments, relative to the non-flooded upland yields, but the reduction was lower in the mixed plant treatments. In contrast, flooding increased rice yields. Both pearl millet-rice and sorghum-rice mixtures demonstrated higher land equivalent ratios, indicating a mixed planting advantage under flood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x-planting pearl millet or sorghum with rice could alleviate flood stress on dryland cereal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with this cropping technique, rice could compensate for the dryland cereal yield losses due to field flooding. Mixed cropping of wet and dryland crops is a new concept to overcome flood stress under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