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containe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5초

소규모 재배상을 이용한 생동충하초 재배 (Cultivation of Paecilomyces tenuipes using Mini-kit, small culture container)

  • 남성희;이광길;여주홍;이희삼;황재삼;최영철;박관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6-121
    • /
    • 2012
  • 신선한 생동충하초를 소규모 용기에서 재배, 유통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소규모 재배상인 미니키트를 선발하고 장기간 보존 및 유통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최적 재배 조건을 구명하였다. 미니키트는 몸체가 투명한 PET, 뚜껑은 PP 재질로 구성되며 350 ml 용량으로 높이 ($H:82mm{\times}W:75mm$) 용량의 밀폐형으로 구성되며 단위 당 투입 감염 번데기 수는 15~20개체 재배가 적합하였다. 미니키트 내 동충하초 생산은 총 53일이 소요되며 키트 내에서 자실체 생장기간은 15일이었으며, 배양은 온도 $22^{\circ}C$ 하에서 생산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미니키트 동충하초의 저장력은 냉장처리 14일까지 신선도를 90%로 유지하였다. 현재까지 농가 및 소비자로부터 동충하초의 소량확보 및 생동충하초의 유통에 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실에 맞게 미니키트 동충하초는 생초로 유통하는 것이 주요 특징으로 밀폐용기를 적용함으로써 오염방지 및 위생적 관리가 가능하며 동결건조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공정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미니키트는 일반소비자로부터 생동충하초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식품소재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tatistical Location Estimation in Container-Grown Seedling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 Lee, Sang-Hyun;Moon, Kyu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15-18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sensor location decision making method respect to Container-Grown Seedlings in view of precision agriculture (PA) when sensors involved in tree container measur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or time-of-arrival (TOA) between themselves and neighboring sensors. A small fraction of sensors in the container-grown seedlings system have a known location, whereas the remaining locations must be estimated. We derive Rao-Cramer bounds and maximum-likelihood estimators under Gaussian and log-normal models for the TOA and RSS measurements, respectively.

웹이미지 분석을 통한 모던 한식 메뉴 푸드스타일링 연구 - 미쉐린가이드 서울 2020 스타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odern Korean Menu Food Styling through Web Image Analysis - Focusing on the Michelin Guide Seoul 2020 Star Restaurant -)

  • 류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8-552
    • /
    • 2020
  • Tis study was an attempt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food styling using the menu image photos of the Michelin Guide Seoul 2020 restaurants. The first sampling was conducted on the 27th of March 2020 and the second on the 27th of October 2020. A collection of images on the web and 442 photographic cases obtained by a search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literature and research papers were studied by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irst, the food styling content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at, the food styl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us of 11 restaurants in Korea including the contemporary restaurants were considered. The analysis revealed several aspects of Korean food styling. First, food styling appeared to have three major characteristics: color, shape, and container styling. Color styling was further subdivided into single color/similar color, color contrast, source type, and accent color type. The shape/formative styling was classified into figure type, shape type, accessory type, and garnish type, and container styling was categorized as container color type, container shape type, and container material type. Second, the modern Korean food color styling characteristics of Michelin restaurants were categorized in the order of monochromatic/similar type, sauce type, accent color type, and color contrast. In the formative styling category, it was categorized in the order of shape type, small piece type, garnish/garnish type, and figure type. In container styling, container material type and formative type accounted for the major portion of the category. The food styling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Korean menu were systematized and image examples were presented visually. Please use it as food styling educational material or personal food styling skill.

Design and Simulation of RFID Tag for Container-Grown Seedlings System

  • Lee, Sang-Hyun;Kim, Kyu-Ha;Jeong, Byeong-S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292-299
    • /
    • 2022
  • In precision agriculture (PA), the differences of the agriculture related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soil moisture among different fields are considered and analyzed to precisely utilize water, pesticides, fertilizer, seeds, etc. in fields. Hence,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fit, reduce waste and maintain quality products. This paper suggests a framework for RFID sensor network in view of PA, especially, associated with Container-grown seedlings(CGS), and presents the analysis and simulation by using Ultra High Frequency (UHF) RFID tag system. The simulation is divided in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part using Matlab/Simulink. The architecture of the model is flexible to achieve different modulation and encoding types. Finally, som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presents.

시설양묘과정에서 용기에 따른 편백 유묘의 생장 특성 변화 (Container Types Influence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 Growth During Nursery Culture)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56-563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양묘과정에서 편백 용기묘(2-0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용기의 구 용적 및 생육밀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용기 20구(400 mL/구, 150본/$m^2$), 24구(320 mL/구, 200본/$m^2$), 35구(240 mL/구, 260본/$m^2$)에서 편백의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용기에 따른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20구 용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지만, H/D율과 T/R률은 용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단위 면적 당 총 물질생산량은 35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20구와 24구 용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H/D율과 T/R률을 제외한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용기 구 용적과는 정의상관관계, 생육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양묘 단계에서 편백 2-0묘는 20구(400 mL/구, 150본/$m^2$) 용기가 적정 규격으로 판단된다. 편백 2-0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의 선정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우수한 조림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굴(Crassostrea gigas)의 선도 변화에 포장용기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ackaging Container on the Freshness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 윤나영;안병규;인정진;한형구;이우진;서정화;정삼근;심길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3-77
    • /
    • 2022
  • The shelf life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wo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containers, polyethylene (P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pH, glycogen and soluble protein content,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After 7 days of storage, the pH of the packing water in the PE container decreased to 5.88, while the pH in the PET container decreased to 6.03. In the PE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85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927.21 mg/100 g and 3.24 McF, respectively. In the PET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96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674.75 mg/100 g and 0.98 McF, respectively. The reaction rate constants (K) were as follows: glycogen content, -0.18 (PE) and -0.10 (PET); soluble protein content, 0.29 (PE) and 0.26 (PET); and turbidity, 0.41 (PE) and 0.06 (PE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T can be used as a new packaging container material for raw oysters because the quality is maintained and it offers more convenient handling during distribution.

사과 '후지'의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에 효율적인 배양방법 (Optimal culture methods for plant regeneration via shoot organogenesis in the 'Fuji' apple)

  • 이윤경;권영주;양용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76-182
    • /
    • 2023
  • 사과 '후지'의 잎 절편체로부터 신초 기관형성을 통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생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암처리 기간, 전처리 방법, 배양 용기당 치상 절편체 수, 배양 용기의 종류와 배지 위의 절편체 치상방향 등을 달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 초기 암조건에서의 배양은 신초 형성에 필수적이며, 4주 동안 배양한 후 명조건으로 옮겨 배양하는 것이 신초 재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배양 전 전처리로는 sorbitol 40 g/L가 포함된 액체 재생배지에 2시간 동안 침지하였을 때 신초 형성율이 87.5%까지 증가하였으며, 신초 형성 시기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용기당 치상 절편체 수는 9개를 치상하는 것이 신초 재생에 효과적이었으며, 배양 용기는 100 ml 삼각플라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petri dish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신초 형성율이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잎절편체의 배지 위 치상방향은 배축면이 배지에 닿게 치상했을 때, 신초 형성율과 재생된 신초수가 다소 높게 나왔다. 암조건에서 4주간 배양한 후 명조건으로 옮겨총8주간 배양하여 재생된 신초는 1/4 MS에 0.2 mg/L의 IB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을 유도한 후 활착시켜 온실에서 재배하였을 때 정상적인 표현형을 보여주었다.

전복과 해삼 수하양식을 위한 복합사육기의 생산력 분석 (Analysis of Productivity of a Polyculture Container for Suspended Rearing of Abalones and Sea cucumbers)

  • 남명모;이주;문태석;김수경;황진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3-330
    • /
    • 2011
  • 동해안 일대의 양식자원 증식과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남해안 일대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전복양식을 동해안 일대로 넓히기 위해서 수심이 깊고 파고가 높은 동해안 지역에 맞는 전복과 해삼 복합사육기를 개발하고 복합사육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양식 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전복해삼복합사육기에 각장 5 cm 전복 500마리와 7-9 cm 해삼을 50, 75, 100마리로 각각 넣어 실험한 결과 해삼 적정수용능력은 13-18마리/$m^2$로서 사육기당 52-72마리가 적절하였다. 수용량에 따른 생화학적 건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복합사육기에 각장 5 cm 전복 300마리와 500마리를 각기 달리 수용하고, Reflotron kit를 이용하여 GOT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와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를 조사하였으며, 전복과 해삼을 함께 사육하여 RNA/DHA ratio와 DNA 및 RNA contents (ug/mg) 를 조사한 결과, 전복 단독구와 복합사육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P > 0.05) 전복과 해삼을 함께 양성하더라도 해삼이 전복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개발한 전복해삼 복합사육기와 남해안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복 사육기의 생산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하식으로 8개월 동안 실험한 결과, 자체 개발한 복합사육기에서 양식한 전복과 해삼이 성장이 빨라 전복해삼복합사육기가 동해안 일대의 양식사업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컨테이너 건축물의 계획특성 및 활용방안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s of Container Architecture in Seoul and Kyunggi Area)

  • 길빛나;김미경;문영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01-20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t's applications of container architecture in Seoul and Kyunggi Area. A document research and field survey were us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architecture since 200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ritical review, this research proposed a framework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container architecture for sustainable and flexible planning. The framework wa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such as flexibility, rapidity, sustain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types of space construction were dynamically self-erecting structure, incremental structure, mobile and disposable architecture. The spacial aspects were commercial spaces, housing spaces such as dormitory and urban compact apartments, and the multi-purpose spaces such as gallery and culture space as well as temporary spaces.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 of flexibility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Growth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Pupr, et Max.) Seedlings as Affected by Container Types and Volumes)

  • 윤택승;임지영;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양묘 용기에서 직근성 수종인 찰피나무 유묘의 생육상황 및 뿌리발달 형태를 탐구하기 위하여 5개월 간 플라스틱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용기묘의 수고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근원경 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에 영향을 끼쳐 묘목의 뿌리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전체 지하부의 건물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묘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플라스틱망 용기는 찰피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용기에서 생산된 묘목은 다양한 식재지 환경에서 식재될 경우 활착율 증가는 물론 생장율 증가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