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Heritage Design Busines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문화재의 전통조경설계용역 발주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rdering Status of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Service in Cultural Heritage)

  • 김민선;김충식;이재용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41
    • /
    • 2021
  • 문화재 설계용역을 수급하기 위해서는 현행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제5조(문화재수리 및 실측설계 제한)에 따라 건축사가 운영하는 문화재실측설계업자만 입찰에 참가할 수 있고, 전체 설계에서 일정 비율이나 금액의 전통조경설계가 포함된 경우 조경기술자가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법의 실측설계 제한에 대한 문제점은 2010년 제정 당시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정부기관에서 발주한 1037건의 문화재실측설계용역을 분석하여 전통조경설계가 차지하는 규모(발주건수, 설계금액)를 파악하고, 주요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조경설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 문화재실측설계용역에서 전통조경설계의 발주건수는 연간 차이를 보였으나, 설계금액은 연평균 근사(近似)하게 나타나 매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설계에서 3년간 조경기술자의 책임 또는 참여가 요구된 전통조경설계의 건수는 약 26%의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조경설계는 건축사로 구성된 문화재실측설계업자가 대체할 수 없는 조경기술자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요구되었다. 전문성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기반조성 공사를 위한 지형설계는 땅의 형상과 높낮이에 대한 이해, 토공량 계산, 유구정비기법 등에 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었다. 식재공사를 위한 설계는 수목의 생육특성과 생육환경에 대한 기본지식과 과거 식생경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한편, 전통포장 및 전통조경구조물과 시설물공사를 위한 설계는 전통 재료와 가공 및 시공기법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였다. 계곡, 하천 등 수체계 정비를 포함하는 생태조경공사를 위한 설계는 물길과 생태계의 변화, 유체(流體)의 원리, 유체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었다. 이 밖에 문화재지정구역 또는 보호구역과 등록문화재 내 공원조성 및 주변정비를 목적으로 시행된 복합설계는 문화재공간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상시로 이용하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조경공간의 설계 능력이 겸비되어야 했다. 이처럼 전통조경설계는 전체 문화재 설계의 약 1/4을 차지하는 규모이며 설계에서 타 분야와 차별화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이는 현행 법령의 실측제한관련 조항을 개선하여 모든 전통조경설계를 조경기술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기술자가 직접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통조경설계업체의 신설 필요성을 시사한다.

정부기능분류체계(BRM)의 재정비를 위한 사례연구 - '문화재' 정책영역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Standard of Government Function Classification (BRM):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Area)

  • 남서진;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63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업무참조모델(BRM)인 '정부기능분류체계'의 도입에서 개발 적용에 이르기까지의 행정연혁을 통하여, 정부기능분류체계의 본래 개발목적과 의도를 밝혀내고, 현재 정부기능분류체계에서 관찰되는 문제점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현행에서 드러나는 정부기능분류체계의 문제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정부기능분류체계의 현황조사는 정책영역 '문화재' 영역(대기능 9개, 중기능 59개, 소기능 297개와 단위과제 1,287개)을 대상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분류체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 간에 분절된 현상과 그밖에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대표하는 '문화재 지정' 등의 4가지 사례를 통해 개선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재정비를 위하여, 업무재현성을 갖춘 업무기능의 설계, 업무기능의 일관성유지를 위한 관리와 운영에 있어서의 제도마련, 이용자의 사용촉진을 위한 교육,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U-불국사 : 실시간 온라인 화재조기감지시스템 (U-Bulguksa: Real-Time and Online Early Fire Detection Systems)

  • 주재훈;임재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5-93
    • /
    • 2007
  • 본 연구는 900MHz와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각각의 센서노드를 무선개인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불국사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화재조기감지시스템을 구축한 결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문화재관리를 위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문화재관리에서 필수적인 화재감시 및 조기탐지를 위해 적용한 U-불국사의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이 사례는 U-불국사의 실현이라는 시간에 따라 변형 또는 훼손되는 각각의 유형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온라인으로 입수하여 이를 토대로 과학적으로 문화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인 U-문화재관리와 이들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를 현장에서 휴대 단말기로 제공해 주는 U-관광 프로젝트의 초기단계로서 수개월간의 시험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 PDF

CROSS-BORDER INNOVATION: THE EFFECT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 Jiang, Taijun;Jin, Shanyue;Jin, Xuehu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9
    • /
    • 2021
  • Focusing on China's profound historical/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ts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expansion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CCIs), this paper considers the unique attributes of Chinese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MCCPs) from the angle of cross-border development, and summarizes the main forms and effects of cross-border innovation in relation to Chinese MCCPs. It also examines the chief problems of Chinese MCCPs' cross-border growth at three levels - the national policy system,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and marketing - to explor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cross-border novelties and the advancement of products.

화순 운주사의 문화원형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by Using Prototype of Hwasun Unjusa)

  • 정형호;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2호
    • /
    • pp.100-114
    • /
    • 2009
  • In Honam province, the cultural prototype are largely unknown to the people, also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are scarce, the artistic excellence, somewhat under evaluated, both in our country and internationally. It is imperative that we develop the modern design using this prototype. thereby apply it to many areas of cultural products. We should extend the dimension not only to the local festival but also to the mass production resulting in the commercial gains. The Unjusa Buddha festival for promoting the public relation would be greatly benefited by using the concept of the temple, the local prototype, by which we expect to create a ingenious textile design pattern, coinciding wit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ancient material around Unjusa come to be the subject of our textile design by way of selecting the most remarkable ones of heritage among the materials of Unjusa. In the long run, the harmonious contrast of both traditional and modern image were sought in this study. Designed patterns were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CS3, a multi-purpose graphic program and were simulated in the towel for visual presentation. The design is of two kinds, the one is of the free style using combinations of reclining Buddha, stone Buddha, stone pagoda, and geometric patterns freely not to be standardized. The other one is mixing of lotus pattern, reclining Buddha, and geometric patterns. These designs were applied delicately on the towel, necktie and handkerchief, and the various colors were suggested by the 6 color ways. The brilli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property should be noted by these designs and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a help to develop our cultural prototype and make a product of using the outstanding heritage.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Historic-Cultural Contents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 최희경;이진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0-63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물적 환경 뿐 아니라 사회, 역사, 문화, 경제 등 비물적 요소까지 확장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고 국내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내용 분석 및 유형화와 향후 방향성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사업 관점에서 역사문화콘텐츠 개념을 정의하고 총 33개의 도시재생사업과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역사문화 관련 사업의 내용 분석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내용적 측면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은 문화예술형, 지역 자산형, 경제문화형, 역사유산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도시재생 선도사업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은 주로 물리적 재생과 결합하여 시행된다. 셋째,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을 활용하는 사업이 다수 나타나는 반면 지역민과 공공의 갈등 양상도 보인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부응하며 물리적 재생 중심에서 비물리적 재생과 거버넌스를 포함한 인적자원 재생까지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WebGIS 기반 한국고고학사전 정보서비스 모델의 제안 (Proposal of WebGIS-based Korean Archaeological Dictionary Information Service Model)

  • 강동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6-19
    • /
    • 2024
  • 한국 고고학 지식정보를 대표하는 한국고고학사전은 전문가 집단지성에 의해 구축된 정제된 고품질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것은 해외의 고고학 데이터 아카이브와 명확히 구별되는 특성으로, 차별화된 인프라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반영한 정보서비스 또는 지식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GIS 기반의 한국고고학 지식정보 플랫폼 구축과 운영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각종 정보를 수집·저장할 수 있는 리포지터리와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위치기 반 온톨로지 데이터 설계, 개방형 연계 데이터 설계와 시스템 구축, 시멘틱 WebGIS 기반의 정보서비스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것은 한국고고학 지식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보완·갱신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것이다.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함의(含意)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Suwon Palkyong and the Im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s)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0-102
    • /
    • 2008
  • This paper has aimed to determine how the Suwon Palkyong(水原八景: eight scenic wonders) were formed and the implicature of landscape, such as implicit intention and symbolic significance. For this, the significance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uwon Palkyong from the time of the 'Hwaseong Chunchu Palgyeong(華城春 秋入景)'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litical and social arguments in Suwon Palkyong that surrounded the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contains a variety of significant elements and factors of Pungmul(Korean drum & dance) as well as formative elements such as a castle. Plantings for beautiful scenery and water use for flood control have also been major elements in the development of Hwaseong. Therefore, it seems that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catchphrase for the future image of the urban landscape. Most Suwon Palkyong sites such as Paldalsan, Namje, Yungneung, Manseokgeo, Chukmanje, Hwahongmun, and Yongji(a pond in Banghwa Suryujeong) are related t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Gwanggyo Jeokseol(光敎積雪: the landmark mountain, Mt. Gwanggyo with snow)' and 'Paldal Cheongnam(八達晴嵐: Mt. Paldal with shimmering air)' have also been added to Suwon Palkyong. Suwon Palkyong i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with water including the origin of Suwoncheon(水原川), an artificial reservoir for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and Bibopungsu in Yungneung(隆陵), as well as the source of water for rituals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正祖大王). Based on Suwon Palkyo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ater is a decisive medium in connecting old Suwon with Hwaseong New Town and essential element in the na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while Hwaseong is a 'Designed Landscape' that was created with a specific inten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Hwaseong Chunchu Palkyong is a 'Desired Landscape' that envisioned a future landscape while Suwon Palkyong is an 'Evolved Landscape' related to the business affairs of the citizens. To completely restore Hwaseong, whose value and importance have be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erefore, the fundamental restoration of a cultural landscape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Hwaseong landscape including Suwon Palkyong is essential.

환대관광산업 소규모기업 사회적 책임활동(CSR): 회사 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 분석을 중심으로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 안영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7호
    • /
    • pp.73-83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SR activitie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in South Korea. Since previous research on CSR activities has considerably focused on large enterprises whereas small enterprises have relatively less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and their CSR activ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opulation of interest for this study was social enterprises registered i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6), and it was used to verify the social enterprises which has a certification for social enterprises. From 1672 companies in total, the sampling frame was a database with 117 compani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social enterprises' CSR activities on the company's official websites (e.g., company reports, magazines, the news articles, and interviews). The websites of the selected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were analyzed for examining CSR activities by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ll of the CSR activities in small social enterprises were classified into six dimensions based on the stakeholder theory.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17 small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specific CSR initiatives. A total of eight main business lines were identified: 1) fair travel, 2) leisure/sports, 3) accommodation/camping, 4) medical tourism, 5) exhibitions/art events/cultural events, 6) leisure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7)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8) ecotourism/agricultural tourism. The CSR initiatives were classified into six dimensions: 1) environment, 2) employment, 3) multicultural famil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4) local community, 5) economic prosperity, and 6) product.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e special CSR initiative example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Small social enterprises participate in CSR activities mainly related to their own business lines. Moreover, these enterprises are more closely embedded in their local community development, job creation and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traditional heritage preser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y can contribute to enrich CSR with literature for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일본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과 정체성 구현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Japanese-style Garden and Embodying Identity in Modern Japan)

  • 안준영;전다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59-66
    • /
    • 2023
  • 본 연구는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을 인물과 작품의 공간구성과 공간구성요소, 재료 등을 통해 살펴보고 우리 정원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성이 수용하고 있는 인자를 한일 근대 시기 정원문화에 대입한 결과, 장소성, 현재성, 주체성에 있어 모두 차이를 보인다. 이는 근대 시기 한국에는 문화적인 단절이 있었던 반면, 일본은 비교적 온전한 문화 계승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근대 시기 이전의 일본의 정원문화는 문화적인 단절 없이 일본 전역의 각기 각층에 보급되고 지속해서 발전해왔다. 근대 시기 메이지 정부는 문명개화 정책을 추진해 유럽과 미국의 선진문명 도입을 주도하여 서양식 건축법이 유행하게 되었다. 급속한 서양문화의 도입은 전통적인 일본문화가 잊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영국의 건축가 조시 콘더(Josiah Condor)는 일본인 건축가를 지도(1879)하고 정원의 화실, 일본정원의 전통적 디자인 등을 설계에 도입하였다. 메이지부터 다이쇼 시대에 교토지역에서 활동했던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의 정원양식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했던 정·재계 유력자들에게 받아들여졌고 각종 법령의 마련 등으로 보호 제도도 갖춰졌다. 셋째, 일본 근대정원의 정원가, 일본적인 구성요소, 재료, 요소와 일본풍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 시게모리 미레에(重森 三玲) 등이 일본풍을 정원에 계승한 대표적 정원가이며, 공간구성의 특징으로 대지천(大池泉) 정원조성과 자연주의적 차경 수법의 도입, 물의 흐름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일본풍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은 잔디 활용, 곡선의 원로, 자연스러운 향토적 식재수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례 대상지의 일본풍 인자를 분석한 결과, 공간구성의 개별 요소별로 특히 유수(흐름)의 활용이 47.06%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지천과 자연주의적 차경도 확인되었다. 잔디의 식재와 곡선 원로의 도입은 각각 65.88%, 78.82% 비율로 나타났다. 수종 변화는 28.24%로 잔디의 식재나 곡선 원로의 적용보다는 비교적 적은 건수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우리는 근대 시기의 정원들을 확대 발굴하여 정원의 조성자나 소유주, 공간의 구성, 공간의 구성요소, 재료 등을 세부적으로 기록하고 우리나라 정원의 정체성을 찾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근대 시기 일본풍의 확립과정을 인물과 사례 정원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보다 다수의 사례와 구체적인 기법의 분류 등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로 두고 차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