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inary major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9초

GDP 예측을 통한 국내 외식 산업 전망에 관한 연구 - 한.미.일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rospects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through GDP Forecasting - A Case of Comparing Korea.U.S.A and Japan -)

  • 고재윤;유은이;송학준;김민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1-579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by forecasting the per capita GDP. Forecasting the GDP, involved two primary approaches. One was related to looking at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s situation by per capita GDP and comparing it to that of the US and Japan. The other was to predict food service industry projections in Korea by quantitative forecasting models. Holt's simp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nd new types of the series models(Damped tren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were employed to predict the per capita GDP. The accuracy of the models was measured by MAP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forecasting models indicate that the three time series models performed fairly well. Of these Damped trend Damped trend exponential smoothing performed best with the lowest MAPE(9.9%). The results show that the time for reaching a per capita GDP level of $20,000 was 2008 with the Damped trend model and 2009 with the Holt model. Moreover, we found that a per capita GDP level of $30,000 will be achieved in 2012 from the Damped trend model and in 2013 from the Holt model. With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are further discussed. It was predicted there will be a stabilization period in 2008 or 2009 in Korea with achievement of a per capita GDP of $20,000. At this time, major food service industry companies will need to invest in equipment toy external growth and there will be industry trends toward ethnic food and theme restaurants. Also, if a per capita GDP of $30,000 is achieved by 2012 or 2013, the Korean food industry will need to be highly responsive. Therefore, food industry companies should forecast and study customer values and prepare for changes.

  • PDF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중산층 성인의 영양소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s in middle income adults based on data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지명;김혜숙;김기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64-370
    • /
    • 2015
  • 본 연구는 중산층 성인 남녀의 영양상태를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에너지,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칼륨, 티아민, 나이아신, 비타민 C섭취 수준은 남녀 모두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섭취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중산층 남성의 경우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 수준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중산층 여성의 철분 섭취량은 고소득층 보다 낮고 저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1,000 kcal 당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중산층 남성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은 고소득층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중산층 여성의 경우 이들 영양소 섭취량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 보다 유의적인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 특히 중산층 여성에 대한 영양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소득 계층별 영양정책 수립에 있어, 성별에 대한 차이를 고려한 맞춤 복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라디치오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 containing Radicchio (Cichorium intybus L.) Powder)

  • 오현빈;최병범;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10-9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제빵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라디치오 분말을 첨가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분말 첨가 비율(1~7%)에 따른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라디치오 분말 첨가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라디치오 스펀지 케이크의 pH는 라디치오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으나,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스펀지 케이크의 비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굽기 손실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st의 색도는 라디치오 분말의 첨가 수준에 따라 L, a, b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rumb의 색도는 L값과 b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경도와 씹힘성이 점차 감소하였고,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라디치오 분말 첨가량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IC_{50}$은 점점 감소하여 라디치오 분말을 첨가할수록 스펀지 케이크의 항산화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향미, 단맛, 촉촉함, 씹힘성 등이 분말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3% 첨가군에서 색상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라디치오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 제조 시 밀가루의 3%를 라디치오 분말로 대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Intake of antioxidants and B vitamin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ischemic stroke and cerebral atherosclerosis

  • Choe, Hansaem;Hwang, Ji-Yun;Yun, Jin A;Kim, Ji-Myung;Song, Tae-Jin;Chang, Namsoo;Kim, Yong-Jae;Kim, Yu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5호
    • /
    • pp.516-523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habits and intakes of antioxidants and B vitamins and the risk of ischemic stroke, and to compare dietary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erebral artery atherosclerosis and stroke subtypes. SUBJECTS/METHODS: A total of 147 patients and 144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consecutively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Korea. Sixty participants each i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were included in analyses after 1:1 frequency matching. In addition, 117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subtypes according to the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TOAST) guidelines. Dietary intake was measured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mposed of 111 food items and plasma lipid and homocysteine levels were analyzed. RESUL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stroke patients had unfavorable dietary behaviors and lower intakes of fruits ($73.1{\pm}83.2g$ vs. $230.9{\pm}202.1g$, P < 0.001), vegetables ($221.1{\pm}209.0g$ vs. $561.7{\pm}306.6g$, P < 0.001), and antioxidants, including vitamins C, E, $B_6$, ${\beta}$-carotene, and folate. The intakes of fruits, vegetables, vitamin C, and folate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schemic stroke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Intakes of vegetables, vitamins C, $B_6$, $B_{12}$, and folate per 1,000 kcal were lower in ischemic stroke with cerebral atherosclerosis than in those without. Overall vitamin $B_{12}$ intake per 1,000 kcal differed according to the TOAST classification (P = 0.004), but no differences among groups existed based on the post-hoc test. CONCLUSIONS: When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ischemic stroke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ith cerebral atherosclerosis, had unfavorable dietary intake, which may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schemic strok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per dietary recommendations are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땅콩 분말을 첨가한 청국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added with peanut (Arachis hypogaea L.) powder)

  • 김미화;김선희;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8-494
    • /
    • 2016
  • 땅콩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땅콩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일반성분, 칼슘함량, 아미노산 함량, 색도, pH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과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땅콩 분말을 첨가한 청국장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소, 조회분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은 땅콩 분말 15%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땅콩 분말 2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소는 땅콩 분말 5%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칼슘함량은 땅콩 분말 첨가량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땅콩 분말 1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땅콩 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다 25% 첨가군에서 감소하였으며, 땅콩 분말을 15% 첨가한 청국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 중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였으며,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rginine, proline 순으로 나타났다. pH는 땅콩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색도에서는 명도(L값)와 황색도(b 값)는 땅콩 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적색도(a값)는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땅콩 분말 15%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땅콩 분말을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15% 정도 첨가하는 것이 관능적인 조건을 잘 만족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과 품질이 향상된 청국장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동두천시 일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식생활적응 및 식행동 분석 (Analysis of Food Adaptation and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Type in Dongducheon City)

  • 김혜원;김민화;김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05-2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그들의 식생활적응 실태 및 식행동을 분석하고, 식생활적응과 식행동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훈련된 조사자가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동화유형군의 식생활적응도가 가장 높았고, 분리유형군이 가장 낮았다. 또한,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식행동 점수를 분석한 결과,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식행동에서만 동화유형군에서 가장 높았다.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및 식생활적응과 식행동 간에 상관성 분석에서 식생활적응은 동화요인과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문화적응유형 중 동화요인만이 식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식생활적응은 식행동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이주국 문화를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화적 문화적응이 식생활적응을 높여 올바른 식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ssociations of dietary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risk parameters in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The KoGES follow-up study

  • Yang, Hyesu;Kim, Hyesook;Kim, Ji-Myung;Chung, Hye Won;Chang, Nam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313-320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overall changes in dietary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risk parameters in Vietnames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over time. SUBJECTS/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1 Vietnamese marriage-based female immigrants, who were recruited from local clinical centers in Korea.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6-2011 and the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from 2012-2014. Dietary food intake was assessed by a 1-day 24-hour recall method. RESULTS: Compared to the baseline, the mea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while the fasting blood sugar, triglycerides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decreased at follow-up. The total consumption of foods such as vegetables/fruits/seaweeds/mushrooms, oil and fat, and eggs decreas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hereas the consumption of sugars, beverages and meats increased. Partial correlation between the rate of change [(Follow-up - Baseline) / Baseline ${\times}100$] in metabolic syndrome risk parameters and food intake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factors showed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ither the total plant food intake (r = 0.1042, P = 0.0129) or the total food intake (r = 0.0880, P = 0.0359). The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r = -0.1918, P = 0.0289) and HDL-cholesterol (r = -0.1424, P = 0.000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total intake from plant food,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of total animal food (r = 0.0980, P = 0.0217). The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intake of animal food (r = 0.2374, P < 0.0001) or the percentage of total intake from animal food (r = 0.1346, P = 0.0016).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rate of dietary intake such as total plant food or animal food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rates of metabolic syndrome risk parameters.

우주에서 작물 생산을 위한 공학적 접근 (Engineering Approach to Crop Production in Space)

  • 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8-231
    • /
    • 2005
  • 본고에서는 우주에서 장기간에 걸쳐 임무를 수행하는 인간의 생명지원을 목적으로 CELSS를 이용한 식물생산, 물과 공기의 정화 및 재생, 폐기물 처리 등을 위한 공학적 접근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공학적 접근에는 미소중력 또는 저압과 같은 우주 환경에 적용 가능한 폐쇄형 식물생산 시스템, 물질 순환, 물의 재생, 폐기물의 처리, 미량 유해가스의 제거, 조명, 배양액의 공급 등이 포함된다. 우주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의 선택 기준으로 높은 생산성, 식용성, 소화성, 조리성, 자동화 가능성, 짧은 줄기, 높은 증산속도 등이 제기되고 있다. 화성 표면에서의 낮은 압력은 작물 생산용 온실을 설계할 때 주요 장애물에 해당한다. 때문에 저압하에서 식물 재배가 가능한 팽창식 온실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팽창식 온실의 구조, 내부 압력, 자재, 조명 방식, 방사선 차폐 등은 주요 설계 인자에 해당한다. 팽창식 온실 내의 낮은 압력은 구조물의 질량과 가스의 누출속도를 줄일 수 있다. 저압 조건에서는 증산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식물의 수분요구도가 높게 나타난다. 증산 또는 수경재배시스템으로부터의 증발에 의해서 수분이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증기압이 증가한다. 저압 조건에 있는 폐쇄계에서는 증기압의 변화가 전체 압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저압 조건의 수경재배시스템은 누수로 인하여 기화되는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고도로 밀폐되어야 한다. 또한 저압으로 유지되는 온실내의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제어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향후 폐쇄생태계 생명유지 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우주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사막, 극지방 또는 해저와 같은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명 지원을 가능케 할 것이다.

일반 수박과 무등산 수박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Mudeungsan Watermelon and the other Cultivars from Korea)

  • 김정연;이성희;황수정;김건희;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5-349
    • /
    • 2013
  • 일반 수박 및 무등산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국내에서 선호도가 높은 몇 종의 일반 수박과 무등산 수박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박의 색도 중 $L^*$값은 47.44-33.08 범위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모든 품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경도는 52.12-38.76 force (g) 범위로 나타났다. 당도는 태양꿀과 무등산이 각각 $11.70^{\circ}Bx$$11.63^{\circ}Bx$로 가장 높았다. pH는 6.02-5.39 범위로 나타났다. 산도는 무등산이 0.147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품종 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라이코펜 함량은 무등산이 $55.43{\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육의 시트룰린 함량은 무등산이 220.18 mg/100 g, 과피의 경우, 무등산이 250.54 mg/100 g으로 강력삼복과 함께 가장 높게 나타났고, 씨의 시트룰린 함량은 무등산, 강력삼복, 태양꿀 세 품종이 각각 63.10 g, 66.91, 67.48 mg/100 g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유리당은 모든 품종에서 sucrose와 fructose가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succinic acid와 citric acid가 모든 품종에서 존재했다. 결론적으로, 무등산이 당도도 높고 기능성 성분도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다른 수박 품종에 비해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재배방법에 따른 더덕의 성분 및 색도 (Compositions & Color of Codonopsis lanceolata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 정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29-534
    • /
    • 1999
  • 재배방법을 달리한 3가지 더덕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아미노산 가운데 arginin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utamine이 두 번째를 차지하였고 alanine 및 proline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기재배더덕에 함유된 arginine은 15.48mg으로 자생더덕의 5.67mg보다 약 3배 많았으며, 일반재배더덕은 9.79mg으로 나타났다. 유리 아미노산에서도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arginine이었으며 유기재배더덕에서 32.6mg을 차지하여 자생더덕의 6.43mg과 일반재배의 6.40mg보다 약 5배 많았다. 따라서 활엽수와 볏짚이 포함된 퇴비를 사용한 유기재배더덕에 arginine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가운데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유기재배더덕에는 1.03%, 일반재배 0.83% 및 자생더덕에 0.69%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질 퇴비로부터 더덕이 다량의 K을 흡수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Ca의 함량은 자생더덕에 $3.988{\mu}g$함유되어 일반재배의 $803{\mu}g$보다 5배정도, 유기재배더덕의 $1,040{\mu}g$보다 약 4배 많았다. 중금속 중 Pb이 자생더덕에 $0.11{\mu}g$으로 가장 낮았고, 유기재배더덕은 이보다 약 3배, 일반재배더덕은 약 4배정도 많았으나 식품에서 이러한 수준은 안전하다. 카드뮴은 자생더덕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기재배 및 일반재배더덕에서는 $0.12{\mu}g$, $0.41{\mu}g$이 각각 함유되어 있었으며 안전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Se은 3가지 더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껍질 벗긴 더덕의 색도 측정결과, 더덕의 고유한 색은 자생더덕이 가장 진하였고, 일반재배더덕이 가장 흐렸으며 유기재배더덕은 중간 정도로 판단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