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cumis melo L.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7초

멜론 체세포배의 조직학적 특징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atic Embryos in Melon (Cucumis melo L.))

  • 최필선;권석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1-515
    • /
    • 2013
  • 멜론으로부터 체세포배를 얻기 위하여 유식물체의 배축 절편을 1 mg/L 2,4-D와 0.5 mg/L BA가 혼합첨가된 MS배지 치상하여 6주 동안 배양하였다. 배축절편으로부터 연한 노란색의 부드러운 캘러스 형성을 거쳐 형성된 체세포배중에는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적인 형태의 체세포배(26%)와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비 정상적인 체세포배(74%)가 관찰되었다. 정상 체세포배의 하배축 부위에서는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이 발달되었고, 자엽 절 부위로 이동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나뉘어져 자엽에서는 완전히 2개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분화하였다. 그러나 합생 자엽을 갖는 나팔형의 체세포배에서는 하배축에서 발달된 원형의 전형층조직이 자엽 절과 자엽부위에서도 원형의 전형성층 조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2개의 자엽을 갖는 정상 및 합생 자엽을 갖는 비 정상 체세포배 tunica-corpus구조를 볼 수 없었으며 전형적인 dome구조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세포배에서 전형성층 조직의 분화는 자엽형성 및 유경조직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Suppress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Lettuce and Oriental Melon by Pasteuria penetrans KW1

  • Lim, Chun-Keun;Yu, Yong-Man;Cho, Myoung-Rea;Zhu, Yong-Zhe;Park, Duck-Hwan;Hur, Jang-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7-180
    • /
    • 2003
  • Pasteuria penetrans KW1 (PP), parasitic bacterium of nematode, was isolated from oriental melon greenhouse soil in Korea and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 on the reproduction of sou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MI), in lettuce (Lactuca sativa L. var. Chungchima)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Eunchun).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s in medium inoculated with 5,000 MI juveniles/pot (J), J +100,000 PP endospores/l g medium, and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After 11 weeks of plantation, number of root galls in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was decreased to 92/root (38.9%, control effect), compared to the J of 150/root. In the second plantation of lettuce in the same pots, the numbers of root gal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P treated pots with 75 (77.2%, control effect) and 150/root (54.4%,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1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J of 330/root when harvested at 10 weeks after planting. In oriental melon, root gall percentages were 32.1 (60.2%, control effect) and 52.9% (34.5%,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 1(10,000 endospores/l g medium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80.7% in J.

식용식물의 항산화효과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 조세연;한용봉;신국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3-137
    • /
    • 2001
  • 21종 식용식물의 부위별 MeOH Ex. DPPH와 TBA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DPPH를 이용한 유리라디칼 소거 효과는 참취잎, 쑥갓잎 및 머위잎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시료추출물의 buffer에 의해 유발된 과산화지질 억제효과는 참외껍질의 억제 효과 강도는 $IC_{50}$ 값이 $10\mu\textrm{g}/mL$로 매우 강하였다. $S_2O_z$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0.25 mg 농도에서 L-ascorbic acid의 과산화 억제율과 비교하면 가지 잎, 머위 잎, 감자껍질의 항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FeSO_4$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쑥갓잎의 $IC_{50}$가 0.08 mg/mL로 특이적으로 높았다.

  • PDF

가공전 열처리가 Fresh-cut Muskmelon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박연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66-166
    • /
    • 2003
  • Muskmelon(Cucumis melo L.)은 독특한 향기와 높은 당도로 각광받고 있는 과일로 주로 지중해, 아시아, 북유럽과 미주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 내에서 재배되고 있다. 점차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fresh-cut제품은 유통, 저장 기간 동안 제품의 신선함 유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 전 열처리가 fresh-cut muskmelon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최적 열처리 조건을 조사하였다. Half-cut melon을 대상으로 blanching 온도 설정을 위한 예비 실험을 한 결과 5$0^{\circ}C$ 열처리한 구가 향, 연화 저해 정도,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0^{\circ}C$의 water bath상에서 whole melon을 10, 20, 30, 40분 blanching하여 5$^{\circ}C$에서 24시간 저장한 후 cork borer를 이용하여 cylinder 형의 fresh-cut melon을 가공하였다. 가공한 melon은 5$^{\circ}C$에서 6일 저장하면서 L-value, chroma-value, soluble solid, pH, 경도, 호흡 변화 등을 통해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6일후 L-value의 변화는 대조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chroma-value는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0분 열처리 한 구에서 변화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으나 40분 열처리한 구에서 수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20, 30분 열처리한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저장 중 fresh-cut melon의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분 열처리한 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호흡변화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O_2$는 감소하고 $CO_2$는 증가했으며 특히 20분 열처리한 구에서 $CO_2$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열처리한 fresh-cut melon의 hardness는 저장 3일 후 대조구와 40분 열처리 구에서 가장 낮아 연화현상을 확인했으며 20분 열처리구에서 초기 hardness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fresh-cut melon을 위한 가공 전 열처리를 위해서는 5$0^{\circ}C$에서 10분 열처리가 품질 변화를 유지하는데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ruit growth and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hydroponically grown 'K3' melons (Cucumis melo L.) harvested at different days after fruit setting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 Jung-Soo Lee;Ju Youl O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41-355
    • /
    • 2022
  •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ost-harvest quality of melons depending on the harvest time after fruit setting. Musk melon cultivar 'K3' plants were grown in glass house conditions with a hydroponic system, and the fruits were harvested at 50, 60, and 70 days after fruit setting. The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melons stored at 7℃ were measured over 32 days. The harvested fruits at 50, 60, 70 days after fruit sett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weight, height, or size. Solid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the fruits harvested at 70 days after fruit setting, but firmness, L* value, and respiration rate were highest in the fruits harvested at 50 days after fruit setting. When the harvested melons were stored at 7℃, 'K3' melons respond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arvest days after fruit setting. The major changes during storage of 'K3' mel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mness, respiration, moisture content, and general appearance index during storage were highest in the melons harvested at 50 days after fruit setting, but soluble solid content, fresh weight los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high in the melons harvested at 60 and 70 days after one. During storage at 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of 'K3' melons harvested at different periods after fruit setting, but difference in soluble solid content and taste were noted. It is recommended that the fruit of 'K3' melon plants be harvested about 60 days after fruiting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highest quality for taste and for storage.

양액의 NO3- 비율이 수경재배 참외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O3- Ratio of Nutrient Solution for Korean Melon in Hydroponic Culture)

  • 원도연;최지혜;백창현;박나윤;강민구;서영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9-255
    • /
    • 2023
  • 참외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대부분 재배되고 있고, 한국에서 주로 생산되는 과일로서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지만 재배방식은 토경재배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규모화, 생력화를 위한 수경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온부직포를 이용한 수경재배로 참외를 재배할때 영양생장기 배양액 내 질산태질소 비율에 따른 참외 생육의 변화를 확인했다. 배양액에서 질산태질소 비율이 증가할수록 초장은 길어지고, 엽장, 엽폭, 절간장도 함께 증가하였다. 생육 30일차의 SPAD값은 질산태질소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질산태질소 비율에 낮을수록 암꽃 개화가 빨리 되었고, 과실 성숙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질산태질소 비율에 따른 과실의 형태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질산태질소의 비율이 낮을수록 높아 과실이 단단하였다. 3월에서 7월까지 총 수확량은 KM3 5,650kg/10a, KM1 4,439kg/10a로 KM3가 27% 높았고 특히, 참외 가격이 높은 3월에서 5월까지 수량은 KM3가 KM1보다 36% 높았다. 따라서 12월 정식되어 봄철부터 생산되는 참외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질산태질소는 6.5-10me·L-1 수준으로 공급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실부위 송풍이 참외의 품질 및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ced-air circulation of ambient Fruit on the Occurrence Fermented-fruit and Fruit Qual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연일권;최성국;최부술;신용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9-107
    • /
    • 1999
  • 참외 과실부위 송풍이 칼슘흡수와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풍속 0.3m/sec로 10시부터 13시까지 1일 3시간 과실부위에 송풍을 하였다. 송풍은 착과 10일후, 20일후, 30일 후부터 수확까지 송풍처리구와 무송풍구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과중은 착과 30일후 송풍처리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육두께는 착과 30일후 송풍구에서 가장 두꺼웠다. 과실의 경도는 착과 10일후 송풍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 및 태좌의 당도는 착과 20일 후 송풍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의 L값은 착과 10일후 송풍구, a값 및 Y. I값은 착과 30일후 송풍구에서 좋아 무송풍에 비하여 송풍 처리에서 과실의 착색이 우수하였다. 과육 및 태좌의 Ca 함량은 송풍처리에 비하여 무송풍처리에서 많았으나, 발효과 발생은 송풍처리구에서 적었다. 특히 착과 20일후 송풍처리구에서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의 발생이 적었고 상품과율은 증가하였다.

  • PDF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 열매썩음병 (Fusarium Fruit Rot of Posthavest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Caused by Fusarium spp.)

  • 김진원;김현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60-267
    • /
    • 2004
  • 2001년부터 2003년에 걸쳐 수확 후 과일가게에서 판매되는 참외의 썩음증상으로부터 Fusarium spp.를 분리하였다. 병든 과실들은 균사로 덮여 있었고 결국 물러 썩었다. 병의 시작은 주로 과실이 달렸던 부위, 꽃이 달렸던 부위 그리고 열매 표면에 병이 시작되었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는 열매의 표면에는 흰색에서 분홍빛의 균사로 덮혔다. 이들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된 Fusarium spp.를 기존에 보고된 균학적 내용과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Fusarium equiseti, F. graminearum, F. monliforme, F. proliferatum, F. sambucinum, F. semitectum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균의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해 건전한 참외에 인위적으로 만든 상처와 무상처에 접종한 결과 접종 이틀후, 상처 접종 부위에 기중균사가 형성되었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물러 썩었다. 비록 참외에서 Fusarium spp.가 야기하는 열매썩음병은 국내에서 이미 보고된 바가 있으나, 이와 관련된 종에 대해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Fusarium spp.에 의한 수확 후 참외의 열매썩음병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대기 증기압차가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mospheric Vapor Pressure Deficit on Fruit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최충돈;박소득;최경배;윤재탁;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4-179
    • /
    • 2007
  • 참외 발효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외의 증산율은 지온이 높고 토양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광도가 약하여 온도가 낮을 경우 증산율과 기공 전도도가 낮아졌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에 의한 증산의 억제는 식물체와 대기사이의 증기압기울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과 발생은 과실의 비대가 느린 착색기 이후에 토양수분이 -10 kPa로 많고, 저온 다습하여 참외와 대기 사이에 증기압기울기가 낮게 형성되어 증산이 억제될 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참외의 발효과 발생은 착색기 이후 참외의 과실 비대가 지연되는 반면 지온이 높아 뿌리로부터 지상부로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고, 저온 다습한 기상조건하에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수분이 태좌부로 유입되면 발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rst report of a bacteriovorus nematode, Diploscapter coronatus (Cobb, 1893) Cobb, 1913 (Rhabditida: Diploscapteridae), in Korea

  • Kang, Heonil;Eun, Geun;Ha, Jihye;Park, Namsook;Choi, Insoo;Kim, Dongg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77-180
    • /
    • 2017
  • Diploscapter coronatus (Cobb, 1893) Cobb, 1913 was first reported o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s. makuwa Makino) roots from plastic film houses, Gyeongsangbuk-do, Andong, Korea (latitude $N36^{\circ}33^{\prime}$. longitude $E128^{\circ}29^{\prime}$). Diploscapter coronatus is most similar to D. pachys. Species in the genus Diploscapter have a visibly annulated cuticle. The stoma of D. coronatus is 1.5 times longer than the lip region width. The pharyngeal corpus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isthmus and the vulva is situated around the mid-body. However, it differed by higher ratio of "a", filiform tail and had relatively blunt labial hooks. The Korean population is well matched and within the range of D. coronatus as described from Iran and Ethiopia in de Man's of L, b, c, c', and V. Female length, however, varied between populations: the Ethiopia population female length is longer than in the Korea population (396.4 vs 427.0) while females in the Iran population are smaller than in the Korea population (396.4 vs 350.0). Nematode size may vary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food sources. The position of excretory pores in the Korean population were shorter 53.9-72.5 than in other populations (67-82 and 70-89). Males were uncommon. Males in the Korean population are smaller than females but larger(356.0) than males in the Indian population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