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stal violet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8초

$CoCl_2$로 유도된 C6 신경교세포의 사멸에 대한 억간산(抑肝散)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Ukgan-san in $CoCl_2$-induced Cell Death of C6 Glial Cells)

  • 조문영;신용진;하예진;우찬;김태정;유주연;최용석;최정훈;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8-191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Ukgan-san (UGS) extracts on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MT) assay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nalysed with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crystal violet (CV).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rmatio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er after staining with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 also analyz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 and p53, processing of procaspase-3 and procyclic acidic repetitive protein (PARP) by western blot method. Results : We estimated the elevated cell viability by UGS extract on $CoCl_2$-induced C6 glial cells. UGS attenuated $CoCl_2$-induced ROS formation in C6 glial cells and also showed a protective activity compared to antioxidants and exhibited abrogation of LDH-released by $CoCl_2$. UGS suppressed the typical apoptotic cell death markers, caspase-3 and PARP activation. UGS inhibited $CoCl_2$-induced HIF-1${\alpha}$ expression which is known as a major regulator for hypoxia-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53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S extract contains protective constituents for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Post HCV Infection Due to MX Gene Stimulation Produced Post Treatment with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Egyptian Biosimilar IFN

  • Mohamed, Shereen H;Mahmoud, Nora F;Mohamed, Aly F;Kotb, Nahla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35-5641
    • /
    • 2015
  • Background: Cirrhosis is regarded as a possible end stage of many liver diseases, including viral infection. It occurs when healthy liver tissue becomes damaged and is replaced by scar tissue and finally may lead to hepatocellular carcinoma. Interferons (IFNs)are two general categories, type I and II. Type I includes one beta interferon and over 20 different alpha interferons. Alpha interferons are very similar in how they work, interacting with other proteins on cells like receptor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x gene productivity post different cell line treatment with impor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as well as the efficacy of those tested IFNs. Also, an assessment was made of sensitivity of different cell lines as alternatives to that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Different cell lines (Vero, MDBK and Wish) were employed to evaluate cytotoxicity using the MTT assay. Antiviral activity was evaluated compared with standard IFN against VSV, Indiana strain -156, on tested rh-IFNs (imported; innova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in the pre-treated cell lines previously mentioned. The virus was propagated in the Wish cell line as recommended. Finally we estimated up-regulation of the Mx gene as a biomarker. Results: Data recorded revealed that test IFNs were safe in test cell lines. Viability was around 100%. Locally tested interferon did not realize the international potency limits, while the imported one was accepted compared with the standard IFN. These results were the same either using infectivity titer reduction assay or crystal violet staining of residual non- infected cells. Mx protein production was cell type related and confirmed by the detected Mx gene expressed in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IFN pre-treated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Vero> wish > MDBK for the imported IFN, while for the Egyptian biosimillar locally produced one it was MDBK> Vero> wish. With regard to the antivir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orted IFN potency compared with the locally produced IFN (P<0.05), the IFN potential (antiviral activity) was not cell line related and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separate product. Conclusions: Vero cell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cell line for evaluation of IFN potency in case of unavailable USP recommended cell lines. Alternative potency evaluation assay could be used and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FN potency in case of local and imported agents.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could be used in parallel to viral infectivity reduction assay for better accuracy. Mx gene can be used as a marker for IFN potential.

액상유의 살균후 오염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 of Fluid Milk Products)

  • Huh, Chung-J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17-521
    • /
    • 1988
  • 저온성 미생물의 살균후 오염에 관하여 HTST 살균법에 의하여 제조된 음용유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살균후 제조공정중의 시료와 충병제품의 시료론 시유와 탈지유별로 대형 음용유 공장에서 채취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를 시유의 경우 아홉개의 각각 다른 시료채취 장소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각각 의 제조공정중의 시료는 21$^{\circ}C$에서 16시간 동안 예비배양(PI)을 한 후 표준평판검사(SPC)바 그람음성균 검사(CVT)를 실시하였다. 보존성검사를 위하여 각시료를 7.2$^{\circ}C$에서 7일간 보존한 후 풍미검사와 SPC 및 저온미생물검사(PBC)를 실시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 이외에 실제품의 보존성을 검사하기 인하여 1000ml용 종이용기에 충병된 완제품을 각 제품(시유 및 탈지유)의 생산이 시작될 때마다 일련적으로 연속하여10개씩 충병기로부터 채취하였다. 충병제품 시료들에 대해 예비배양(PI)을 거친 후 SPC와 CVT를 실시하였다. 보존성 검사를 인하여 각 충병제품 시료를 7.2$^{\circ}C$에서 7, 10 및 14일간 보존 후 풍미 검사와 SPC 및 PBC를 실시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의 예비배양 후 CVT(PI-CVT) 평균치는 시료채취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살균유 저장탱고로부터 충병기까지의 제조공정에서 오염이 주로 발생하였다. 충병제품 시료의 PI-CVT 값은 10 및 14일간 보존 후 풍미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조공정중의 시료의 PI-CVT 값은 10일간 보존후 양호한 풍미를 유지한 충병제품 시로의 전체 충병제품 시료에 대한 백분율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흰구름버섯에 의한 방향족 염료와 비스페놀 A의 분해 (Biodegradation of aromatic dyes and bisphenol A by Trametes hirsuta (Wulfen) Pilat)

  • 임경환;백승아;최재혁;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7-254
    • /
    • 2019
  • 흰구름버섯 (Trametes hirsuta)의 균사체는 CR, CV, RBBR 등 방향족 염료가 함유된 고체와 액체 배지에서 이들 염료를 효과적으로 탈색하였으나 MB의 탈색은 저조하였다. 각각 CR, MB, CV 및 RBBR 등 4종류의 염료가 함유된 액체배지에서 흰구름버섯의 균사체를 10일 간 배양했을 때 laccase, LiP, MnP 등 세 종류의 효소를 모두 생산하였으며 이들 효소 중 laccase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LiP와 MnP의 활성도laccase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흰구름버섯 균사체에 의한 방향족 염료의 탈색에는 laccase가 주로 사용되고 LiP나 MnP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스페놀 A가 0, 25, 50, 100, 200 ppm의 농도로 함유된 PDA 배지에 균사체를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비스페놀 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사체의 생장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스페놀 A가 100 ppm 함유된 YMG 액체배지에 균사체를 접종하고 비스페놀 A의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배양 12시간 후 72.3%, 배양 24시간 후 95.3%, 그리고 배양 36시간 후에는 100%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의 산업 활동 과정에서 생산되고 자연계로 배출되어 생물체에 큰 피해를 주는 합성염료와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비스페놀 A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바이닐알코올/그래핀 옥사이드/산화철 자성 마이크로겔을 이용한 염료 제거 (Preparation of PVA/Graphene Oxide/Fe3O4 Magnetic Microgels as an Effective Adsorbent for Dye Removal)

  • 고성문;김근성;위은솔;박래수;정홍련;윤창훈;장민철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98-1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세유체 시스템 기반 폴리바이닐알코올(PVA)/그래핀 옥사이드(GO)/산화철(Fe3O4) 자성 마이크로겔을 제조하고 겔의 염료 흡착성능을 평가하였다. 겔의 흡착성능(qe)은 염료의 농도, pH, 및 접촉시간을 변수로 하여 평가하였다. 사용된 염료는 메틸렌 블루(MB), 크리스탈 바이올렛(CV), 말라카이트 그린(MG)이며, 마이크로겔은 메틸렌 블루에 대해 가장 높은 흡착성능(191.1 mg/g)을 나타내었다. pH에 따른 겔의 흡착성능은 염료가 가지고 있는 atomic nitrogen 이온(N+)의 영향으로 모든 염료에서 pH가 10일 때 가장 높은 흡착성능을 나타냈다. 등온흡착 데이터분석을 통해 Langmuir 등온선의 일치도가 높아 단분자층 흡착임을 확인하였으며, 동역학적 분석에서는 유사 1차 반응 보다 유사 2차 반응의 일치도가 높아 화학흡착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성 마이크로겔의 회수와 겔표면에 흡착된 염료의 탈착을 통한 재사용 성능을 평가하였는데, 흡착성능은 흡·탈착 5회동안 70%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방향족 합성염료 분해 특성 (Synthetic aromatic dye degradation by white rot fungus, Pleurotus eryngii)

  • 임경환;백승아;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6-91
    • /
    • 2022
  •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는 azo계 염료인 CR, heterocyclic계 염료인 MB, triphenyl methane계 염료인 CV와 MG를 고체와 액체 배양 상태에서 모두 분해할 수 있었으며 고체 배양 조건에서는 CR을, 액체 배양 상태에서는 MG을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했다. MB는 고체와 액체 배양 조건에서 모두 가정 적게 분해되었다. 4 종류의 염료 모두 균사의 생장을 저해했으나 MG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활성을 측정한 두 종류의 리그닌 분해 효소 중 모두 laccase의 활성이 훨씬 높았으며 MnP 역시 활성은 낮았으나 laccsse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큰느타리는 주로 laccase를 사용하여 방향족 합성염료를 분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CR, MB, CV는 laccase의 활성과 염료 분해 정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MG의 경우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낸 후 염료의 분해가 진행되었다. 또한 MG가 모두 분해되었을 때의 laccase 활성(0.07 U/ml)이 다른 염료가 가장 많이 분해되었을 때의 활성(0.10 U/ml)보다 낮았는데 이는 큰느타리의 균사체가 MG를 분해하는 기작이 CR, MB 및 CR 등의 염료를 분해하는 기작과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의 방향족 합성염료 분해 능력에 대해 밝힘으로써 앞으로 국내산 버섯균주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합성염료 처리 기술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iveness of cephalosporins in hydrolysis and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biofilms

  • Jawaria Aslam;Hafiz Muhammad Ali;Shujaat Hussain;Muhammad Zishan Ahmad;Abu Baker Siddique;Muhammad Shahid;Mirza Imran Shahzad;Hina Fatima;Sarah Tariq;Fatima Sadiq;Maria Aslam;Umar Farooq;Saadiya Zia;Rawa Saad Aljaluod;Khaloud Mohammed Alarjan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47.1-47.12
    • /
    • 2024
  • Importance: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contribute to global health challenges by forming biofilms, a key virulence element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several infections.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various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against biofilms developed by pathogenic S. aureus and E. coli. Methods: The development of biofilms by both bacteria was assessed using petri-plate and microplate methods. Biofilm hydrolysis and inhibition were tested using first to fourth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crystal violet staining and phase contrast microscopy. Results: Both bacterial strains exhibited well-developed biofilms in petri-plate and microplate assays. Cefradine (first generation) showed 76.78% hydrolysis of S. aureus biofilm, while significant hydrolysis (59.86%) of E. coli biofilm was observed by cefipime (fourth generation). Similarly, cefuroxime, cefadroxil, cefepime, and cefradine caused 78.8%, 71.63%, 70.63%, and 70.51% inhibition of the S. aureus biofilm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 coli, maximum biofilm inhibition (66.47%) was again shown by cefepime. All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were more effective against S. aureus than E. coli, which was confirm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Conclusions and Relevance: Cephalosporins exhibit dual capabilities of hydrolyzing and inhibiting S. aureus and E. coli biofilms. First-generation cephalosporins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 aureus, while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E. coli biofilm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ailored antibiotic strategies based on the biofilm characteristics of specific bacterial strains.

Saos-2 골육종 세포에서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 induced apoptosis in Saos-2 osteosarcoma cancer cells)

  • 박은혜;이효정;이수연;김선영;이호근;이대열;황평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13-219
    • /
    • 2009
  • 목 적:철은 세포 성장과 분화, 전자 전달 반응, 산소 전달, 해독작용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생체 반응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서 종양세포의 성장과 증식에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최근에 철킬레이트제인 deferoxamine이 악성 구강 각질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며, 난소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난소암의 성장을 억제하였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수혈에 의하여 헤모시데린침착증이 발생한 소아 종양 환아에서 deferoxamine이 철을 제거 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면 그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골육종세포인 Saos-2에서 deferoxamine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트리판 블루 염색으로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측정하였고, DNA 분획, 핵 응축, 세포주기분석으로 세포자멸사를 분석하였고,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분자들의 발현을 Western hybridization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Deferoxamine은 Saos-2 세포에 대하여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DNA 단편화, 핵 응축, 세포주기 분석에서의 $A_{0}$ 기의 증가, PARP의 활성도의 증가 등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aos-2 세포에서 deferoxamine 처리 후 Akt/PKB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caspase 9의 활성화, 그 하류의 caspase 3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미토콘드리아 매개되는 경로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다. 결 론:결론적으로 철킬레이트제인 deferoxamine이 세포증식을 억제시키고 세포자멸사를 유도시킴으로써 골육종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반복적 대량 수혈에 의한 철 과부하에 따른 장기손상이 우려되는 각종 소아 종양환자들에서 deferoxamine은 체내 축적된 철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종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ative Study of Toxic Effects of Anatase and Rutile Type Nanosiz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in vivo and in vitro

  • Numano, Takamasa;Xu, Jiegou;Futakuchi, Mitsuru;Fukamachi, Katsumi;Alexander, David B.;Furukawa, Fumio;Kanno, Jun;Hirose, Akihiko;Tsuda, Hiroyuki;Suzui, Masum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929-935
    • /
    • 2014
  • Two types of nanosized titanium dioxide, anatase ($anTiO_2$) and rutile ($rnTiO_2$), are widely used in industry, commercial products and biosystems. $TiO_2$ has been evaluated as a Group 2B carcinogen. Previous reports indicated that $anTiO_2$ is less toxic than $rnTiO_2$, however, under ultraviolet irradiation $anTiO_2$ is more toxic than $rnTiO_2$ in vitro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crystal structures.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in vivo and in vitro toxic effects induced by $anTiO_2$ and $rnTiO_2$. Female SD rats were treated with $500{\mu}g/ml$ of $anTiO_2$ or $rnTiO_2$ suspensions by intra-pulmonary spraying 8 times over a two week period. In the lung, treatment with $anTiO_2$ or $rnTiO_2$ increased alveolar macrophage numbers and levels of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these increases tended to be lower in the $anTiO_2$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rnTiO_2$ treated group. Expression of $MIP1{\alpha}$ mRNA and protein in lung tissues treated with $anTiO_2$ and $rnTiO_2$ was also significantly up-regulated, with $MIP1{\alpha}$ mRNA and protein expression significantly lower in the $anTiO_2$ group than in the $rnTiO_2$ group. In cell culture of primary alveolar macrophages (PAM) treated with $anTiO_2$ and $rnTiO_2$, expression of $MIP1{\alpha}$ mRNA in the PAM and protein in the culture med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cultures. Similarly to the in vivo results, $MIP1{\alpha}$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nTiO_2$ treated cultures compared to the $rnTiO_2$ treated cultures. Furthermore, conditioned cell culture media from PAM cultures treated with $anTiO_2$ had less effect on A549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conditioned media from cultures treated with $rnTiO_2$.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xicological effects on cell viability of ultra violet irradiated $anTiO_2$ and $rnTiO_2$.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anTiO_2$ is less potent in induction of alveolar macrophage infiltration, 8-OHdG and $MIP1{\alpha}$ expression in the lung, and growth stimulation of A549 cells in vitro than $rnTiO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