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ding factor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외식기업 혼잡 만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rowding Measurement Tools for Foodservice Corporations)

  • 전효진;양태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
    • /
    • 2006
  •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able measurement tool of crowdedness in restaurants. First, to measure customer’s awareness of crowdedness related to each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 in a restaurant, 49 factors of crowdedness awarenes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n properties of each factor affecting customer’s satisfaction for crowdedness were analyzed. To analyze effects of each factor upon the satisfaction rat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rowdedness aware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atisfaction of crowdednes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rowdedness awareness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of crowdedness awareness in restaurants, that would be fit for the domestic food service market, based upon 49 factors of restaurant environment. Focusing on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rate, it was found that rating the satisfaction level would be a much more effective tool to measure crowdedness awareness because satisfaction rate appear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awareness tha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scor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 PDF

혼잡지각이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변화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ing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 심완섭;홍성도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07-230
    • /
    • 2006
  • 본 연구는 관광위락지내에서 관광객이 인지하는 혼잡된 지각 정도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관광환경 개선에 대한 시사점과 관광운영업무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 반응 요인 중에서 즐거움과 흥분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 체류시간 변수간의 전체적 설명력은 미미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면 혼잡지각은 감정적 반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체류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라는 사실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반응 요인이 관광위락지 이용객의 체류시간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감정적 반응 구성요인 중 즐거움과 흥분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체류시간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ntecedents of Duty Free Shop Willingness to Pay

  • Song, Myungkeun;Moon, Joonho;Tang, Ruo-Ha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87-100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willingness to pay in the domain of duty free shop.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hooses willingness to pay as explained variable. The candidates of explanatory variables are price fairness, brand awareness, employee service, product diversity, and crowding. This study uses survey to explore the linear relation between variable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using online panel data collection service. The number of valid observation is 265. The research targe is Lotte duty free store. Statistical analysis was for statistical inference. To attain the information of survey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is employed. Next, this study implemen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o ensure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This study execu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Findings - Regrading results, brand awareness, employee service, and product divers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pay of duty free shop product. Moreover,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e inverted-U shape association between crowding and willingness to pay. However, price fairness appeared as non-significant variable to account for willingness to pay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iginality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duty free shop customers more.

점포 혼잡성이 점포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동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tore Crowding on Stor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Based on adjustment effects of consumer susceptibility)

  • 추미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65-972
    • /
    • 2014
  • 점포 내 혼잡성이 점포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점포태도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비자동조성의 조절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점포혼잡도 요인으로 사회적 혼잡성과 공간적 혼잡성으로, 행동요인은 구전의도와 재방문의도를, 소비자동조성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으로 제시하였다. 사회적 혼잡성은 점포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적 혼잡성은 유의하지 못하였다. 행동의도 중 재방문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전의도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동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본 결과 소비자동조성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혼잡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혼잡성에서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micro-osteoperforations on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Shahrin, Azaitun Akma;Ghani, Sarah Haniza Abdul;Norman, Noraina Hafiz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6-9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osteoperforations (MOPs) on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EARR) during the initial orthodontic alignment phase of maxillary anterior crowding. Methods: Thirty patients (25 females, 5 males; mean age, 22.66 ± 3.27 years) who presented with moderate crowding of the upper labial segment and underwent extraction-based fixed appliance treatment were recruited.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adjunctive therapy with MOPs (n = 15) or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s only (control group; n = 15). EARR was measured from long-cone periapical radiographs taken at the start and the sixth month of treatment. A correction factor for the enlargement difference was used to calculate EARR.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mean root lengths of 168 teeth were measured an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after six months of fixed appliance treatment in the MOP (mean difference [MD] = 0.13 mm;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0-0.35) and control group (MD = 0.14 mm; 95% CI = -0.10-0.37). Most of the roots in the MOP and control groups (42.86% and 52.38%, respectively) showed only mild resorption. Less than 8% of the roots in both groups (7.14% in the MOP group and 4.76% in the control group) showed moderate resorption. Conclusions: Acceleration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with adjunctive MOPs therapy during the alignment phase does not exacerbate EARR in patients with moderate crowding of the upper labial segment in comparison with controls.

치열궁 길이 부조화의 기여요인과 예측도에 관한 연구 (CAUSATIVE FACTORS AND PREDICTABILITY OF ARCH LENGTH DISCREPANCY)

  • 정민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7-471
    • /
    • 1997
  • 본 연구는 치열궁 길이 부조화(Arch length discrepancy : 이하 ALD)의 원인요소간의 상대적 중요성과 혼합치열기에서의 예측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Angle씨 I급 대구치관계이며 근기능 이상이나 골격형태의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142명의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성별과 ALD의 양에 따라 여섯군으로 나누어 각 치아의 크기와 치열궁 각 부위의 크기를 계측하였다. SPSS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군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Student t-test,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을 이용한 ALD의 예측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정상군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spacing군은 대부분의 계측치에서, crowding군은 몇가지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남자crowding군과 여자 spac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주로 치아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남자 spacing군과 여자crowd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상관관계분석과 요인분석결과에서는 주로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들이 ALD와 큰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5.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중절치, 측절치, 제1대구치의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 치열궁 장경 을 이용한 ALD의 다중회귀분석은 최소 $63\%$에서 최대 $80\%$의 예측도(R square)를 보였다.

  • PDF

FAVAR 모형을 이용한 한국 정부지출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in Korea: a FAVAR Approach)

  • 김원기
    • 경제분석
    • /
    • 제25권3호
    • /
    • pp.100-13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요인활용 다변수 자기회귀모형(FAVAR)과 2000년 이후 한국의 167개 거시변수를 이용하여 정부지출 증가가 거시변수에 미치는 영향 및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부지출의 영향을 정부소비지출과 정부투자지출로 나누어 추정한 결과 두 형태의 지출의 효과가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나 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정확한 정부지출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을 보였다. 특히 정부소비지출은 1년여의 시차를 두고 경기부양효과가 비교적 뚜렷하나, 정부투자지출의 경우 뚜렷한 경기부양효과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전통적인 민간소비나 민간투자를 구축하는 채널보다는 수입수요의 증가로 인한 순수출 감소가 재정지출, 특히 정부소비지출의 승수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는 두 가지 형태의 정부지출증가 모두 토목건설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소비지출의 증가는 대부분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에도 부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의식에 기초한 도시 대공원의 이용후 평가 -울산 대공원의 공원효율성 및 이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Grand Park with Reference to the Perception of Residents -Focused on Ulsan Grand Park's Efficiency and User's Satisfaction-)

  • 성백진;최종희;이재근;권오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ata on the human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lsan’s Grand Parks by evaluating user behavior and activity, visiting motivations, and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multi-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survey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six parts as follows: \circled1 Behavior patterns showed that the users visited the park left within 30 minutes and the frequency of visits was 1 or 2 times per week. They spent their time mostly on ‘walking’ and ‘picnicking’. The users visited regardless of the seasons or the day of the week. \circled2 The priorities for improvement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users expressed their demands for ‘shadowing facilities’ like shelters and pergolas because they used these facilities frequently. Also, the users would like an ‘event program’, ‘sign system’ and ‘guide program’. \circled3 Analysis of the the user’s perception of the park showed that they perceive the park as ‘representative source of the landscape and open space in Ulsan and place for making contact with nature. \circled4 In examining the visiting motivations of the users of Ulsan Grand Park, it was revealed that people use the park for ‘time with family and friends’, ‘to escape from city life’, ‘to relieve fatigu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4 factors were identified such as ‘physical motive(MF1)’, ‘exploratory motive(MF2)’, ‘social motive(MF3)’ and ‘emotional motive(MF4). \circled5 Park users’ evaluation for park facilities showed that people are satisfied with most of the facilities and especially, they ha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for ‘footpaths’, ‘squares’ and ‘picnicspace’. The evaluation of the park user’s of activity reveals that they are content with nearly all the variables. Especially, they ha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variables of ‘convenience for dynamic activities’, ‘making of a beautiful atmosphere, ‘accessibility from the outside’ and, ‘convenience in group activitie. Factor analysis of the park user’s of activity revealed 5 factors such as ‘convenience and interest factor (AF1)’, ‘park maintenance, management and use program(AF2)’, ‘visual beauty(AF3)’, ‘safety and accessibility(AF4)’ and ‘crowding(AF5)’. \circled6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get the predictor factors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a result of 60.0%($R^2$). The variance was explained as ‘quality of the picnic space’, ‘convenience and interest factor while using the park’, ‘park program for maintain and management in the park’, ‘visually beauty while using the park’, ‘safety and accessibility of the parks’, ‘quality of the pond’, ‘crowding’, ‘quality of the square’.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Visitors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 김동필;백재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6
    • /
    • 2009
  •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탐방객들의 탐방 후 평가를 통하여 만족도, 만족요인과 예측모형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만족도 분석결과 내소사는 무분별한 취사행위, 불법포획 및 식물채취, 고성방가, 쓰레기 등, 격포는 혼잡도, 호객행위, 무분별한 이용, 잡상행위 등에 불만족하였다. 만족요인으로는 '이용자관리', '이용관리 I ' 요인이 내소사(65.1%)와 격포(68.4%)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도 예측모형에 있어서 내소사는 '경관자원의 훼손', '공원정보 부족', '혼잡도', '관리자의 친절 및 안내부족' 등이, 격포는 '경관자원의 훼손', '공원정보 부족', '잡상행위'. '숙박시설', '관리자의 친절 및 안내부족' 등의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모형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산악과 해안공원의 차별화된 관리기법이 요구되고, 관리전략이나 정책도 필요하지만 탐방객의 교육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였다.

버스이용환경이 이용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전시를 사례로 (The Impact of the Bus Use Environments on Users Stress: The Case of Daejeon City)

  • 이재영;박진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43-553
    • /
    • 2015
  • 본 연구는 대중교통 특히, 버스의 이용과정에서 이용자가 받는 외부 자극(이용환경)이 스트레스(육체적 정신적 부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였으며, 대전 시내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5개 변수 중 탑승혼잡요인이 버스 이용자의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beta}=.416$), 다음으로 환승요인(${\beta}=.392$), 운영요인(${\beta}=.265$), 계절요인(${\beta}=.150$), 정류장시설요인(${\beta}=.090$)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자의 스트레스는 시설과 운영의 양적인 요인보다는 질적인 서비스 수준 더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바, 버스정책은 이용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는 이용자특성(성별, 연령, 정기이용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다 세분화된 서비스 제고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