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factual conditiona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English Conditional Inversion: A Construction-Based Approach

  • Kim, Jong-Bok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5권1호
    • /
    • pp.13-29
    • /
    • 2011
  • Conditional sentences also can be formed by inversion of subject and auxiliary, but it happens only in a limited environment. This paper addresses grammatical constraints in conditional inversion and how they behave differently from the regular conditional clauses based on corpus investigations. Our corpus search reveals many different types of conditional inversion constructions, indicating the difficulties of deriving inverted conditionals from movement operations. In this paper, we provide a construction-based approach to the inverted conditional construction. The paper shows that the most optimal way of describing the general as well as idiosyncratic properties of the inverted conditional constructions is an account in the spirit of construction grammar in which a grammar is a repertory of constructions forming a network connected by links of inheritance.

  • PDF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분석에 대하여 (On the Inferentialist Analysis of the Indicative Conditional)

  • 김세화
    • 논리연구
    • /
    • 제15권2호
    • /
    • pp.251-272
    • /
    • 2012
  • 이병덕 교수는 최근 셀라스-브랜덤의 추론주의에 의거한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이병덕 교수의 분석에 대해 세 가지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첫 번째는 이병덕 교수가 분석적으로 타당한 논증만을 실질적으로 타당한 추론이라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셀라스-브랜덤에 대하여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셀라스-브랜덤이 가정법적 조건문을 포함한 온갖 종류의 조건문 일반의 공통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반해 이병덕 교수는 이를 직설법적 조건문의 분석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셀라스-브랜덤에 대하여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이병덕 교수의 분석이 셀라스-브랜덤의 추론주의와 양립가능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일반적인 수준의 이야기에 불과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분석과 셀라스-브랜덤 의미론 (An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Sellars-Brandom Semantics)

  • 이병덕
    • 논리연구
    • /
    • 제15권3호
    • /
    • pp.347-375
    • /
    • 2012
  • 필자는 2008년 논문에서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추론주의적 분석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세화 교수는 최근 논문에서 세 가지 비판을 제기하였다. 첫째, 필자는 개념구성적 추론만을 실질적으로 타당한 추론으로 본다는 점에서 셀라스와 브랜덤의 견해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 둘째, 셀라스와 브랜덤은 반사실적 조건문을 포함한 온갖 종류의 조건문 일반의 공통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반해 필자는 이를 직설법적 조건문에 한정하여 이해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셋째, 필자의 분석은 셀라스-브랜덤 추론주의와 양립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일반적인 수준의 이야기에 불과하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세화 교수의 비판들이 셀라스와 브랜덤의 견해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비판들임을 주장한다. 첫째, 개념구성적 추론들만을 실질적으로 타당한 추론들로 간주하는 것은 셀라스의 견해이다. 둘째, 셀라스와 브랜덤은 직설법적 조건문에 관해 구체적인 이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그들이 주장하는 것은 조건언의 표현적 역할이다. 필자가 셀라스와 브랜덤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것은 이와 같은 조건언의 표현적 역할이고, 이것의 함축을 직설법적 조건문의 분석과 관련하여 주장하는 것은 필자 자신의 제안이다. 셋째, 조건문들 사이의 기능상의 차이는 추론주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또한 '-이면 ${\cdots}$이다'라는 조건언의 의미와 역할에 관해서 필자가 제시한 이상의 설명이 요구되지 않는다.

  • PDF

양(quantity), 정도(degree), 가능세계 - 부사 '거의'의 어휘의미를 중심으로 - (Quantities, Degrees, and Possible Worlds - Lexical Semantics of Korean Adverb '거의(geoui)')

  • 김신회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5권2호
    • /
    • pp.47-65
    • /
    • 2011
  • A Korean adverb '거의(geoui)' modifies predicates to generate complex predicates which have meanings of 'nearly' complete or typical properties of the modified predicates in quantities, degrees, and frequencies. The modified predicates 'complete' or 'typical' properties are referred counterfactually as standards for the generated predicates' meanings of deficiencies. These counterfactual standards can be formalized by a counterfactual conditional operator of the intensional semantics in Cresswell(1990). The deficiencies in the quantities, degrees, or frequencies of the properties can be expressed formally introducing a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The measure can be manufactured out of relations between intensional things at indices and their equivalence classes. The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has a semantic structure under-specified in quantity, degree, and frequency, and seems very well-suited in describing lexical meaning of '거의(geoui)'. The lexical-semantic analysis of '거의(geoui)' shows explicitly the plausibility of the indispensable existence of the comparing measure which works across real and counterfactual worlds in natural language meaning. On the other hand, we examined Kim, young-hee(1985)'s proposal of a transition of quantificational meaning for Korean degree adverbs, where he tried to explain the quantificational meaning of Korean degree adverbs in general including '거의(geoui)' with several syntactic and semantic constraints of 'contextual deletion'. But it is shown that the quantificational meanings of the degree adverbs which Kim(1985) discussed are also explained better by their under-specified meanings in quantities, frequencies and degrees with the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applied to their paradigmatic lexical constraint rather than Kim(1985)'s transition of meaning.

  • PDF

지식가능성 역설과 반사실적 조건 명제에 대한 논파자 (Knowability Paradox and Defeater for Counterfactual Knowledge)

  • 김남중
    • 논리연구
    • /
    • 제17권1호
    • /
    • pp.109-136
    • /
    • 2014
  • 모든 (의미론적) 반실재론자들은 모종의 검증원칙을 받아들인다. 그 원칙에는 반직관적인 강한 검증원칙과 상대적으로 그럴 듯한 약한 검증원칙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당연히 반실재론자들은 약한 검증원칙을 선호해왔는데, 이른바 지식가능성 역설은 사실 그 두 가지 형태의 검증원칙들이 동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에징튼은 새로운 형태의 검증원칙을 제시하지만, 그녀의 검증원칙 역시 그 나름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에징튼은 반사실적 조건명제를 이용한 지식모형을 제공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지식모형이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논할 것이다. 익히 알다시피, 비결정론적인 미시적 현상의 세계에서는 극히 낮은 물리적 확률에도 불구하고 간신히 일어나는데 성공하는 사실들이 존재한다. 필자는 이런 사실들과 연관된 반사실적 조건명제는 인식적 논파자의 존재로 말미암아 알려질 수 없으며, 따라서 에징튼의 지식모형은 많은 경우 작동하지 않는다고 논할 것이다.

  • PDF

이행적 인과 경로를 통한 원인 효과에 대한 해명: 구조 방정식에 토대한 인과 모형의 원인 효과 개념에 대한 평가와 대안 (Causal Effects Along Transitive Causal Routes: Reconsidering Two Concepts of Effects Found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준성
    • 논리연구
    • /
    • 제18권1호
    • /
    • pp.83-133
    • /
    • 2015
  • 이 글에서는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Hitchcock 2001a)이 제시한 두 가지 원인 효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비판을 상쇄할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섯 가지를 논의한다. 첫째,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오테(Otte 1985)와 엘스(Eells 1987)의 논쟁을 검토한다. 이 검토는 이중 원인 효과에 대한 이해와 그와 관련해 논의할 히치콕, 카트라이트(Cartwright 1979, 1989, 1995), 엘스(Eells 1991, 1995)의 이론들을 비교, 평가하는 준비가 된다. 둘째, 구조 방정식 모형에서 두 원인 효과에 착안하여, 히치콕이 제시한 원인 효과의 두 개념, 망 효과와 요소 효과를 소개한다. 셋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카트라이트와 엘스의 논쟁을 논의하면서, 동질적 부분 집단의 역할, 인과 상호 작용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넷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이 적용한 두 원인 효과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엘스의 이론에 대한 히치콕의 비판을 다시 비판한다. 다섯째, 구조 방정식 모형의 조절 효과 개념을 인과에 대한 확률 이론에 응용하여, 이중 원인 효과에서 초래된 인과 상호 작용을 선언(disjunctive) 관계와 반 사실적 요인으로 형식화하여 보여준다. 조절 효과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은 구조 방정식 모형에 토대한 인과 모형 이론들이 인과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언 관계, 반 사실적 조건을 이용한 인과 상호 작용에 대한 논의는 통계적 방법론으로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