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seling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arents Peer Counselor's for the Disabled Experiences in Field Counseling)

  • 최하나;정종화;김은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27-1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상담현장의 장애인부모동료상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및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들의 현장상담경험을 Yin (2009)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0명을 대상으로 FGI와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총 87개의 압축개념, 17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는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참여 동기 및 상담효과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두드림", "조명 받지 못하던 존재에서 희망을 주는 존재로의 전환", "장애인부모들이 만드는 또 다른 사회보험이자 사회안전망"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부모동료상담활성화 장애요인은 "상담현장의 입지확보 및 위상정립의 문제", "홍보부족으로 인지도가 낮아 내담자 발굴이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현장의 입지확보와 전문가로써의 위상 재정립", "정부의 정책적인 보완과 지원이 필요함", "정규직 전환으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함"이 제시되었다.

장애유형별 치과진료시 소요시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DENTAL TREATMENT TIME OF PATI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 이우람;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8-83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validity of classification of dental disability by measuring the dental treatment time required for disabled patients and identify the disability type that requires more of chair time. As a result of measuring a total of 12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Seoul dental hospital for the disabled on Oct. 2014, I was able to make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or dental counseling and check-up, the chair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2. For periodontal treatment, restorative treatment, root can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the difference of the chair time for dentally disabled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non-dentally disabled patients. 3. The difference in the total chair time for prosthetic treatmen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each of the prosthetic treatment steps di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고혈압 환자 대상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hypertension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박혜정;장인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9-67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 중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복지관 간호사와 간호학생 자원봉사자를 통해 제공된 8주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 연구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사전, 사후 조사를 완료한 대조군 28명, 실험군 29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관련 지식, 건강신념 중 심각성과 민감성, 삶의 질 EQ-VA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수적인 장애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관련 지식, 건강신념 및 삶의 질 등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의 의료기관 이용 및 의약품 안전사용 저해요인 관련 심층면접조사 (Qualitative Study for Barriers for Medication and Health Care Service Use among the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 Impaired in Korea)

  • 이수현;최민지;한은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23
    • /
    • 2021
  • Objective: The disabled are in a blind spot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drugs, and the pharmacies' counseling on drug use is centered on non-disabled people.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es of drug use by type of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rug use by type of disability and by life cycle of visually impaired and hearing impaired in Korea.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6 people with visually impairments, 12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On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per participant, and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nd documented. Results: Common barriers against safe medication and medical service uses across disability types are 'lack of consideration and service for the disabled, limited access to medical facilities due to disability, limited access to information regarding medication use, psychological anxiety about drug use and side effects, and inconvenience regarding COVID-19 epidemic. The specific factors wer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proper medicines and following prescribed dosages' in the case of visually impaired, and 'problems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Conclusion: Disabled people are hindered from using medicines properly due to various factors. Based on the content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inhibition factors and devise specific measures for the safety of each type of disorder such as developing a method for medication counseling considering disabilities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support systems.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Research on Possibl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Handicapped Women Peer Counseling)

  • 주은선;이성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2-35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의 장애인 동료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 상담 업무를 맡은 13명의 동료상담가를 대상으로 9회기의 인간중심 상담을 진행한 후, 심층 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 있는 그대로의 수용, (2) 상담자의 변인, (3) 한계점 및 아쉬운 점으로 3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 가운데 (1)은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의 2개 범주, (2)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자신을 수용하게 됨,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과 바람을 알아차리고 수용함,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한계와 잠재력을 인식함의 4개 범주, (3)은 현재 삶을 돌아보는 계기, 앞으로의 삶에 대한 태도를 정함으로 2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RQOL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김계하;김옥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8-48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96 persons with a physical disability in three cities in Korea from June to September, 2003.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y a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6 ($SSQ_6$)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questionnaire (CES-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was measured using Smith 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SBQOL). The SPSS WIN 11.0 version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RQOL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nd economic status. All subjects had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elf-esteem and the size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are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n HRQOL in physically disabled persons. Nursing inter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s which improve self-esteem and increase the size of a social support network are needed to promote HRQOL in physically disabled persons.

장애인과 가족의 자발적 문제해결증진을 위한 모바일 상담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voluntary problem solving of disabled persons and families)

  • 조남옥;조규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7-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과 가족이 생활전반에서 오는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모바일 상담(MDFC)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모형(ADDIE)을 기반으로 상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장애인과 가족의 요구조사 내용과 상담 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서 추출하여 구성하였다.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장애인과 가족이 언제 어디서나 상담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현실적인 문제나 내재화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채팅상담은 내담자의 시간과 채팅 프로그램 선택의 자율성이 주어진다. 셋째,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은 상담자의 온라인 심리검사 추천과 연계로 모바일 상담에서도 내담자의 객관적인 자료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내용구성, 상담절차, 고민해결, 사용설명서, 추천, 정보수집의 만족도가 높았고 상담만족도, 상담접근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모바일 상담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장애인 모성권(임신과 출산,자녀양육)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 (Supporting plan of disable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curing the Maternity Rights (Pregnancy·Childbirth·Child Rearing) of Disabled Women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 최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97-107
    • /
    • 2018
  •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이 장애인복지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서 모성권 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은 미비한 수준이며, 실태조사 역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보건복지부의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자료를 추가하여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필요한 서비스를 분석하고 둘째, 모성권을 보장해야 하는 법적 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법적인 근거에 기반한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은 존재하고 있으나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서비스는 미비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역거점의 장애인 복지관은 성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확립을 위한 중심적 역할로서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기초상식 정보제공을 위한 매뉴얼 개발, 출산관련 상담서비스 지원, 자조모임 활성화 추진, 가족을 위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의료기관 연계, 사례관리 지원 등의 구체적인 서비스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Disabled)

  • 서보경;김인혜;남길우;권미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분석 (Analysis of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 이아라;김원호;이주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20-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on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ata is consisted of 430 college students. We tested the research question by employing the PSM and the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 have difficulties in the information about self,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outside control on career decision more than others. We suggested tha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of understanding themselves such as interesting, aptitude, and occupational value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majoring in the engineering.